본문 바로가기

전통문화 이야기

남양주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경기문화재단 남양주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南楊州 興國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경기도유형문화재 제253호 은 지장전에 봉안되어 있는 21구의 불상이다. 모두 비슷한 특징으로 같은 조각승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긴 타원형의 머리는 원정형圓頂形이며, 얼굴은 장방형으로 길다. 가늘게 뜬 작은 눈, 콧방울이 선명한 큼직한 코, 입술 양끝을 올린 큰 입과 귀가 양측에 두꺼운 귀가 특징이다. 법의는 오른쪽에 복견의를 걸치고 그 위에 대의를 돌려 입었으며, 오른쪽 옷주름 하나가 둥근 끝단으로 강조되어 있다. 가슴 아래에 승각기僧脚崎는 가운데 큰 연잎을 중심으로 맞주름을 잡아 모양을 내었다. 다리 위에는 옷자락을 양측으로 펼쳐 놓은 모양인데 가운데 옷주름의 끝단은 큰 S자형을 그리.. 더보기
동래 담뱃대 동래 담뱃대 항목ID : GC04211052 한자 : 東萊- 영어의미역 : Tobacco Pipe in Dongnae 이칭/별칭 : 동래 연관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 특산물/특산물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시대 : 조선/조선 후기,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 이정형 [정의] 부산 동래 지역에서 조선 후기부터 1960년대까지 백동으로 만들었던 담뱃대. [개설] 조선 후기부터 유기(鍮器)와 함께 동래의 명물로 손꼽혔던 담뱃대는 구리와 니켈 등을 섞은 백동(白銅)으로 만들었는데, 예전에는 연관(煙管)으로 불렸다. 동래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모양·색깔·무늬 등에서 품질이 좋아 서울 양반들의 수요는 물론, 나라에 진상되었다고 한다. [연원 및 변천] 동래 담뱃대가 언제부터 생산되었는.. 더보기
대자보에 폭발한 광기, 왕은 죄인 머리를 깃대에 매달라 명했다 [박종인의 땅의 歷史] 오피니언 대자보에 폭발한 광기, 왕은 죄인 머리를 깃대에 매달라 명했다 [박종인의 땅의 歷史] 264. 1755년 남대문에서 폭발한 영조의 광기(狂氣) 서울 숭례문 아래 홍예문 천정에는 용이 그려져 있다. 용은 왕의 권위와 권력을 상징한다. 영조 때는 이 남대문 앞에서 역적 처형식이 열리곤 했다. 1755년 여름에 벌어진 처형은 권력 콤플렉스와 정통성 시비에 시달리던 영조의 광기가 적나라하게 폭발한 사건이었다. /박종인 박종인 선임기자 입력 2021.07.07. 03:00업데이트 2021.07.07. 10:41 복잡다기한 영조의 콤플렉스 경종이 즉위하고 1년 두 달이 지난 1721년 8월, 당시 여당인 노론은 야밤에 궁으로 들어가 경종에게 “후사를 기대하지 말고 이복동생 연잉군을 왕세제로 택하라”고 요구.. 더보기
비정형의 절묘한 미학 - 조각보 비정형의 절묘한 미학 - 조각보 작성일 2013-06-14 작성자 문화재청 조회수 13862 검약하는 생활과 복을 비는 마음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보자기는 선암사에 보관되어 있는 탁자보로 알려져 있는데,『탁의卓衣』라는 문헌에 기록된 것을 보면 몸을 감싸는 천을 의衣라 하듯 물건을 감싸는 보자기도 의라 불린 것 같다. 물건을 싸는 보자기까지 옷으로 여겼던 것은 무엇이든 정성스럽게 보관했던 검약한 정신이 복을 가져다준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렇게 세계 어느 곳보다 우리나라가 보자기 문화가 발달되었던 이유를 몇 가지로 요약해보면 첫째가 협소한 생활공간에서의 편의성이다. 유교문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조선조 선비정신에서 협소한 생활공간은 검약과 미덕의 상징이었다. 이렇게 한정된 공간 안에서 많은 양의 .. 더보기
선[ 禪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선[ 禪 ] 이미지 크게보기 절에서의 하루 일과 중의 한 과정. 전남 순천시 송광사. 유형 개념용어 목차 정의 개설 인도와 중국의 선 선의 전래와 구산선문 고려시대의 선 조선시대의 선 정의 마음을 가다듬고 정신을 통일하여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하게 하는 불교수행법. 개설 범어로는 디야나(dhya-na), 팔리어로는 쟈나(jha-na)이다. 이를 음사하여 선나(禪那)·사유수(思惟修)라 하며, 음사와 의역을 합하여 선정(禪定)이라고도 한다. 선은 인도에서 발생한 것으로, 아리아인이 인도에 침입하기 이전인 기원전 1300년경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인도와 중국의 선 인도의 전통적인 선은 요가이다. 요가는 심사(深思)·묵상(默想)에 의한 마음의 통일을 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고대의 .. 더보기
[조선, 병풍의 나라 2] ZOOM IN: 그림 속 식물들 [조선, 병풍의 나라 2] ZOOM IN: 그림 속 식물들 2023.01.26(목) ~ 2023.04.30(일) 미술관 1~6전시실, B1 라운지 주최: 아모레퍼시픽미술관 (APMA) 봄을 알리는 싱그러운 기운과 함께 식목일이 다가왔습니다. 식목일은 절기상 하늘이 차츰 맑아지는 청명(淸明)에 해당하여, 나무 심기 좋은 시기이기도 합니다. 전시장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꽃과 나무들이 펼쳐져 있습니다. 안중식의 〈화조도10폭병풍〉, 〈금니사군자화훼도10폭병풍〉에서는 동백1)과 매화2), 안중식·조석진의 〈기명절지도10폭병풍〉에서는 수선화3), 〈서화미술회10인합작도10폭병풍〉에서는 모란4), 채용신의 〈장생도10폭병풍〉에서는 붓꽃5)과 나무수국6), 〈백납도10폭병풍〉에서는 연꽃7), 〈금계도10폭병풍〉에서는 .. 더보기
[그림속 불국토] 기사모음 [그림속 불국토] 기사모음 지난 2018년 1월부터 23회에 걸쳐 불교신문에 인기리에 연재한 원광대 고고미술사학과 김정희교수의 그림속 불국토 기사모음을 소개합니다. 해당 제목을 클릭하면 불교신문의 원문기사를 읽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쉽게 불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김정희 교수의 그림 속 불국토] 불화란 무엇인가 분류안됨 입력 2018.01.08 09:56 기자명김정희 원광대학교 교수 법당 안 그림, 도대체 무엇을 그린 것일까 일본 사가현 카라츠시 가가미진자에 소장돼 있는 수월관음도 1991년 미국에서 열린 소더비(Sotherby)사의 미술품경매에서 고려시대의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가 약 13억 원에 낙찰되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그런가 하면 2003년 샌프란시스코 아.. 더보기
수미단에 나타난 부부사랑 ⑬ 수미단에 나타난 부부사랑 연재 입력 2008.04.05 12:05 호수 152 환성사 수미단 봉황 환성사 수미단 오리 환성사 수미단 물고기. 전각과 수미단에 ‘부부애 염원’ 새겨 넣다 전각 안 곳곳 다산.다복 염원 담긴 조형 똬리 공주 갑사 안 서수, 음낭 눈에 띄게 제작 ‘파격’ 우리 조상들은 어떤 방법으로 가족이 화합하고 부부지간의 사랑과 금슬이 좋아지며 자손들이 많이 생산되고 창성하도록 기원했을까. 다산(多産)과 부부지간의 백년해로, 수명장수 등 중생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사찰에서 칠성님께 빌거나, 산신.신중님께 치성을 드리기도 했지만 그것보다는 직접적인 방법을 선택한 듯하다. 사찰의 주존(主尊)인 부처님께 원하는 내용을 직접 스님을 통하여 알리는 축원의 방법과 전각의 조형을 통하여 기원하는 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