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지역의 역사·사회·기질 담긴 75가지 음식 … 그 자체가 부산 국제신문에서 지난 2016년 1월부터 부터 2017년 12월 까지 75가지의 부산 음식을 소개하고 전래과정과 변천, 지역에 따른 다양한 조리법을 탐색하는 '음식의 사회학' 프로젝트를 연재하였다. 시인이자 맛 칼럼니스트 동의대 최원준 교수의 안내로 사라져 가는 부산 토속음식과 자연마을 단위로 즐겨 먹는 향토음식을 발굴해 부산 음식의 지평을 넓혔던 기사를 소개하고자 한다. 시인 최원준의 부산탐식프로젝트 에필로그 지역의 역사·사회·기질 담긴 75가지 음식 … 그 자체가 부산 디지털콘텐츠팀 inews@kookje.co.kr | 입력 : 2017-12-26 18:44:16 | 본지 24면 - 바다를 끼고 있는 지리적 특성과 - 전쟁 피란지라는 시대적 역사성 - 타 지역 음식문화 흡수·통합 거쳐 - 새로운 향토음식.. 더보기
수생식물과 습지식물 수생식물과 습지식물 글/사진 현진오 ㅣ 조름나물. Menyanthes trifoliata L. 조름나물과 북방계 수생식물로 남한에서는 동해안 석호습지 몇 곳과 대암산 용늪에서만 자란다. 환경부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습지는 일반적으로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이다. 종 조성이 단순하여 생물다양성이 낮은 삼각주 같은 하천습지도 가끔 있지만, 대다수의 습지는 생물다양성이 높다. 특히 다른 곳에서는 살 수 없는 종들이 대거 분포함으로써 지구 전체적인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 때문에 습지는 지구적인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꼭 필요한 지역이다. 습지식물은 말 그대로 습지에 사는 식물을 이른다. 하지만 습지가 무엇인지를 정의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기 때문에 습지식물을 어떻게.. 더보기
남양주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경기문화재단 남양주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南楊州 興國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경기도유형문화재 제253호 은 지장전에 봉안되어 있는 21구의 불상이다. 모두 비슷한 특징으로 같은 조각승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긴 타원형의 머리는 원정형圓頂形이며, 얼굴은 장방형으로 길다. 가늘게 뜬 작은 눈, 콧방울이 선명한 큼직한 코, 입술 양끝을 올린 큰 입과 귀가 양측에 두꺼운 귀가 특징이다. 법의는 오른쪽에 복견의를 걸치고 그 위에 대의를 돌려 입었으며, 오른쪽 옷주름 하나가 둥근 끝단으로 강조되어 있다. 가슴 아래에 승각기僧脚崎는 가운데 큰 연잎을 중심으로 맞주름을 잡아 모양을 내었다. 다리 위에는 옷자락을 양측으로 펼쳐 놓은 모양인데 가운데 옷주름의 끝단은 큰 S자형을 그리.. 더보기
동래 담뱃대 동래 담뱃대 항목ID : GC04211052 한자 : 東萊- 영어의미역 : Tobacco Pipe in Dongnae 이칭/별칭 : 동래 연관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 특산물/특산물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시대 : 조선/조선 후기,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 이정형 [정의] 부산 동래 지역에서 조선 후기부터 1960년대까지 백동으로 만들었던 담뱃대. [개설] 조선 후기부터 유기(鍮器)와 함께 동래의 명물로 손꼽혔던 담뱃대는 구리와 니켈 등을 섞은 백동(白銅)으로 만들었는데, 예전에는 연관(煙管)으로 불렸다. 동래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모양·색깔·무늬 등에서 품질이 좋아 서울 양반들의 수요는 물론, 나라에 진상되었다고 한다. [연원 및 변천] 동래 담뱃대가 언제부터 생산되었는.. 더보기
대자보에 폭발한 광기, 왕은 죄인 머리를 깃대에 매달라 명했다 [박종인의 땅의 歷史] 오피니언 대자보에 폭발한 광기, 왕은 죄인 머리를 깃대에 매달라 명했다 [박종인의 땅의 歷史] 264. 1755년 남대문에서 폭발한 영조의 광기(狂氣) 서울 숭례문 아래 홍예문 천정에는 용이 그려져 있다. 용은 왕의 권위와 권력을 상징한다. 영조 때는 이 남대문 앞에서 역적 처형식이 열리곤 했다. 1755년 여름에 벌어진 처형은 권력 콤플렉스와 정통성 시비에 시달리던 영조의 광기가 적나라하게 폭발한 사건이었다. /박종인 박종인 선임기자 입력 2021.07.07. 03:00업데이트 2021.07.07. 10:41 복잡다기한 영조의 콤플렉스 경종이 즉위하고 1년 두 달이 지난 1721년 8월, 당시 여당인 노론은 야밤에 궁으로 들어가 경종에게 “후사를 기대하지 말고 이복동생 연잉군을 왕세제로 택하라”고 요구.. 더보기
비정형의 절묘한 미학 - 조각보 비정형의 절묘한 미학 - 조각보 작성일 2013-06-14 작성자 문화재청 조회수 13862 검약하는 생활과 복을 비는 마음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보자기는 선암사에 보관되어 있는 탁자보로 알려져 있는데,『탁의卓衣』라는 문헌에 기록된 것을 보면 몸을 감싸는 천을 의衣라 하듯 물건을 감싸는 보자기도 의라 불린 것 같다. 물건을 싸는 보자기까지 옷으로 여겼던 것은 무엇이든 정성스럽게 보관했던 검약한 정신이 복을 가져다준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렇게 세계 어느 곳보다 우리나라가 보자기 문화가 발달되었던 이유를 몇 가지로 요약해보면 첫째가 협소한 생활공간에서의 편의성이다. 유교문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조선조 선비정신에서 협소한 생활공간은 검약과 미덕의 상징이었다. 이렇게 한정된 공간 안에서 많은 양의 .. 더보기
나무껍질만 보고 나무종류 알아볼 수 있는 방법 나왔다 산림일반 나무껍질만 보고 나무종류 알아볼 수 있는 방법 나왔다 소나무·단풍나무 등 나무껍질 데이터 개방 산림청, 국내 41종 10만 8964건 데이터 구축 기자명박재석 기자 입력 2023.01.19 14:20 개방된 나무껍질 이미지 데이터 ⓒ산림청 [Landscape Times 박재석 기자] 계절과 상관없이 나무껍질만 보고 나무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이 생겼다. 산림청이 국내에서 자라는 소나무, 단풍나무 등 41종의 나무껍질 데이터를 개방한다고 지난 18일(수) 밝혔다. 41종의 나무껍질 데이터는 10만 8964건의 가공된 사진으로 구성됐고, 편리한 이용을 위해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프로그래밍해 외부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사용자들과 공유.. 더보기
선[ 禪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선[ 禪 ] 이미지 크게보기 절에서의 하루 일과 중의 한 과정. 전남 순천시 송광사. 유형 개념용어 목차 정의 개설 인도와 중국의 선 선의 전래와 구산선문 고려시대의 선 조선시대의 선 정의 마음을 가다듬고 정신을 통일하여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하게 하는 불교수행법. 개설 범어로는 디야나(dhya-na), 팔리어로는 쟈나(jha-na)이다. 이를 음사하여 선나(禪那)·사유수(思惟修)라 하며, 음사와 의역을 합하여 선정(禪定)이라고도 한다. 선은 인도에서 발생한 것으로, 아리아인이 인도에 침입하기 이전인 기원전 1300년경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인도와 중국의 선 인도의 전통적인 선은 요가이다. 요가는 심사(深思)·묵상(默想)에 의한 마음의 통일을 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고대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