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목재 100문 100답 기사 모음 목재 100문 100답 기사 모음 나무신문에서 2014년 11월 부터 2017년 2월까지 101회에 걸쳐 을 연재하였습니다. 건축에 사용되는 다양한 목재의 성질을 소개한 이 기사는 건축 관련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던 유익한 기사였습니다. 를 비롯 3편의 기사를 샘플로 아래와 같이 소개하며 하단에 1회부터 101회에 걸쳐 연재한 기사의 제목을 클릭하면 나무신문의 본문을 읽을 수가 있습니다. HOME 연재 목재 100문 100답 아름다운 산업자원 - 동백나무 김오윤 기자 승인 2017.01.17 13:50 연재 | 목재 100문 100답 96 / 글·사진 = 한국임업진흥원 시험평가실 초록과 붉음의 조화 [나무신문 | 한국임업진흥원 시험평가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는 차나무과에 속.. 더보기
[조선, 병풍의 나라 2] ZOOM IN: 그림 속 식물들 [조선, 병풍의 나라 2] ZOOM IN: 그림 속 식물들 2023.01.26(목) ~ 2023.04.30(일) 미술관 1~6전시실, B1 라운지 주최: 아모레퍼시픽미술관 (APMA) 봄을 알리는 싱그러운 기운과 함께 식목일이 다가왔습니다. 식목일은 절기상 하늘이 차츰 맑아지는 청명(淸明)에 해당하여, 나무 심기 좋은 시기이기도 합니다. 전시장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꽃과 나무들이 펼쳐져 있습니다. 안중식의 〈화조도10폭병풍〉, 〈금니사군자화훼도10폭병풍〉에서는 동백1)과 매화2), 안중식·조석진의 〈기명절지도10폭병풍〉에서는 수선화3), 〈서화미술회10인합작도10폭병풍〉에서는 모란4), 채용신의 〈장생도10폭병풍〉에서는 붓꽃5)과 나무수국6), 〈백납도10폭병풍〉에서는 연꽃7), 〈금계도10폭병풍〉에서는 .. 더보기
공원: 자연이 원근법으로 자리 잡다 공원: 자연이 원근법으로 자리 잡다 에스플러네이드 드 라 데팡스 (Esplanade de La Défense)를 식물의 장소를 증폭시키고, 토양을 변형시키고, 공간을 애니메이션화하고, 유산을 강화함으로써 5 헥타르의 도시 공원으로 바꾸는 것이 공원의 프로젝트입니다. 이는 파리 라 데팡스 (Paris La Défense)가 "세계 최고의 포스트 카본 비즈니스 지구"로서의 존재 이유의 일환으로 수행 한 지역 개발의 글로벌 비전에서 비롯됩니다. 조경가 Michel Desvigne이 이끄는 그룹이 파리 라 데팡스와 함께 설계 한이 공원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광물이 많은 역사적인 에스플러네이드를 뛰어난 공공 공간으로 탈바꿈시킬 것입니다. Agam과 Takis 분지 사이에있는이 녹지 공간은 휴식, 통로 및 회의의 장.. 더보기
[그림속 불국토] 기사모음 [그림속 불국토] 기사모음 지난 2018년 1월부터 23회에 걸쳐 불교신문에 인기리에 연재한 원광대 고고미술사학과 김정희교수의 그림속 불국토 기사모음을 소개합니다. 해당 제목을 클릭하면 불교신문의 원문기사를 읽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쉽게 불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김정희 교수의 그림 속 불국토] 불화란 무엇인가 분류안됨 입력 2018.01.08 09:56 기자명김정희 원광대학교 교수 법당 안 그림, 도대체 무엇을 그린 것일까 일본 사가현 카라츠시 가가미진자에 소장돼 있는 수월관음도 1991년 미국에서 열린 소더비(Sotherby)사의 미술품경매에서 고려시대의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가 약 13억 원에 낙찰되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그런가 하면 2003년 샌프란시스코 아.. 더보기
동북아 콜렉선-독도 동북아 콜렉선-독도 Ⅰ. 역사 속의 독도 글 : 장순순 (전북대학교) 1) 대한민국 고유 영토, 독도 독도는 역사적으로 대한민국의 영토였고, 지금도 동해와 함께 변함없이 국민의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우리나라 가장 동쪽 끝에 위치한 섬이다. 독도는 큰 섬인 동도와 서도, 그리고 주변의 89개 바위섬들로 구성되어 있고, 면적은 모두 합쳐 18만 7,554㎡이다. 울릉도는 독도에서 가장 가까운 섬으로, 그 거리는 87.4km(47.2해리)이다. 독도는 지리적으로 울릉도와 가까이 있어 맑은 날이면 울릉도에서 육안으로 바라볼 수 있다. 맑은 날 울릉도에서 독도가 보인다는 사실은 이 두 섬이 역사적으로 한국 주권 하에 놓여 있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입증해준다. 『세종실록』 「지리지」(1454년)와 『울릉도사적.. 더보기
수미단에 나타난 부부사랑 ⑬ 수미단에 나타난 부부사랑 연재 입력 2008.04.05 12:05 호수 152 환성사 수미단 봉황 환성사 수미단 오리 환성사 수미단 물고기. 전각과 수미단에 ‘부부애 염원’ 새겨 넣다 전각 안 곳곳 다산.다복 염원 담긴 조형 똬리 공주 갑사 안 서수, 음낭 눈에 띄게 제작 ‘파격’ 우리 조상들은 어떤 방법으로 가족이 화합하고 부부지간의 사랑과 금슬이 좋아지며 자손들이 많이 생산되고 창성하도록 기원했을까. 다산(多産)과 부부지간의 백년해로, 수명장수 등 중생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사찰에서 칠성님께 빌거나, 산신.신중님께 치성을 드리기도 했지만 그것보다는 직접적인 방법을 선택한 듯하다. 사찰의 주존(主尊)인 부처님께 원하는 내용을 직접 스님을 통하여 알리는 축원의 방법과 전각의 조형을 통하여 기원하는 바.. 더보기
이중섭과 이남덕에 대한 왜곡된 사실들 이중섭과 이남덕에 대한 왜곡된 사실들 황은순 주간조선 차장 편집=최원철 입력 : 2016.06.08 07:11 [이중섭 탄생 100년 그의 뮤즈 이남덕을 만나다(上)] 일본 도쿄도(都) 시부야구의 한적한 주택가, 낡은 2층 연립주택의 실내는 좁고 어두웠다. 바깥세상과는 무관하게 이곳의 시계는 느리게 움직이는 듯했다. 현관을 들어서자 거실을 겸한 주방과 침실이 한눈에 들어왔다. 주방은 4인용 식탁이 자리를 거의 차지하고 있었다. 몸집이 자그마한 여인이 식탁에서 천천히 몸을 일으켰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화가, 한국 근대미술의 거장 이중섭(1916~1956)의 일본인 아내 야마모토 마사코(山本方子)였다. 한국 이름은 이남덕(李南德), ‘남쪽에서 온 덕이 많은 여자’라는 뜻에서 이중섭이 지어준 이름이다. .. 더보기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 경기문화재단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 南楊州 興國寺 大雄寶殿 木造釋迦三尊佛座像 경기도유형문화재 제252호 은 대웅전 수미단 위에 화려하게 투각된 목조광배를 배경으로 봉안되어 있다. 가운데 석가여래상을 두고 좌우에 봉안된 문수보살상과 보현보살상이다. 본존인 석가여래상은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결가부좌로 앉은 자세에 오른손은 손끝을 땅으로 왼손은 다리 위에 둔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머리가 신체에 비해 큰 편이지만 신체비례가 적당하여 균형 잡힌 모습이다.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 전경, 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머리는 육계와 구분없이 경계에 중간계주를, 정상에는 정상계주를 두었다. 방형 얼굴에 눈꼬리가 살짝 올라간 작은 눈, 콧방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