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의 토박이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상근린공원, ‘숲속모험놀이장’ 개방 사상근린공원, ‘숲속모험놀이장’ 개방 “아이와 함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하얀 토끼, 하트의 여왕 보러 오세요~” 사상구는 지난 11월 29일 오후 2시 사상근린공원(약칭 사상공원) 모험놀이장 진입광장에서 ‘숲속모험놀이장 준공식’을 개최하였다.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더보기 생활문화의 힘! 사상생태문화해설사동아리 반짝반짝 문화현장 생활문화의 힘! 사상생태문화해설사동아리 평범한 주민들 모여 동네 이야기 엮으니 사상의 문화자산 됐네 국제신문 조봉권 기자 bgjoe@kookje.co.kr | 입력 : 2018-02-08 18:49:40 | 본지 22면 - 막내가 53살인 이 동아리 - 회원 14명 모두 책을 펴냈다 - 토종물고기·피난수도 유산 - 토박이가 말하는 사상 역사… - 취재하고 편집하고 찍어내 - 지역 생활문화유산을 지킨다 - 이들의 올해 ‘원대한’ 목표는 - 문화재단 지원금 300만 원 - 경로당·도서관·주민센터에 - 책 300권 비치할 수 있기를 나이 많은 회원은 75세, 나이 적은 회원은 53세. 사상생태문화해설사동아리(회장 김건석·67·부산 사상구 주례동) 회원 14명은 모두 저자가 되었다. 단독 저서.. 더보기 '포푸라마치' 사라진 사상 감전동 추억 품은 '포플러 다방' 생겼지요 '포푸라마치' 사라진 사상 감전동 추억 품은 '포플러 다방' 생겼지요서유리 기자 yool@busan.com입력 : 2018-03-13 [19:48:14] 수정 : 2018-03-13 [19:48:14] 게재 : 2018-03-14 (10면) ▲ 13일 부산 사상구 감전동 포푸라마치 일대에 문을 연 '포플러 다방'에서 DJ가 신청곡을 받아 음악을 들려주고 있다. 강선배 .. 더보기 승학산 치유의 숲길 조성 완료 사상구, 승학산 치유의 숲길 조성 완료류혜원 기자 | 2018-03-19 10:03:47 봄엔 가족과 함께 숲길을 거닐며 힐링하세요. ‘승학산 치유의 숲길 조성사업’(2단계)이 완료돼 가족․친구와 함께 봄기운이 가득한 숲길을 거닐면서 명상하고 힐링할 수 있게 됐다. 부산광역시 사상구는 오는 3월20일 .. 더보기 '사상광장로 상징조형물' '사상광장로 상징조형물' 지난 2월 27일 서부시외버스터미날 맞은편의 사상광장로 81번길 일원에 ‘사상광장로 상징조형물’ 제막식을 개최했다. 사상광장로 상징조형물은 가로 5.8m 세로 9.2m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갈대숲을 형상화했으며 내·외부에 LED조명을 설치, 야간에는 더욱 화려하.. 더보기 사상지역의 독립운동가 사상지역의 독립운동가 부산향토문화전자대전과 부산역사문화대전에 기록된 사상지역 출신인물의 독립운동가를 아래와 같이 소개하고자한다. 1. 김형기 한자 : 金炯璣 영어음역 : Gim Hyeonggi 이칭/별칭 ; 동산(東山)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 인물/인물(일반)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 하유식,서용태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상세정보 성격 : 독립운동가|언론인 성별 : 남 본관 : 김녕(金寧) 대표경력 : 동산의원 운영 출생 시기 : 1896년 8월 9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 : 1911년 - 사립명진학교 수학 : 1916년 - 경성의학전문학교 입학 : 1922년 - 경성의학전문학교 졸업.. 더보기 3.1운동 주역 동산 김형기, 그는 부산사람이다 3.1운동 주역 동산 김형기, 그는 부산사람이다 편집 2002.02.28(목) 14:40 3.1절을 맞아 각종 기념행사로 분주한 가운데 유두 김씨 문중의 부산 모라동 재실에 서있는 어느 독립운동가의 기념비는 찾는이 없이 나홀로 3.1절을 맞았다. 초라한 기념비속 주인공은 동산 김형기 선생. 낙동강변 유두리(지금의 부산 삼락동) 출생으로 서울 탑골공원에서 일어났던 3.1 독립만세 주동자로 옥고를 치렀고, 병원을 운영하면서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했던인물이다. 하지만 `독립운동가 동산 김형기 선생'의 이름을 기억하는 이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부산 모라동 어느곳에 그의 기념비가 있다는 사실조차 생소한 실정이니 찾는 이가 없는게 당연한 일이다. 현재 부산엔 일제시대 동광동에서 백산상회를 설립, 독립운동 자금을 .. 더보기 예술가 ‘멋대로’ 바라본 사라질 동네 덕포1동 예술가 ‘멋대로’ 바라본 사라질 동네 덕포1동또따또가 ‘멋대로 보는 부산’전국제신문 신귀영 기자 | 입력 : 2018-01-02 18:49:35 | 본지 21면 - 사진·영상·회화 작가 3명 참여 - 재개발 예정지 북구 기록·전시 예술가의 시선으로 부산을 다시 바라본 ‘멋대로 보는 부산’이라는 전시가 있..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