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부산지역의 일본군 포진지 부산지역의 일본군 포진지 1930년 완공된 용호동의 장자등 포진지는 높이 3m, 내부 길이 45m, 연면적 1천652㎡ 규모의 거대한 지하 요새다. 1924년부터 약 600여 명의 조선인이 동원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하 공간은 1개 대대가 주둔할 수 있을 정도로 넓다. 즉, 용호동의 장자등 일본군 포진지는 부산·경남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포대가 설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강서구 가덕도 외양포 마을 언덕에 있는 일본군 요새 사령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포진지와 대항 새바지 일본군 인공 동굴이 있다. 이와 관련된 국제신문과 부산일보 기사를 아래와 같이 소개한다. 이야기 공작소 오륙도·이기대 스토리텔링- 응답하라, 장자등 포진지 "적군 오면 해안포로 박살 내버릴테다" 일제, 대한해협 길목 요새화 박창.. 더보기
요재지이(聊齋志異) 요재지이(聊齋志異) 작가 포송령 분류 고전소설 언어 번체 중국어/간체 중국어 읽기 聊齋志異小說(요재지이 소설) 《聊齋志異》,簡稱《聊齋》,又稱《鬼狐傳》,是中國清代蒲松齡所著的文言短篇小說集。全書共491篇,內容十分廣泛,多談狐仙、鬼、妖,反映了17世紀中國的社會面貌。 作者蒲松齡在這本書深刻地描寫了狐仙、鬼和妖,而字裡行間也透露出鬼比人還要有情義以此諷刺當時的時代。 《요재지이》, 줄여서 《요재》, 《귀호전》이라고도 함)은 중국 청나라 포송령이 지은 문언 단편집이다.총 491편의 책으로 내용이 매우 광범위하며 여우요정, 귀신, 요괴에 대한 이야기가 많아 17세기 중국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저자 포송령은 이 책에서 여우선녀와 귀신, 요괴를 깊이 있게 묘사하였는데, 행간마다 귀신이 사람보다 더 정이 있다는 것을 드러내어 당시의.. 더보기
자염과 재제염 근대 신문으로 보는 음식 > 전통 음식과 식재료의 변화 일제 강점기까지 생산되었던 전통소금, 자염(煮鹽) 자염은 옛날부터 만들어오던 소금이다. 바닷물을 어느 정도 갯벌에서 증발시킨 후 남은 액을 솥에 끓여 만든다. 1908년 인천 주안 등지에서 국가적인 사업으로 천일염전을 대규모로 만들었지만, 전통방식으로 만드는 자염이 곧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자염은 일제시대를 지나 1950년까지 생산되었다. 그러나 경제성이 낮아 일제시대부터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었다. 일제시대부터 1950년까지 자염을 생산했던 대표적인 지역이 낙동강 하구의 김해군 명지·녹산 염전이었다. 이 일대에 자염이 생산된 것은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들어와 일본식 전통소금인 자염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까지 소금은 바닷물을 솥에 끓여서 만들.. 더보기
복을 부르는 주택 지난 2010년 4월 목조주택 건설을 전문으로 하는 동화나라의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10,000회의 조회수를 기록한 "복을 부르는 주택"이란 제목을 기사를 아래와 같이 소개코저한다. 복을 부르는 주택 작성자 동화나라 10-04-16 13:25 조회10,000회 남향집을 가장 좋은 집터로 생각하고, 북쪽으로 머리를 두고 자면 안 된다, 집 안에 복숭아나무를 심으면 안 좋다는 등 생활 속에서 집과 관련된 금기 사항 등을 종종 듣곤 한다. 무조건 미신(迷信)이라고 흘려 버리기에는 어딘지 개운치 않은 마음이 들기 마련이다. 좀더 정확한 내용을 안다면 집터를 고르거나 집 안에 가구를 배치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대동풍수지리학회 고제희 이사장으로부터 전원주택 속의 풍수 이야기를 들어보자. 풍수(風水)학은 바람과.. 더보기
논어 논어 최근 수정 시각: 2024-03-11 21:22:48 편집토론역사 분류 십삼경 철학서 공자 베스트셀러 퍼블릭 도메인 1. 개요 2. 논어의 여러 버전 3. 내용과 특징 4. 편제 4.1. 여담 5. 관련 고사성어 6. 외부 링크 6. 외부 링크 7. 관련 1. 개요 子曰、學而時[1]習之[2]、不亦[3]說[4]乎。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人不知而不慍[5]、不亦君子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선생께서 말하시기를, 배우고 때에 맞춰 실천하면 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벗이 먼 곳에서부터 오고 있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6]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화를 쌓아두지 않는다면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 논어 학이(學而)편 1장 논어(論語)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어록을 .. 더보기
올림픽 오크(히틀러의 참나무) 올림픽 오크(히틀러의 참나무) 히틀러의 참나무 티마루 남자 고등학교는 아돌프 히틀러에 대한 세계 최후의 살아있는 기억 중 하나가 있는 곳이지만 그의 이름은 언급하지 마십시오. 학교는 그들의 유명한 랜드마크를 '러브록 트리'라고 부릅니다. 러브록 트리(히틀러/올림픽 오크) "우리는 그 떡갈나무가 매우 자랑스럽습니다. 그건 그렇고, 히틀러가 개인적으로 준 것도 아니에요." 티마루 남자 고등학교 간사 올림픽 상금 1936년, 베를린의 한 식물 종묘장은 아돌프 히틀러에게 그해 베를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모든 선수에게 떡갈나무 묘목을 선물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히틀러는 이 아이디어가 마음에 들었는데, 그 이유는 아기 나무가 독일 국민의 선물일 뿐만 아니라 나치의 모토인 "blut unt boden" 또는 "피.. 더보기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에 대한 소고 -히틀러 참나무의 진실- 이선 한국전통문화대 교수(식물생태학)는 2020년 ‘한국조경학회지’ 12월호에 실린 논문을 통해 본격적으로 이 문제를 제기했다. 이 논문에서 여러 근거와 정황을 들어 기념물로 지정된 서울 중구 손기정공원에 있는 미국 원산의 대왕참나무는 애초 시상식 때 준 유럽 원산의 로부르참나무와 다른 종으로 나중에 무슨 이유에선가 바뀌어 심어진 나무라고 주장했다. 한국조경학회지에 발표된 이선 교수의 논문을 아래와 같이 소개코자 한다.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에 대한 소고 -히틀러 참나무의 진실- 이선 1 A Study on ‘Pin Oak at Son keechung Memorial Park’ -Truth of Hitler Oaks- Sun Yee 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 Rece.. 더보기
첸유치(陈钰琪), 주쉬단(祝绪丹) 첸유치(陈钰琪), 주쉬단(祝绪丹) 2019 의천도룡기에서 여주인공을 맡아 국내팬들에게도 인기가 높은 첸유치(陈钰琪), 주쉬단(祝绪丹)에 대하여 Baidu백과에 기록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소개한다. 첸 유치(陈钰琪) 1992년 7월 29일 쓰촨성 청두에서 태어난 첸 위치는 중국 본토에서 영화 및 텔레비전 배우이자 가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쓰촨 대학교 진청 대학(현 청두 진청 대학) 미술학과를 졸업했습니다. [1]。 2015년,탕옌결혼해서탕 얀 스튜디오 (Tang Yan Studio)계약을 체결한 최초의 아티스트 [2]。 2016 년 그는 의상 드라마 "화려한 웨이양섬세하고 사랑스러운 아홉 공주 투오바 디를 연기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37]。 2017년 2월에는 '화려한 미래'로 중국 TV 드라마 퀄리티 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