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매디슨 카운티의 지붕이 덮인 다리 매디슨 카운티의 지붕이 덮인 다리 전 세계의 모험을 공유하는 여행 블로그 커플인 Laurence와 Jessica Norah가 지난 2022년 6월 29일 자신의 블로그(https://independenttravelcats.com/visiting-the-covered-bridges-of-madison-county-iowa/)에 올린 매디슨 카운티 지붕덮힌 다리에 관한 기사는 40건의 댓글을 달 만큼 여러 네티즌들에게 호평을 받은바 있다. 1995년 클린트 이스트우드와 메릴 스트립이 주연을 맡은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The Bridges of Madison County)의 영화가 개봉되면서 더 큰 명성을 얻었고 널리 알려진 내력이 있다. 관심있는 국내 네티즌들에게 동 내용을 아래와 같이 소개코자한다. 199.. 더보기
소똥, 진흙, 쌀가루로 벽에 그린 그림…영월에 가면 인도가 있다 서울대학교 총동문회 [총동창신문538호 2023년 1월] 문화 > 나의 취미 https://www.snua.or.kr/magazine?md=v&seqidx=10847 게시된 글입니다. [소똥, 진흙, 쌀가루로 벽에 그린 그림…영월에 가면 인도가 있다] 인도미술 수집가 박여송(응용미술72-76) 인도미술박물관장 42년간 현지서 1500점 모아 남편 백좌흠 동문은 인도 지역연구 충북 제천역에서 영월 주천면 쪽으로 차를 타고 20여 분 가면 인도미술박물관이 나온다. 인도의 성을 닮은 형태에 ‘핑크 시티’로 불리는 인도 자이푸르가 떠오르는 핑크빛이 눈에 띈다. 박여송 관장이 2012년 남편 백좌흠(법학72-76) 전 경상대 법대 교수와 함께 세웠다. 민화와 조각, 공예품, 텍스타일(섬유) 작품까지 300여 점의.. 더보기
영월 인도미술박물관 한미희 기자 우리가 몰랐던 인도, 새로운 인도 (영월=연합뉴스) 한미희 기자 = 인도를 힌두교와 요가, 최악의 스모그로만 알고 있는 사람이든, 자주 찾는 여행자든 간에 인도 미술은 대부분의 사람에게 미지의 영역일 터. 인도 미술을 더 알고 싶고, 가까이서 느껴보고 싶다면 당장 강원도 영월로 달려가 보자. 그곳의 작은 박물관에서 만나는 인도 미술은 우리가 제대로 몰랐던 인도의 또 다른 얼굴을 펼쳐 보여준다. '라마에게 꽃다발을 건네는 시타' 비하르주 마두바니 지역의 그림은 강렬한 색과 단순하고 어린아이 같은 표현이 두드러진다. [사진/전수영 기자] 강원도 영월군의 북서쪽, 충북 제천과 가까운 주천면에 자리 잡은 인도미술박물관은 찾아가는 길부터 설렘을 안긴다. 영동고속도로 평창 나들목(IC)에서 빠져나와 평.. 더보기
사상구 비오톱 현황 2020 부산광역시 도시생태현황지도 중 와 에서 사상구편을 아래와 같이 인용하여 소개합니다. 비오톱유형도 ❍ 비오톱유형은 주거지비오톱, 상업업무지비오톱, 주상혼합지비오톱, 공공용도지비오톱, 공업지비 오톱, 공급처리시설지비오톱, 교통시설지비오톱, 특수지비오톱, 하천비오톱, 호소 및 습지비오톱, 해안비오톱, 산림비오톱, 초지비오톱, 경작지비오톱, 조성녹지비오톱, 나지 및 폐허지비오톱 등 총 16개의 대분류 유형이 나타남 ❍ 부산광역시에서는 산림비오톱이 328.5㎢로 전체면적의 39.9%를 차지하였고, 경작지(75.1㎢, 9.1%)와 교통시설지(68.0㎢, 8.3%) 그리고 주거지 60.3㎢(7.3%)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급처리 시설지(2.1㎢, 0.3%)가 가장 낮게 나타남 사상구 비오톱 현황 ❍ 부산광역.. 더보기
가그라 촐리(인도 드레스)를 입는 방법 가그라 촐리(인도 드레스)를 입는 방법 부품 1가그라 촐리 선택하기 2가그라 촐리 착용 3Dupatta 드레이핑 +1개 더 보기 공동 작성자: wikiHow Staff 최종 업데이트: 2023년 1월 4일 참조 레헹가 촐리(lehenga choli)라고도 알려진 가그라 촐리(ghagra choli)는 여성을 위한 인도 전통 의상입니다. 일반적으로 축제 때 착용하며 일부 현대 여성은 신부 의상으로 화려한 스타일을 입습니다. 가그라 촐리는 두 조각으로 나뉘며, 단어 자체는 "치마"와 "블라우스"를 의미합니다. 의상을 완성하기 위해 대부분의 여성은 오버사이즈 스카프처럼 보이는 듀파타를 착용합니다. Ghargra cholis는 실크, 면, 때로는 폴리에스터로 만들 수 있습니다. 아름답긴 하지만 옷을 입는 것은 .. 더보기
한국 최초의 <야생동물 흔적도감> 펴낸 동물 전문가 최현명ㆍ최태영씨 지난 2007년 동물전문가 최현명ㆍ최태영 공저 이 국내 최초로 출간 된바 있다. 당시 이를 소개한 의 기사를 아래와 같이 소개코자한다. 한국 최초의 펴낸 동물 전문가 최현명ㆍ최태영씨 마운틴뉴스월간산 입력 2007.05.15 09:46 수정 2007.05.15 09:58 “산에서 야호! 정말 하면 안됩니다” 10년 차이의 형제같은 정을 느낀다는 최현명씨(왼쪽)와 최태영씨. 동물에 관한 한 한국에선 다시 찾아보기 어려운 전문가들이다. 최현명씨(44)는 10년 가까이 오로지 야생동물의 흔적을 좇아 산과 들을 헤매고 다닌 동물 전문가다. 이제 한국 땅에 살고 있는 동물들은, 특히 포유류는 그것이 야생이건 가축이건 발자국 하나만으로 그 동물의 종류와 대강의 크기까지도 점칠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때문에 적잖은 .. 더보기
신판 부산대관 신판 부산대관 사진으로 보는 부산변천사 | 양장본 Hardcover 김승 , 양미숙 ,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저자(글) · 김한근 사진 선인 · 2010년 02월 01일 『신편 부산대관』은 부산개항 50주년기념의 성격을 갖는 특집출판물로서, 부산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다방면에 걸친 방대한 분량의 사진과 그 내용들을 수록한 책이다. 부산의 근대와 현대의 변화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가정보 저자(글) 김승 저자 김승은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HK교수로 재직. 주요 논저로는 『해항도시 부산의 일본인 이주어촌 건설과정과 그 현황』, 『한말 부산거류 일본인의 상수도시설 확장공사와 그 의미』, 『개항 이후 용두산신사와 용미산신사의 조성과 변화과정』 이외 다.. 더보기
성철스님은 니체가 말한 신의 죽음을 어떻게 설명했을까? 성철스님은 니체가 말한 신의 죽음을 어떻게 설명했을까? [1969 대불련 수련회 법문 ] https://youtu.be/pbe-HtNiCKE?si=l0SMcdwbNrxgU2Ki 성철스님은 유난히 젊은 학생들과 대화하고 법문하기를 좋아하셨습니다. 대학생들을 만나면 과학이야기부터 철학, 역사, 인문학 등 여러 학문의 이야기를 소재로 활달하게 이야기하셨습니다. 이 법문은 1969년 대불련 수련회에서 하셨던 법문중 하나입니다. 스님께서 독일 철학자 니체가 말한 신은 죽었다는 말의 의미가 무엇인지, 유일신 종교와 불교는 무엇이 다른지를 이야기하는 내용입니다. 동서양의 철학을 회통했던 스님의 식견이 드러나는 법문입니다. #성철스님 #니체와불교 #신은죽었다 성철스님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