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산의 이야기

군현지도의 유형과 지명 : 경상도 동래부를 사례로

한국지명유래집 경상편

군현지도의 유형과 지명 : 경상도 동래부를 사례로

지도의 내용과 수록된 지명 등을 바탕으로 볼 때 현재 남아 있는 군현지도는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됨이 확인되었다(표 1 참조)1). 첫째 유형은 해동지도 유형으로 홍문관에서 주도하여 편찬된 지도인 『해동지도』와 이를 모사한 지도이다. 둘째는 (비변사인)영남지도 유형으로 비변사에서 주도하여 편찬된 지도와 이를 모사하며 부분 수정되는 지도이다. 셋째는 20리 방안식 군현지도로 지도 위에 20리 방안이 그려진 지도이다. 이 지도는 군현을 연결하여 전국 혹은 도별 지도의 제작을 목적으로 편찬된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는 지방군현지도 유형으로 지방의 화원들이 그린 지도로 각 지역마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실경으로 묘사되는 것이 특징이다.

표 1. 경상도의 주요 군현지도책

표 1. 경상도의 주요 군현지도책서지유형소장처지도명편찬연대구성(크기:㎝)지도 계열
군현지도책 규장각 『경주·안동도회좌통지도』 18C 초기 1책(95×73) 해동지도
『해동지도』 18C 중엽 8책(47×31) 해동지도
『여지도』 1736~1776년 6책(27×19) 해동지도
『지승』 19C 초기 6책(27×19) 해동지도
『영남지도』 18C 중엽 1책(107×88) 1리 방안지도
『광여도』 19C 초기 7책(27×17) 해동지도
1리 방안지도
『조선지도』 1767~1776년 7책(50×39) 20리 방안지도
국립중앙도서관 『여지도』 1736~1776년 6책(30×29) 해동지도
『여지편람』 19C 초기 6책(미상) 해동지도
『각읍지도』 1703~1750년 1책(29×19) 해동지도
『팔도지도』 1785~1800년 8책(35×21) 20리 방안지도
『해동여지도』 1776~1795년 3책(34×21) 20리 방안지도
장서각 『영남도』 18C 중엽 3첩(107×88) 1리 방안지도
『지도』 1767~1776년 4책(44×65) 20리 방안지도
영남대박물관 『영남지도』 18C 중엽 1책(33×23) 1리 방안지도
고려대도서관 『팔도지도(초)』 18C 후반 1책(37×23) 20리 방안지도
고려대박물관 『동국여도』 19C 초기 7책(33×32) 20리 방안지도
간송미술관 『소화여도』
5책(미상) 해동지도
낱장지도 규장각 『1872년지방지도』 1872년 낱장(122×73) 지방지도
읍지부도 규장각 『여지도서』 1760년 전후 부도(21×31) 지방지도
『경상도읍지』 1832년 부도(27×35) 지방지도
『영남읍지』 1871년 부도(95×73) 지방지도
『영남읍지』 1895년 부도(21×31) 지방지도

이 절에서는 네 유형의 지도에서 대표지도 『해동지도』·『영남지도』·『조선지도』·『1872년지방지도』(그림 1~4. 참조)의 지명을 정리하여 수록 지명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표 2는 지도별 수록 지명의 빈도 분포이다. 지명 수는 『1872년지방지도』가 187개로 가장 많으며, 『해동지도』 123개, 『영남지도』 84개, 『조선지도』 56개, 『대동여지도』에 61개 지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림 1. 『해동지도』「동래」(규장각)

그림 2. 『영남지도』「동래」(규장각)

그림 3. 『조선지도』「동래」(규장각)

그림 4. 『1872년지방지도』「동래」(규장각)

지명의 유형별 빈도를 보면 자연지명은 『조선지도』에서도 26개(46.4%)로 가장 높다. 다른 군현지도에서는 『영남지도』에서 비교적 높고(28.6%), 『1872년지방지도』에서는 21개의 지명이 나타나나 비율(11.2%)은 가장 낮다. 자연지명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지명은 『해동지도』와 『영남지도』에서는 산 지명이, 『조선지도』에서는 섬 지명의 비율이 높다. 해안의 포나 대() 지명을 포함하면 더욱 높다. 이는 『조선지도』가 제작 과정에서 해안 지형을 중요한 정보로 사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군사·성곽 지명은 『해동지도』(32개, 26.0%), 『1872년지방지도』(48개, 25.7%), 『영남지도』(19개, 22.6%) 순으로 나타나며 『조선지도』에서는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매우 낮다. 이는 앞의 지도들이 통치·군사 목적에 의해 제작되면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이다. 방리 지명은 『1872년지방지도』가 55개 지명으로 가장 높으며 『조선지도』에서는 8개(14.3%)이다. 봉수는 모든 지도에서 4~5개가 기재되어 지역 구조의 이해에 중요한 장소였음을 보여준다. 『영남지도』에서는 봉산이 수록되어 있다.

다리는 『해동지도』에서는 5개가 표현되며 『1872년지방지도』에서 3개가 기재되어 있다. 다른 지도 유형에서 드물게 표현되는 조창이 10개, 장시가 6개 나타나는 것이 특이하다. 사찰은 『해동지도』에서 10개로 가장 많고, 『1872년지방지도』에서 6개, 『영남지도』에서는 5개가 나타난다. 교육기관과 의례가 이루어지는 장소에 대한 지명은 『해동지도』와 『1872년지방지도』에서 각각 8개가 기재되어 있다. 누대와 정자는 『해동지도』와 『영남지도』, 『1872년지방지도』에서 10여 개가 나타나나 그 비율은 『영남지도』에서 가장 높다.

이상과 같이 유형별 지도의 수록 지명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해동지도』와 『영남지도』는 지명의 빈도 분포가 유사하여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1872년지방지도』의 경우 다른 지명은 앞의 두 지도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나 방리, 조창, 장시 관련 지명이 자세하게 기재되는 점이 특이하다. 이들 3종의 지도에서 수록 지명의 빈도 분포가 비슷한 것과는 달리, 『조선지도』에서는 자연지명의 비율이 높고, 이는 『대동여지도』와 유사한 것이 주목된다.

『대동여지도』의 경우 자연지명이 31개(50.8%)로 가장 높게 나타나며 군사, 성곽 지명이 10개(16.4%), 경제, 교통, 통신 관련 지명이 13개(21.3%), 종교, 의례, 누정 관련 지명이 3개(5.0%)로 나타난다. 특히 자연지명 중에서 섬지명이 14개(23.0%), 해안지명이 8개(23.1%)로 높게 나타나는 것이 『조선지도』와 일치한다.

표 2. 군현지도 수록 지명의 유형(괄호 안은 각 지도 수록지명에서의 비율%)

 

표 2. 군현지도 수록 지명의 유형(괄호 안은 각 지도 수록지명에서의 비율%)유형유형 소분류『해동지도』『영남지도』『조선지도』『1872년지방지도』『대동여지도』
자연지명 12(9.8) 8(9.6) 6(10.7) 5(2.7) 7(11.5)
섬(,도) 6(4.8) 9(10.7) 12(21.4) 8(4.3) 14(23.0)
해안(,대·,포) 6(4.8) 4(4.8) 6(10.7) 6(3.2) 8(13.1)
하천 1(0.1) 3(3.6) 2(3.6) 2(1.1) 2(3.3)
소계 25(20.3) 24(28.6) 26(46.4) 21(11.2) 31(50.8)
군사·성곽 읍성·관청 7(5.7) 1(1.2) 0(0.0) 11(5.9) 1(1.6)
산성 7(5.7) 2(2.4) 1(1.8) 9(4.8) 1(1.6)
좌수영성 5(4.1) 5(6.0) 2(3.6) 4(2.1) 2(3.3)
부산포 5(4.1) 5(6.0) 5(8.9) 13(7.0) 5(8.2)
왜관 8(6.5) 6(7.1) 1(1.8) 11(5.9) 1(1.6)
소계 32(26.0) 19(22.6) 9(16.1) 48(25.7) 10(16.4)
면·동 12(9.8) 7(8.3) 7(12.5) 0(0.0) 0(0.0)
동리 4(3.3) 2(2.4) 1(1.8) 55(29.4) 1(1.6)
소계 16(13.0) 9(10.7) 8(14.3) 55(29.4) 1(1.6)
경제·교통·통신 고개(,현) 4(3.3) 2(2.4) 3(5.4) 8(4.3) 3(5.0)
봉수 4(3.3) 5(6.0) 5(8.9) 5(2.7) 5(8.2)
목장·봉산 0(0.0) 1(1.2) 1(1.8) 0(0.0) 3(5.0)
다리 5(4.1) 0(0.0) 0(0.0) 3(1.6) 0(0.0)
3(2.4) 2(2.4) 2(3.6) 3(1.6) 2(3.3)
조창 1(1.0) 0(0.0) 0(0.0) 10(5.4) 0(0.0)
장시·기타 2(1.6) 1(1.2) 0(0.0) 6(3.2) 0(0.0)
소계 19(15.5) 11(13.1) 11(19.6) 35(18.7) 13(21.3)
종교·의례·누정 사찰 10(8.1) 5(6.0) 0(0.0) 6(3.2) 2(3.3)
교육·의례 8(6.5) 3(3.6) 0(0.0) 8(4.3) 0(0.0)
누·정·대 10(8.1) 10(11.9) 0(0.0) 11(5.9) 1(1.6)
소계 28(22.8) 18(21.4) 0(0.0) 25(13.4) 3(5.0)
역사
3(2.4) 3(3.6) 2(3.6) 3(1.6) 3(5.0)

123(100.0) 84(100.0) 56(100.0) 187(100.0) 61(100.0)

출처:김기혁 외(2005).

연관목차

한국지명유래집 경상편 20/210

[네이버 지식백과] 군현지도의 유형과 지명 : 경상도 동래부를 사례로 (한국지명유래집 경상편, 20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