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피란민들의 생생한 삶과 기억을 담은 구술생애사
차례1. 들면서2. 피란민에서 정착민으로 Ⅰ. 황해도 “깽깽이”, 아미농악을 탄생시키다. Ⅱ. 부산 토박이, 한적했던 포구 마을의 피란민 수용소를 기억하다. Ⅲ. 충청도 괴산에서와 태극도인 아버지 대신 가족을 책임지다. Ⅳ. 강원도 농부 아들 깡통시장에서 대박의 꿈을 이루다. Ⅴ. 함경남도 피란민 부자(夫子), 농산물판매 외길로 성공하다. Ⅵ. 평안도에서 피란 와서 주경야독으로 야간고등학교 졸업장을 따다. Ⅶ. 일본 귀환동포 새댁, 매축지 마을 부녀회를 이끌다. Ⅷ. 함경남도 반공애국청년단원, 월남해 교육자의 길을 걷다. Ⅸ. 김일성대학 공대생, 월남해 하야리아 미군부대 건축기사가 되다.3. 나면서
6.25전쟁 당시 부산은 대한민국 최남단, 최후의 보루였다. 많은 피란민들이 대거 유입되고, 정부부처가 이전했다. 원주민들로도 이미 채워진 산동네 곳곳으로 피란민들이 비집고 찾아들어갔다. 유심히 살펴보면 아직도 부산 곳곳에 피란민들의 흔적이 산재해 있다. 그러나 60여년이라는 세월이 지나면서 피란의 흔적은 쇠락하거나 사라져가고 있다. 마찬가지로 피란민들의 기억과 삶의 자취들도 잊혀져가고 있다. 그러나 그 피란민들의 기억과 활동은 오늘의 부산이 있게 한 부산정체성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그들의 기억과 생존의 여정을 기록하는 것은 부산의 근대적 뿌리를 찾는 작업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산발전연구원(원장 강성철) 부산학연구센터는 피란수도로서의 부산의 정체성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를 연속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시리즈 두 번째로『6.25 피란생활사』를 최근 발간했다. 2015년에는『피란수도 부산의 문화예술』을 발간한 바 있다. 6.25 전쟁으로 피란 온 피란민이 부산에 정착하기까지의 생생한 삶을 구술생애사로 담아낸 의미 있는 작업이라는 평가다. 이 책은 주생활 근거지와 활동 근거지, 피란시기 등을 고려해 구성됐다. 이용환, 김응자, 신광전의 주생활 근거지는 아미동과 감천동이다. 신명섭, 장선오, 김종필의 활동근거지는 깡통시장, 국제시장, 남포동 등지이다. 피란민의 주생활근거지와 피란민들이 장사로 생계를 이어가던 시장공간의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 각 구술자들의 삶의 배경이 되는 부산의 공간성과 시간성을 넓은 시각에서 볼 수 있다. 이 보고서를 통해 피란민들을 때로는 끌어안았고, 때로는 실망시켰던 피란민 정책이 생생하게 드러난다. 상이군경과 유가족이 교사가 될 수 있었던 교육계 정책, 천막교실, 피란민과 토박이 간 또는 피란민과 피란민 간의 문화충격 등 다양한 생활 모습들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부산발전연구원 - BDI간행물 - 연구보고서 |
배혜수 쌍갑포차를 사랑하는 모임-쌍사모 | 무과수통조림 참고문헌. 6.25피란생활사, 피란민의 삶과 기억 - Daum 카페
'부산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관…조선 속의 일본 <16> 왜관에는 어떤 건물 있었나 (0) | 2021.04.28 |
---|---|
서구, 어디까지 알고 있니? (0) | 2021.04.27 |
그들이 사는 세상, 완월동 (0) | 2021.01.05 |
김형기 (0) | 2020.12.21 |
천년의 신비 간직한 동래온천 이야기 (0) | 2020.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