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산의 이야기

왜관…조선 속의 일본 <16> 왜관에는 어떤 건물 있었나

왜관…조선 속의 일본 <16> 왜관에는 어떤 건물 있었나

서관은 日 사절단 전용 숙소… 동관엔 신사와 매 기르는 응방도 둬

  • 국제신문
  • 디지털콘텐츠팀 inews@kookje.co.kr
  •  |  입력 : 2019-12-25 19:13:19
  •  |  본지 19면

- 용두산 중심으로 동·서관 나눠
- 조선이 돌담 위 쌓은 가시덤불
- 왜인들이 불태웠다는 기록도

- 서관보다 동관에 건물들 몰려
- 일본 재판관 집무소·불교 사찰
- 통역관·비서·하인 숙소도 있어

- 왜관 안 각종 생활용품점 즐비
- 두붓집·다다미 가게·술집 많아
- 음식 다양해 조선인에게 인기

 

‘조선도회’ 일부(일본 교토대도서관 소장). 

 

■1876년 왜관의 문을 허물다

1876년 2월 ‘조일수호조규’가 체결되었다. 흔히 말하는 강화도조약이다. 이 조약문의 네 번째 조항을 보면 “조선국 부산의 초량항(초량목)에는 일본 공관이 있고 여러 해 동안 두 나라 사람들이 통상하던 곳이었다”고 되어 있다. 새 조약을 체결 후 이곳에서 무역을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하였다. 초량항은 현재 영도대교와 부산대교가 있는 남포동과 대교동·봉래동 사이의 좁은 수로로, 바다 길목이 되는 곳이었다. 조약에서 말하는 ‘일본 공관’은 1678년부터 1876년 조약 체결 전까지 있었던 200년 역사의 초량왜관을 말한다.

강화도조약을 체결하고 6개월이 지나자 조선과 일본은 ‘조일수호조규부록’(양력 1876년 8월 24일)을 추가로 체결했다. 이 부록의 세 번째 조항에는 “부산 초량항(초량목)의 일본관에 종전에 설치한 수문과 설문은 지금부터 철폐하고 새롭게 정한 구역 경계에 푯말을 세운다”고 하였다. 수문은 왜관의 정문이고 설문은 왜관 북쪽 오늘날 부산역 앞 차이나특구 안에 있었던 문이다. 이 부록의 조항으로 1876년 12월 16일 왜관 정문인 수문이 철폐되었고 수문이 있는 담장도 함께 허물어졌다. 그러므로 일본인들은 조망이 시원하게 되었다고 여겼다.

왜관을 통제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조선에서는 왜관 주위를 담장으로 둘러쌌다. 처음에 흙담이었다가 시간이 흐르자 무너져 내려, 왜관에 도둑이 들고 각종 사고가 이어졌다. 그래서 1709년에 돌담으로 바꾸고 경계를 강화하였다. 18세기 말에 왜관에 온 일본인 역관이 쓴 ‘초량화집’에는 ‘돌담 위에 가시덤불을 올려놓았다’는 기록이 있다. 몰래 담장을 뛰어넘어 밀수 등의 불법적인 접촉이 늘어나자, 조선 측에서는 돌담으로도 모자라 가시덤불을 둔 모양이다. 그리고 일본인들은 거기에 불만을 두고 불태워 없애버린 적도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설문은 1709년에 세웠는데, 이 문 또한 통제의 문이었다. 조선 군인이 설문을 지키고 있으면서, 오가는 사람들을 감시하고 짐 수색도 하였다. 부산진에서 나와 설문을 지나면 왜관이 멀지 않았다. 왜관이 가까이에 있으니 여러모로 조심하라는 메시지를 주던 문이었다. 그러므로 개항 이후 일본인들이 통상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자 할 때, 초량왜관의 문들은 중세의 유산이자 걸림돌일 뿐이었다. 1880년대 중반에 그려진 것으로 보이는 ‘포산항견취도’에는 수문은 사라졌는데, 설문 자리에는 ‘旧サイ門’(옛 설문이라는 의미)이라고 적고, 기와가 있는 건물을 그려놓았다. 그림이 그려질 때까지는 설문이 완전히 허물어지지 않았던 듯하다.

 

변박 ‘왜관도’의 동관(1783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왜관 문 안의 건물들

초량왜관은 조선과의 외교와 무역을 위해 조선에서 설치한 공간이었다. 외교와 무역에 필요한 공적인 건물이 왜관 안팎에 들어섰다. 왜관 공간은 용두산을 중심으로 동관과 서관으로 나누어졌다. 오늘날 부산항 쪽이 동관이고, 반대쪽이 서관이다. 서관은 큰 대청이 3채, 대청마다 긴 행랑이 2개인 총 6개의 행랑 건물이 있는 구조였다. 오늘날 중구 대각사 주변이다. 서관은 일본 사절이 왔을 때 숙소로 사용하는 공간이었고, 어떤 사절이 어떤 건물을 사용하는지가 정해져 있었다. 특정 사절이 올 때만 사용하는 건물이었기 때문에, 날마다 사람들이 북적거리는 곳도 아니었다. 간혹 사절이 겹쳐서 왜관에 오면 정해져 있는 건물이 아니라 옆 건물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서관의 건물 구조는 개항 후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변박의 ‘왜관도’에서 보이는 서관의 삼대청 육행랑 구조가 ‘포산항견취도’(네모 표시)에서도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지금도 용두산공원 내 부산타워 꼭대기에 올라가서 서관 쪽을 바라보면 이 구조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음을 발견할 수 있다.

서관보다 동관에는 건물이 가득 차 있었다. 왜관에 장기 체류하는 사람들은 모두 공관에 살았다. 동관에도 삼대청이 있었다. 왜관의 일본인을 통솔하는 관수의 집무소이자 거주 가옥인 관수가(관수옥), 조선과 일본과의 무역 장소인 개시대청, 왜관에서 크고 작은 일이 생겼을 때 대마도에서 파견된 재판의 집무소인 재판가였다. 정문인 수문을 들어가면 바로 개시대청이 나타났다. 조선 상인들이 무역장소로 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든 구조였다. 개시대청과 재판가 사이에는 일본에 보낼 매를 기르는 응방이 있었다. 재판가 북쪽에는 불교 사찰인 동향사가 있었고, 이곳 승려들은 외교문서를 담당할 정도의 한문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때로는 조선 승려들과 시를 지어 나누기도 하였다. 왜관에 사는 일본인들은 이곳에서 예불을 올렸다.

왜관 안에는 사찰뿐만 아니라 신사도 있었다. ‘조선도회’를 보면 용두산 아래에 신사를 상징하는 붉은 색의 ‘도리이’가 그려져 있다. ‘왜관도’에는 신사를 신당이라고 적었다.

관수 이하 업무를 맡은 대마도의 관리, 특히 무역 등 경제 업무를 담당하는 대관, 조선인을 만났을 때 통역을 담당하는 일본인 역관들, 일본인 관리들에게 소속된 비서와 하인들이 모두 동관에 살고 있었다. 이들이 거주하는 집들이 삼대청 주변에 위치하였다. 또한 동관은 왜관에서 오는 배가 정박하는 선창이 있었다. 배에서 내리거나, 배에 실을 무역품을 보관하는 창고가 해안에 즐비하였다. 창고 안쪽에는 왜관 내 치안과 단속을 담당하는 일본인 관리의 집무소가 들어섰다.

‘포산항견취도’(개인소장, ‘부산고지도’·2008년 발췌).

 

■왜관 안 쇼핑센터

관수가 아래쪽에는 각종 생활용품을 파는 가게들이 즐비하였다. 장기 거주하는 일본인의 의식주 생활을 위해, 대마도에서는 상인들이 건너와서 왜관 안에 가게를 열었다. 왜관을 그린 그림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어떤 가게들이 있었는지가 나타난다. 일본 측에서 그린 ‘조선도회’에는 두붓집, 술집, 소바집과 같은 음식점, 일본인 집에 쓰이는 다다미를 파는 가게들이 그려져 있다. 대부분의 음식물은 왜관 문밖에 매일 서는 아침 시장에서 살 수 있었다. 그러나 조선 두부보다는 훨씬 연한 일본 두부, 조선 술보다 독하지 않은 일본 술, 일본 국수 등 일본 식자재와 음식물을 파는 가게들이 왜관에 들어서 있었다.

조선 술은 일본인에게 독하다고 알려져 있었다. ‘(일본인들의 말에) 우리나라 술과 귀국의 술은 특성이 다릅니다. 우리나라 술은 귀국의 소주처럼 독하지 않기 때문에 많이 드셔도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라고 일본어 교과서인 ‘인어대방’이란 책에 수록될 정도였다. 그리고 일본인 역관이 쓴 ‘상서기문습유’란 책에는 ‘탁주를 마시면 허리가 안 좋아 잘 걷지 못하게 된다’고 조선의 술을 평가했다.

왜관 안의 가게는 ‘왜관도’에서 좀 더 자세하게 나타난다. 떡집, 설탕 집, 병원, 옷감을 물들이는 염색 집, 돗자리 종류를 파는 가게, 선박에 사용하는 새끼줄류를 파는 가게도 들어서 있었다. 왜관은 대마도 성인 남자 500여 명이 장기거주하는 공간이었다. 그리고 업무를 맡은 조선인이 자주 출입하는 곳이었다. 조선인의 응접을 위한 것인지, 자가소비를 위한 것인지 ‘왜관도’에는 술집이 많이 그려져 있다. 새 술집, 옛 술집, 그리고 일본 소주를 파는 집까지 있었다. 두 나라의 역관들끼리 주고받은 편지를 보면, 일본 된장을 주고받는 기록도 있는 것으로 보아서 그림에 그려지지 않은 가게들도 있었던 듯하다. 다양한 일본 음식물을 파는 가게들이 많아서 조선인들도 왜관의 일본인에게 부탁하면 일본 식품을 구해서 먹을 수 있었다. 일본인 생활에 맞춘 일본식 가옥과 가게들이 들어서 있어 왜관은 일본인 마을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양흥숙 부산대 교양교육원 교수

- 끝 -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페이스북] [국제신문 인스타그램]

 

관련기사

 

왜관…조선 속의 일본 <6> 1678년 4월 23일 왜관 이사가는 날

- 임란 이후 무역장소 두모포왜관 - 완공 얼마 안돼 ‘불편하다’ 호소 - 1640년엔 선창·부지 협소 이유 - 이전 요청했지만 조선은 불허 - 日..

www.kookje.co.kr

왜관…조선 속의 일본 <16> 왜관에는 어떤 건물 있었나 : 국제신문 (kookj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