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상의 토박이

사상구의 정보

부산광역시 사상구 근대산업발달의 근원지, 부산발전의 중심지 서부신의 중심 강변도시 사상입니다.

지역 개요
지역 명칭(한글)사상구
지역 명칭(영어)Sasang-gu
지역구분부산광역시 > 사상구
지역 개요부산경제 중심도시로 부산 최대 공업지역을 보유한 사업, 물류, 유통, 중심지이다.
광역교통 거점도시이며 공항, 항만, 도로가 입체적으로 연결된 서부산의 관문이다.
생태환경 강변도시로 천혜의 자연생태계 보고인 광활한 낙동강 둔치를 보유하고 있다.
백양산과 낙동강이 함께 어우러진 사상구는 1914년에 동래군 사상면이었으며, 1963년에 부산직할시 승격과 함께 부산진구 사상출장소로 되었다가 1978년 2월 15일에 북구가 설치되었고, 1995년 3월 1일 사상구로 발족하게 되었다.
지역 일반 현황
위치동단은 모라3동 산110-1번지, 서단은 엄궁동 640, 남단은 엄궁동 산60-1, 북단은 삼락동 660이며, 동경129°01′14″~128°57′24″, 북위 35°6′50″~35°11′56″에 위치한다.
면적36.06㎢ [2012년 1월 1일 기준]
기후연강수량 1,478.6mm 연평균 기온 14.6℃ [2012년 1월 1일 기준]
인구수255,377명 남 130,016명 여 124,361명 [2013년 4월 8일 기준, 안전행정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출처]
가구수96,373 세대 [2013년 4월 8일 기준]
행정구역법정동(8), 행정동(12), 통(284), 반(1,445) [2010년 1월 1일 기준]
지역통계http://www.sasang.go.kr/tonggye/2010/fscommand/sasang.swf
정보 출처명사상구청 홈페이지 http://www.sasang.go.kr/
정보 출처 URLhttp://www.sasang.go.kr/cms/CmsAction.do?cmd=CmsView&menu_key=11&menu_id=114&HOME_SEQ=2&next=/01/02/11/57/01.jsp
http://www.sasang.go.kr/cms/CmsAction.do?cmd=CmsView&menu_key=11&menu_id=1047&HOME_SEQ=2&next=/01/02/11/272/416/08.jsp
http://rcps.egov.go.kr:8081/ jsp/stat/ppl_stat_jf.jsp
지역 역사⁄유래
유래고려 성종2년(983)에 지방관제가 반포되었는데, 전국에 12목을 두었다. 이때의 사상은 상주목에 속해 있었고, 성종 14년(995) 12목 제도를 고쳐 전국을 10도로 나누고 종전의 12목은 12주로 고쳤는데 사상은 영동도 양주군 동평현에 속해 있었다.
현종 13년(1021) 5도 양계제도의 정착으로 사상지역은 경상도 양산군 동평현에 속했다. 이후 조선초기까지 사상지역은 양산군 동평현에 속해 있었으나 조선 태종 5년(1405)에 동래현의 속현이 되었고, 태종 9년(1409)에 다시 양산에 속하였다가 세종 10년(1428)에 다시 동래현의 속현이 되었으며 그후 속현제도의 폐지로 동래현에 완전 흡수되었고, 명종 2년(1547) 동래현이 동래부로 승격되었다.
1914년 3월 1일 부·군 폐합으로 동래군 사상면이 되었으며 1963년 1월 1일 부산직할시 승격시 면사무소가 폐지되고 부산진구 사상출장소가 되었다가 1975년 10월 1일 구포출장소와 통합, 시 직할 출장소가 설치되고 1978년 2월 15일 북구가 설치되었으며 1995년 3월 1일 북구 관할에 있던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지역을 분할하여 사상구로 발족하게 되었다.
정보 출처명사상구청 홈페이지 http://www.sasang.go.kr/
정보 출처 URLhttp://www.sasang.go.kr/cms/CmsAction.do?cmd=CmsView&menu_key=11&menu_id=90&HOME_SEQ=2&next=/01/02/11/55/04.jsp
지역 상징물
시(군)목
시(군)의 나무 : 소나무
부산광역시 사상구 시(군)의 나무 : 소나무
소나무는 사상구 관내 백양산과 승학산에 대종을 이루는 수종으로 사계절 늘 푸르름이 있어 꿋꿋한 기상과 굳센 절개를 상징한다.
시(군)화
시(군)의 꽃 : 철쭉
부산광역시 사상구 시(군)의 꽃 : 철쭉 
철쭉꽃은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진록색의 잎과 조화를 이루고, 타오르듯 자주빛의 정열적인 꽃망울은 구의 진취적인 기상과 오래 지속되는 개화 기간은 번영을 상징한다.
시(군)조
시(군)의 새 : 까치
부산광역시 사상구 시(군)의 새 : 까치 
까치는 우리나라 전역에 번식하는 흔한 텃새로 주로 인가와 가까운 곳에서 서식하며, 희망찬 미래를 기약하는 길조로서 구의 무궁한 발전과 번영을 의미하며, 집단무리 생활은 구민의 화합과 단결을 상징한다.
심벌마크
  • 부산광역시 사상구 심벌마크 
  • 반원 : 지평선 위로 솟아 오르는 희망찬 아침의 태양을 표현했다.
    반원속의 그림 : 사상구의 구목인 소나무와 백양산을 표현했다.
    3선 : 낙동강과 강물을 표현했다.
슬로건
  •  부산 사상구 슬로건 이미지
  • 새로움을 의미하는 한자 新(신)과 ‘생겨나다' 또는 ‘날다'는 뜻으로 쓰이는 우리말 ‘나는'이 결합한 ‘新나는 사상'은 1차적으로 사상 주민들이 살맛나고, 부산시민 및 외부 관광객 남녀노소가 좋아하는 즐겁고 신나는 곳을 의미합니다.

    또한 한자 새로울 新을 통해 ‘첨단 신기술과 창의적 문화가 꽃피는 사상, 새로운 모습 으로 비상하는 사상' 등 새롭게 변화하려는 사상구의 비전과 의지를 중의적 의미로 표현하였습니다.
캐릭터
  •  부산 사상구 캐릭터 이미지
  •  · 신바람이는 사상구의 미래상인 ‘첨단문화도시'의 모습이자, 머리 위의 바람 개비를 이용하여 사상구 곳곳을 날아다니며 신바람을 일으키는 귀염둥이
    · 팔, 다리를 활짝 편 동작은 환영과 포용의 의미이며, 새로운 기술과 문화를 오픈 마인드로 받아들이고 발전시켜 나가는 사상구의 마음가짐을 의미함.
    · 그라데이션 칼라와 곡선으로 처리 된 몸 형태, 신나고 발랄한 태도 등 브랜드 슬로건  ‘新나는 사상'과 연계하여 표현함.
정보 출처명사상구청 홈페이지 http://www.sasang.go.kr/
정보 출처 URLhttp://www.sasang.go.kr/cms/CmsAction.do?cmd=CmsView&menu_key=11&menu_id=91&HOME_SEQ=2&next=/01/02/11/55/05.jsp
지역 문화/관광
관광정보사상팔경(평사낙안, 금정명월, 운수모종, 구덕조무, 원포귀범, 칠월해화, 팔월로화, 서산낙조), 삼락강변공원, 운수사 등을 소개한다.
역사문화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 운수사대웅전, 운수사대웅전석조여래삼존좌상, 부산영산재, 운수사아미타삼존도 등을 소개한다.
축제/체험사상전통달집놀이, 사상강변축제를 소개한다.
정보 출처명사상구청 홈페이지
정보 출처 URLhttp://www.sasang.go.kr/index/IndexAction.do?cmd=Index_Culture
지역 주요기관
행정기관
도서관
박물관
문화기관
교육연구기관
지역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