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상의 토박이

바로 알아야 할 지명-유도리, 소요리, 유두강

 

바로 알아야 할 지명-유도리, 소요리, 유두강

 

[2014년11월호] 바로 알아야 할 지명 / 유도리 김녕김씨 문중에서 개간했던 섬마을제방공사로 잘려 둔치로 편입…현재 삼락생태공원 자리낙동강 하구 지역의 섬마을이었던 유도리(柳島里)는 조선시대 양산군 좌이면(구포면)에 속했을 때의 공식 지명이다. 낙동강 하구에 수많은 모래톱이 형성되면서 하중도(河中島)가 생겨났다. 그 중 제일 먼저 형성된 대저도를 중심으로 강물이 갈라지면서 다시 하중도를 만들고, 홍수 등으로 인해 수로와 모래톱이 이리저리 바뀌면서 삼차수(三叉水) 세 물길로 크게 갈라지게 되었다...

 

  • [2014년10월호] 바로 알아야 할 지명/소요리 물길 갈라지는 요지에 있던 섬마을낙동강 제방 쌓으면서 둔치지역으로 바뀌어 소요리(所要里)라는 마을이름은 소요저도(所要渚島)에서 비롯되었다. 소요저도는 조선시대 낙동강 삼차수(三叉水)의 한 줄기인 유두강이 구포 쪽에서 소요저도의 동쪽, 즉 사상 쪽으로 흘렀다는 기록에서 물길이 갈라지는[渚] 중요한 요지라는 의미로 쓰인 지명으로 보고 있다. 소요리는 하중도(河中島)인 소요저도에 있던 섬마을이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양산군편에 “...
  • [2014년9월호] 바로 알아야 할 지명/유두강(柳頭江) 낙동강 하구 삼차수의 한 줄기였던 샛강강둑에 심은 버드나무에서 이름 따온 듯 조선시대 낙동강 삼차수는 서낙동강과 동쪽으로 낙동강 큰 줄기가 구포에 와서 두 갈래로 갈라져 흘렀다. 구포의 나나리(현재 북구청 청사 옆)에 이르러 소요저도(소요리), 유도(유두리) 큰 섬 사이로 강물이 강서의 덕두리 쪽으로 흘러 세 갈래 강물이 된 것이다. 구포에서 사상쪽으로 유두강(柳頭江)이라고 불러온 낙동강 삼차수의 한 줄기인 샛강이 있었다. 유두강은 강...
  • [2014년8월호] 바로 알아야 할 지명 / 구포 삼칠루 삼차수·칠점산 한 눈에 들어오는 곳누각 있던 언덕 지대에는 고층 아파트 들어서옛날 구포나루터가 있었던 강변의 지형은 낮은 암반지대로 형성되어 있었다.조선시대 나라의 세곡(稅穀) 창고인 감동창이 들어선 곳은 나루터에서 가장 가까운 언덕이었다. 그리고 남쪽으로 벋어있던 낮은 언덕지대에는 강을 내려다 보며 많은 집들이 들어 서 있었고 감동창 북쪽은 평지여서 나루터에서부터 장터가 형성되어 있었다.그리고 장터에서 감동창 뒤쪽으로 올라가는 짧은 고갯길을 ...
  • [2011년4월호] 바로 알아야 할 지명53-나나리 ='해가 지는 들판'이라는 뜻 담겨=북구청 등 들어서 옛 모습 찾기 어려워구남마을에서 강변쪽으로 범방천을 따라 경부선 철도 굴다리를 지나면 구포역에서 남쪽으로 나오는 길과 만난다. 그리고 낙동대로변에 빌딩들이 서쪽으로 향해 길게 늘어서 있음을 보게 된다낙동대로가 구포역앞에서 구포대교를 지나 강변쪽으로 벋어 있는 이곳의 지형은 지난 100여년 동안 몇 번이나 변한 지역이다. 나나리마을은 1930년대 구포다리와 낙동강제방이 생기고나서 본격적으로 형...
  • [2010년4월호] 바로알아야 할 지명 동두저포북구청 아래 굴다리에 있던 나루터낙동강 제방 쌓으면서 육지로 변모북구청에서 사상로를 따라 50여m 내려가면 경부선 철도 밑으로 인도와 차도로 이용되는 굴다리가 있다. 이곳에 옛날 나루터가 있었다고 하면 모두들 의아해 할 것이다. 그리고 북구청과 북부산등기소가 있는 자리도 지금으로부터 100여년 전에는 강물이 들어 왔던 곳이다.조선시대엔 낙동강 큰 물줄기가 하구지역인 구포에 이르러 세 갈래로 흘렀다. 한줄기는 현재의 서낙동강쪽으로 흘렀고 ...
  • [2008년11월호] 바로 알아야 할 지명 - 삼차수 =낙동강 하구지역 세 갈래 물길 삼차수=제방 쌓으면서 원래 모습 사라져강원도 태백에서 발원한 낙동강이 1,300리 기나긴 물길을 흘러내리면서 강 하구에 토사를 퇴적하였다. 그래서 생겨난 것이 삼각주(三角洲) 하중도(河中島)였고 김해만의 바닷물을 밀어내고 모래섬 사이로 수많은 샛강이 생겨났다.그 가운데 가장 큰 세 물길을 일컬어 삼차수(三叉水)라고 했다. 가야시대만 해도 큰 바다였던 김해만이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에 이르러 퇴적된 토사가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