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0년 부산 인구 전국 6위, 경북·인천에도 뒤져
2100년 부산 인구가 100만 명에 불과해져 인천보다 더 작은 도시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또 앞으로 10년만 흘러도 4명 중 한 명은 고령자가 될 것으로 예측되는 등 부산의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어느 도시보다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위원장인 새누리당 유재중 의원은 국회 입법조사처의 '균형인구 산정과 정책적 함의' 자료를 분석한 뒤, "2015년 348만 명의 부산 인구는 2100년에는 103만 명까지 감소하고, 2026년이면 노인인구 비중이 25%를 넘어설 수 있다"고 밝혔다.
국회 입법조사처 분석 결과
지금 같은 출산율 유지하면
부산 인구 100만 명으로 추락
2022년 초고령사회 진입
10년 후엔 4명 중 1명 '노인'
유 의원에 따르면 지금 같은 출산율이 유지되면 348만 명의 부산 인구는 2060년 100만 명이 감소한 234만 명이 된다. 2100년엔 지금의 3분의 1 수준인 103만 명으로 예측됐다.
부산의 인구 감소 속도가 빠르다 보니 인구 순위도 급격히 추락한다. 현재의 인구 규모는 경기와 서울에 이어 전국 3위다. 하지만 2060년이 되면 경남에 추월돼 4위가 되고, 2100년에는 경북과 인천에도 추월돼 6위로 떨어진다. 2200년에는 충북, 전북, 울산보다 더 작은 11위 도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 조사는 2014년 부산의 합계출산율 1.09명(전국 평균 1.21명)이 지속된다고 가정해 예측한 것이다. 저출산 문제가 지금보다 더 심각해지면 이번 예측보다 더 악화된 미래가 펼쳐질 수도 있다는 게 유 의원의 설명이다.
고령화 문제의 심각성도 다시 확인됐다. 부산은 2005년 8.3%였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이 지난해 14.7%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해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전국 지차체 중 7번째였고, 비교적 젊다는 특별·광역시 중에선 첫 번째였다.
이 같은 추이가 계속되면 부산은 2022년 노인인구 비율이 20.9%가 돼 초고령사회(20% 이상)에 진입한다. 전국 평균보다 4년이나 이른 것이다. 2026년엔 노인인구 비율은 25.2%에 이르러, 인구의 4분의 1 이상이 노인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실제로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부산의 60대 이상 인구는 6만 2818명이 늘어났지만, 60대 이하 인구는 21만 6948명이나 줄었다. 출산율은 떨어지고 50대 이하의 젊은 층들은 타 도시로 떠나면서, 60대 이상의 장년층이 남아 부산을 지키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유재중 의원은 "이대로 가면 제2의 도시라 불리는 부산이 활력을 잃고 침체된 도시가 되는 건 뻔한 일"이라며 "부산시의 인구 문제 총괄 전담부처의 신설과 면밀한 실태조사, 시민 수요에 맞는 세밀한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13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위원장인 새누리당 유재중 의원은 국회 입법조사처의 '균형인구 산정과 정책적 함의' 자료를 분석한 뒤, "2015년 348만 명의 부산 인구는 2100년에는 103만 명까지 감소하고, 2026년이면 노인인구 비중이 25%를 넘어설 수 있다"고 밝혔다.
국회 입법조사처 분석 결과
지금 같은 출산율 유지하면
부산 인구 100만 명으로 추락
2022년 초고령사회 진입
10년 후엔 4명 중 1명 '노인'
유 의원에 따르면 지금 같은 출산율이 유지되면 348만 명의 부산 인구는 2060년 100만 명이 감소한 234만 명이 된다. 2100년엔 지금의 3분의 1 수준인 103만 명으로 예측됐다.
부산의 인구 감소 속도가 빠르다 보니 인구 순위도 급격히 추락한다. 현재의 인구 규모는 경기와 서울에 이어 전국 3위다. 하지만 2060년이 되면 경남에 추월돼 4위가 되고, 2100년에는 경북과 인천에도 추월돼 6위로 떨어진다. 2200년에는 충북, 전북, 울산보다 더 작은 11위 도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 조사는 2014년 부산의 합계출산율 1.09명(전국 평균 1.21명)이 지속된다고 가정해 예측한 것이다. 저출산 문제가 지금보다 더 심각해지면 이번 예측보다 더 악화된 미래가 펼쳐질 수도 있다는 게 유 의원의 설명이다.
고령화 문제의 심각성도 다시 확인됐다. 부산은 2005년 8.3%였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이 지난해 14.7%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해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전국 지차체 중 7번째였고, 비교적 젊다는 특별·광역시 중에선 첫 번째였다.
이 같은 추이가 계속되면 부산은 2022년 노인인구 비율이 20.9%가 돼 초고령사회(20% 이상)에 진입한다. 전국 평균보다 4년이나 이른 것이다. 2026년엔 노인인구 비율은 25.2%에 이르러, 인구의 4분의 1 이상이 노인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실제로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부산의 60대 이상 인구는 6만 2818명이 늘어났지만, 60대 이하 인구는 21만 6948명이나 줄었다. 출산율은 떨어지고 50대 이하의 젊은 층들은 타 도시로 떠나면서, 60대 이상의 장년층이 남아 부산을 지키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유재중 의원은 "이대로 가면 제2의 도시라 불리는 부산이 활력을 잃고 침체된 도시가 되는 건 뻔한 일"이라며 "부산시의 인구 문제 총괄 전담부처의 신설과 면밀한 실태조사, 시민 수요에 맞는 세밀한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61013000380
'부산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단곶보성지(金丹串堡城地) (0) | 2016.11.01 |
---|---|
근대 부산극장사-활동사진상설관 시대 이전의 극장들 (1903년? -1913?) (0) | 2016.10.14 |
부산의 미래, 서부산에 길을 묻다 /송숙희 (0) | 2016.10.04 |
신병주의 규장각 다시 읽기 <12> 임진전란도 (0) | 2016.10.04 |
<기업 돌아오는 부산> ① 옛말이 된 산업용지난 (0) | 2016.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