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복도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일제강점기~한국전쟁 과정에서 형성된 근·현대사의 역사적 산물인 원도심 산복도로 일원 주거지역의 역사ㆍ문화ㆍ자연경관 등의 기존 자원을 활용한 주민주도 「마을 종합재생 프로젝트」
사업개요
- 대상지역 : 원도심 산복도로 일원 주거지역(6개구)
- 대상 자치구 : 중구, 서구, 동구, 부산진구, 사하구, 사상구
- 사업구역 : 3개 권역(구봉산, 구덕 · 천마산, 엄광산), 9개 사업구역
- 사업방향 : 공간·생활·문화재생을 통한 자력수복형 종합재생
- 사업방법 : 권역별 순차적 시행
- 사업기간 : 10개년 사업(2011~2020년)
- 사 업 비 : 1,500억원
사업구간(위치)
권역(천㎡) |
구역 |
구역면적(천㎡) |
사업연도 |
계 |
3개 권역9개 사업구역 |
10,444.2 |
|
구봉산권역(3,404.2) |
영주·초량구역 |
1,138.4 |
2011 |
좌천·수정구역 |
1,319.9 |
2014 | |
보수구역 |
945.9 |
2017 | |
구덕·천마산권역(3,205.0) |
아미·감천구역 |
1,416.6 |
2012 |
충무구역 |
1,076.6 |
2015 | |
대신구역 |
711.8 |
2018 | |
엄광산권역(3,835.0) |
범일·범천구역 |
922.7 |
2013 |
가야구역 |
1,159.3 |
2016 | |
주례구역 |
1,120.0 |
2014 | |
개금구역 |
633.0 |
2019 |
1차년도 사업(‘11~’12)
- 대상지역 : 영주·초량구역
- 사업규모 : 132억원, 30개 단위 사업
- 지역공동체 활성화 : 주민협의회·아카데미 운영, 마을기업 창업, 산복도로 마을축제, 마을 희망농장 조성, 상자텃밭 분양 등
- 물리적 환경개선 : 복합지원센터, 마을카페, 공동작업장 등 지역거점 조성
망양로 정비, 공동화장실 개선, 골목길/계단도로 등 기반시설 정비
2차년도 사업계획(‘12~’13)
- 대상지역 : 아미·감천구역
- 사업규모 : 127억원, 41개 단위사업(완료 29, 시행중 12건)
- 기반 및 공공이용시설 : 주차장 정비, 공동작업장, 마을쉼터 등
- 지역특화·상징 : 작은 박물관․미술관, 담장 가꾸기, 맛집 조성 등
- 마을만들기 : 주민협의체 구성 및 주민 참여형 마을만들기 사업
- 주민역량강화 : 찾아가는 의료지원, 국제워크캠프 개최, 야간경관 등
3차년도 사업계획(‘13~’14)
- 대상지역 : 범일·범천구역
- 사업규모 : 사업비 113억원, 31개 단위사업
- 기반 및 공동체시설사업 : 5개소(범일 이바구길, 커뮤니티학습관 등)
- 상징사업 : 2개소(마을광장, 전망대 등)
- 주민제안사업 : 10마을(마을거점시설 등)
- 시범마을조성 : 2개소(동구, 부산진구 1개소)
- 공통·지원사업 : 7건(산복도로 집수리사업, 시범아을 등 프로그램지원 등)
- 기타(국비)사업 : 5건(도심형 환경문화예술사업, 초량동 마을활력증진사업 등)
4차년도 사업계획(‘14 ~ ’15년)
- 대상지역 : 동구 좌천·수정구역, 사상구 주례구역
▷ 시범사업 서구 충무구역, 영도구 봉래산권역 일부 - 사업규모 : 사업비 114억원, 30개 단위사업
- 기반 및 공동체시설 : 9개소(성북시장 공중화장실 확충, 문화사랑방 조성 등)
- 상징사업 : 5개소(좌천 이바구길, 예술문화장터 조성 등)
- 주민제안사업 : 8개 마을(마을거점시설 등)
- 시범마을조성사업 : 1개소(8개 마을중 1개소 선정)
- 공통·지원사업 등 : 7개사업(마을축제, 집수리 지원사업 등)
좌천·수정구역 사업 현황도
주례구역 사업현황도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권역 확대
필 요 성
- 국토교통부「도시재생특별법」제정 등 정책변화 적극 대비
- 전국적 도시재생 모범사례인 본 프로젝트의 사업성과 확산
권역확대(안)
- 【기존】3개 권역(구봉산, 구덕·천마산, 엄광산)
- 【확대】6개 권역(기존 + 봉래산, 황령산, 금정산)
확대권역 시행방안
- 「도시재생특별법」의 국비지원 사업으로 시행토록 준비
추진상황 및 계획
- 확대권역 기초조사(’13.5월)
- 사업권역 확대방침 결정(’13.7월)
- 국비사업 반영(’15.상반기)
- [현 사업권역]수정산 일원 산복도로
- 도로노선수 : 7개
- 연장 : 35.3키로미터
- [추가 사업권역]금정산 일원 산복도로
- 도로노선수 : 7개
- 연장 : 12.7키로미터
- [추가 사업권역]황령산 일원 산복도로
- 도로노선수 : 1개
- 연장 : 6.3키로미터
- [추가 사업권역]봉래산 일원 산복도로
- 도로노선수 : 3개
- 연장 : 8.4키로미터
- [현 사업권역]수정산 일원 산복도로
추진성과
도시기반시설 정비 및 확충
구 분 | 사 업 명 | 개 요 | 비고 |
---|---|---|---|
도로개설 | 아미동 고지대 진입도로 외5개소 | 연장 391m(B=6~8m) 4,655백만원 |
|
도로정비 (보도, 골목길) |
망양로 도로정비 및 특화사업 외6개소 (보도정비, 옹벽특화, 탐방로, 골목길정비 등) |
연장 7.64㎞(B=1~15m) 3,326백만원 |
|
계단도로정비 | 임시수도기념관 연결계단도로 외16개소 | 1,891백만원 | |
모노레일 | 168계단 이동편의시설, 가든 조성 | 4,600백만원 | |
주차장확보 | 감천문화마을 공영주차장 | 주차면 53면 2,330백만원 |
|
공동화장실 | 신축(아미동 1개소), 정비(감천 1개소) | 70백만원 | |
휴게쉼터, 광장 | 감천문화마을 다목적 광장 외7개소 | 1,643백만원 | |
생활경관조명 | 서구 아미동 생활조명 개선 외2개소 | 341백만원 |
문화 및 관광인프라 구축
- 스토리텔링 공간조성 및 역사조명
- 금수현의 음악살롱, 밀다원 시대, 장기려 더 나눔센터, 이바구 공작소, 유치환의 우체통, 김민부 전망대, 최민식 사진전시관, 초량이바구 길 등
- 문화공간 및 예술인 창작공간 조성
- 아미 문화학습관, 기찻집 예술체험장, 감내어울터, 작은박물관, 작은미술관(3개소), 감천문화마을 빈집레지던시(5개소), 포토존(3개소) 등
- 우물터·버스쉘터 특화, 담장·골목가꾸기
- 우물터 특화(2개소), 전차 모양 버스쉘터(1개소), 조형물을 활용한 담장가꾸기(3개소) 등
- 산복도로 시티투어 버스 운행, 관광해설사 양성 운영
- 산복도로 투어버스 운행 및 도시해설사(12명)
- 감천문화마을 해설사(10명), 초량 이바구길 문화해설사(20명)
- 국내외 관광객 증가, 지자체 벤치마킹, 각종 수상 등 위상제고
- 감천문화마을(‘11년 3만→’12년 10만→‘13년 30만), 초량 이바구길(‘13년 22만) 경제적파급효과 450억 등 지역경제 활성화
- 중앙정부·지자체, 외국인(日·中·탄자니아·우간다) 관계자 등 단체방문
- ‘11 국토부 도시대상, ‘12 문광부 지역전통브랜드상, 아시아도시경관학회(일본소재) 아시아도시경관상, ’13 국토부 도시재생사례 우수상, ‘13년 민간협력 우수사례 공모 대상(대통령상)수상, ’13년 지역발전대상(대통령상)수상
- 감천문화마을 ‘14년 대학수능출제(사회탐구영역), 초·중·고 교과서 등재
마을공동체 회복
주민조직 및 행정지원
- 1~3차 사업구역 25개 마을만들기 주민협의회 구성·운영
- 마을계획가 16명, 마을활동가 25명, 주민협의회 25개
-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설치 공동체회복 지원(‘13. 5월 개소)
- 마을네트워크구축, 마을공동체육성 및 지원, 주민역량강화
- 프로그램개발보급, 마을만들기 연구/분석, 컨설팅지원 모니터링
주요활동
- 마을만들기 주민아카데미 교육 및 마을기업 창업학교 운영
- 주민이 만드는 마을축제, 희망농장조성, 상자텃밭 분양 등
- 감천문화마을 골목축제, 동구 초량지역 주민축제 등
- 작은 도서관, 공부방, 커뮤니티 공간조성 등 유대강화
- 감내골다모아센터, 죽림공동체, 산리마을회관, 마을공방, 마을카페 등
-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 사업을 통한 주민공동체 회복 실현
- 중·동구(10개지구), 아미·감천(5개마을) 주민참여 마을환경개선 및 각종 프로그램사업(주부합창단, 마을신문제작, 마을기자단운영 등), 마을홈페이지 제작·운영
- 취약계층 집수리 사업 추진
- 감천문화마을 집수리사업단 : 주민협의회 주도(대상 300가수, 30백만원)
- 동구 집수리사업 : 지역자활센터(대상 250가구, 125백만원)
- 진구 집수리사업 : 전문건설업체 혜민건설(대상 230가구, 125백만원)
마을기업 등 골목경제회생
- 주민운영 마을기업 창업(8개 기업)
- 감내카페, 감내맛집, 꽃마을 문화갤러리, 종합체험센타“까꼬막”, 골목점빵, 마을공방 샛디공동체, 할매레스토랑, 산리마을 반올림사업
- 협동조합 및 사단법인 설립(7개법인, 주민협의회 주도)
- 고분도리협동조합(서대신1), 아미골협동조합(아미), 산리협동조합(영주), 감내골다모아협동조합(감천1), (사)감천문화마을주민협의회(감천2), (사)슬로산복커뮤니티(초량), 할매레스토랑협동조합(초량)
- 주민공동작업장(노인 일자리) 등 마을거점시설 건립(14개소)
- 감천문화마을 골목상권 활성화(20개소 창업)
- 커피숍, 레스토랑, 편의점, 분식, 건축수리 등 마을경제활동 증가
대외적인 홍보실적
-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관련 국·내외 언론보도
- TV, 라디오, 중앙 및 지방지, 인터넷 매체 보도 : 750여회
- 감천문화마을 국외매체(CNN, 르몽드지, 알자지라, 日·中잡지) 소개
- 영화, 드라마, 예능프로그램 등 산복도로 가치의 발견
- 영화의집 3호점인증, KBS 적도의 남자, SBS 런닝맨, 영화(히어로, 그녀에게, 카멜리아, 네버엔딩스토리)
- 감천문화마을 도시재생 디자인 모델로 국제교류 협력 추진
- 일본 2회(2011, 2012) :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 니시오모테시
- 중국 2회(2012, 2013) : 하이난성 하이커우시, 허베이성 헝수이시
- 유네스코 워크캠프 개최(‘11~’12년 2회)
- 19개국, 39명 참여 감천문화마을 등 산복도로 문화체험
주요 언론보도사항
- CNN : 아시아에서 가장 예술적인 마을 Is this Asia’s artsiest town?
- 르몽드 : 미로 끝에 있는 예술마을 A Gamcheon, l’art au coin de la venelle
- 국제·KNN : 정부도 반한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
- KBS 등 : 박근혜 대통령,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 지역발전 성공사례"
'부산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복도로의 조망 9경 (0) | 2014.04.28 |
---|---|
부산 행복마을 만들기 사업 (0) | 2014.04.28 |
부산 사람도 모르는 부산 생활사 <15> 부산의 전쟁고아 - 넝마주이에서 (0) | 2014.04.24 |
시티투어버스, 5일부터 오륙도·황령산 봉수대 다닌다 (0) | 2014.04.08 |
부산항의 역사 (0) | 2014.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