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문화 이야기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건조물) 지정명칭 부여 지침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건조물) 지정명칭 부여 지침 [시행 2016. 2. 18.] [문화재청예규 제159호, 2016. 2. 18., 일부개정] 문화재청(유형문화재과), 042-481-4918 제1조(목적) 문화재보호법 제23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에 의하여 지정하는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건조물)의 지정명칭 부여 지침을 마련하여 통일성 있게 부여함으로써 국민 누구나 쉽게 문화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유형문화재 중 국보, 보물로 지정한 건조물(목조, 석조)문화재의 명칭부여에 적용한다. 제3조(공통적인 부여원칙)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건조물)의 공통적인 지정명칭 부여 기준은 다음과 같다. ① 지정명칭은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부여한다. 1. 문화재(문화재.. 더보기
상량문 상량문(上樑文) 상량문 한자명,사전위치,집필자 上樑文 한국민속신앙사전 > 가정신앙 > 제구 기량(奇亮) 정의 목조 건물 건축 과정에서 최상부 부재인 종도리(마룻도리)를 올리는 상량제(上樑祭) 때 사용하는 축문(祝文). 역사 상량제는 전통사회의 건축 조영 과정에서 행해지는 공정이자 제의로 텃고사[開基祭]와 함께 가장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때 쓰는 축문인 상량문(上樑文)은 중국 육조 때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유원(李裕元)의 『임하필기(林下筆記)』 「경전화시편(瓊田花市編)」에는 『문체명변(文體明辯)』의 상량문 개론을 요약한 내용이 나온다. 비록 중국 사례이지만 우리나라와 형식이 유사한 것으로 추측된다. 상량문이란 공사(工師)가 종도리를 올릴 때 하는 말이다. 세속에서 궁실을 지을 때면 반드시 길한 날을 받.. 더보기
성덕대왕신종 지난 2017년 2월 불교신문에 2회에 걸쳐 연재한 최응천 교수의 '성덕대왕신종'에 대한 기사를 다음과 같이 소개합니다. [최응천 교수의 한국범종 순례] ③ 성덕대왕신종 (上) 최응천 동국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 승인 2017.02.22 11:29 세속의 번뇌망상 잊게 해주는 천상의 소리 우리나라 범종 중 가장 긴 여운 사람이 듣기 가장 편한 주파수 예로부터 에밀레종 별칭 ‘유명’ 성덕대왕 왕생극락 ‘염원’ 담아 지금도 타종 가능한 신라 범종 8세기 통일신라 불교 조각 반영 ①통일신라 불교 조각의 진수를 간직한 성덕대왕 신종. 국보 제29호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의 범종은 그 소리가 웅장하면서 긴 여운을 특징으로 한다. 마치 맥박이 뛰는 듯 끊어질 듯 이어지는 이러한 범종의 긴 공명을 우리는 맥놀이 현.. 더보기
전세계 벽화 중 가장 많은 인원 등장하는 3호분 대행렬도 안악 3호분 대행렬도 고구려 벽화 고분 중 황해남도 안악군에서 1949년에 발견된 안악3호분을 소개한다. 357년에 지어진 이 무덤은 다양한 내용의 벽화가 그려져 있는데, 특히 흥미를 끄는 것은 회랑에 그려진 대행렬도 이다. 대행렬도(출행도)는 고분의 동쪽회랑 동벽에 높이 2m, 길이 약 10m에 걸쳐 그려져 있는 벽화이다. 안악 3호분 대행렬도1-전세계 벽화 중 가장 많은 인원 등장 ▲ 길이 10m · 높이 2m의 대작 잘 다듬은 화강암 판석 위에 석회를 바르지 않고 직접 채색하여 그렸다. 250여 명의 대행렬이 질서정연하게 이동하는 모습으로, 주인공이 살아 있을 당시 중요한 행사의 한 장면을 그려놓은 것으로 보인다. 각양각색의 깃발을 든 사람들이 있고, 그 가운데에 주인공이 수레를 타고 있다. 안악3.. 더보기
명성왕후가 딸 명안공주에게 보낸 편지 명성왕후가 딸 명안공주에게 보낸 편지(4) 글시 보고 다시 보  든 든 반가와노라 포 못 보와 다가 어제 그만이 나 보니 반갑기 이업 되 하 덧업시 녀가니  여 밤새긋 섭섭 기 아라타 업서  노라 글씨 보고 다시 보는 듯 든든하고 반가워한다. 한 달 이상 못 보다가 어제는 그만큼이라도 보니 반갑기 그지없으나 너무 덧없이 다녀가니 꿈같아서 밤새도록 섭섭하기가 더할 수 없어 한다. 글시 보고 다시 보  든든 반가와노라 포1) 못 보와 다가 어제 그만이나 보니 반갑기 이업되 하 덧업시 녀가니2)  여3) 밤새긋4) 섭섭기 아라타5) 업서 노라 ㆍ주석내용 1) 포 달포. ‘달포’는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을 의미한다. 2) 녀가니 다녀가니. 3) .. 더보기
불화 의미 읽는 법 HOME 기획&연재 기획연재 김정희교수의 동아시아 불화 [동아시아 불화] 불화 의미 읽는 법 김정희 원광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승인 2019.12.18 14:02 불화를 만나거든 오직 ‘경건한 마음’으로 대하길… 종교적 내용 법식으로 제작된 ‘불화’ 시대 국가 민족 작가따라 표현 다양 박물관 유물 아닌 법당의 예배 대상 불교역사, 불교설화, 기법 등 알아야 ‘기법과 양식’에 대한 이해도 있어야 불화 제작의 모든 정보 기록한 화기 인도나 동남아시아, 실크로드, 중국, 일본 등 불교국가를 여행하다 보면 사원을 장식한, 혹은 전각 안에 봉안된 불화를 보게 된다. 그런데 각 나라의 불화를 보면 달라도 참 다르다. 어떤 곳은 벽화로, 어떤 곳은 탱화로 주로 그려지기도 하고, 티벳이나 일본에서는 만다라와 같은 독특.. 더보기
시조(始祖), 도시조(都始祖), 중시조(中始祖)혹은 기세조(起世祖) 시조(始祖), 도시조(都始祖), 중시조(中始祖)혹은 기세조(起世祖) ​ 1.姓氏의 유래 우리나라 성씨는 대부분 삼국시대에 와서 賜姓을 받았거나 그 고을의 동족이 起居하며 나라에 공을 세운 인재가 있을때 임금으로 부터 得姓을 하였다. 또한 姓을 쓰기 시작한 시기를 史實로 추정해보면 고구려 시대 장수왕 시대 부터이고 백제 시대는 근초고왕 때부터 그리고 신라는 진흥왕 때부터라고 본다. 시대별 성씨의 분류는 高句麗시대의 성씨; 高, 乙,藝, 송(松) 穆, 간,주(舟), 孫, 童, 채, 연(淵), 明臨, 乙支 百濟 시대의 성씨; 여, 사, 연, 협, 해, 진,국, 목, 8족과 왕, 장, 사, 마, 수미,고이, 흑치 新羅 시대의 성씨; 朴昔金 3성과 李, 崔, 鄭, 孫, 裵, 薛 6부의 姓과 張, 비 등 이 있었다.. 더보기
[사찰성보문화재 50選] ⑮예천 용문사 팔상도 [사찰성보문화재 50選] ⑮예천 용문사 팔상도 이분희 문화재전문위원·불교중앙박물관 팀장 승인 2021.05.31 14:52 호수 3667 부처님 탄생에서 열반까지…가장 드라마틱한 장면 보물 제1330호 예천 용문사 팔상도.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224㎝, 가로 180㎝. 조선 숙종 35년(1709)에 제작된 팔상도 전 장면이 한 폭에 두 장면씩 그려져 총 4폭에 온전하게 남아 있다. ①‘비람강생상’과 ‘도솔래의상’ ②‘유성출가상’과 ‘사문유관상’ ③‘수하항마상’과 ‘설산수도상’ ④‘쌍림열반상’과 ‘녹원전법상’. 초록으로 빛나는 거리에 형형색색 나부끼는 연등이 삭막한 우리 마음을 환하게 밝혀준다. 부처님오신날이 다가오고 있다. 이를 맞이하기 위한 준비로 사찰은 일 년 중 가장 분주한 시기를 보내고 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