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始祖), 도시조(都始祖), 중시조(中始祖)혹은 기세조(起世祖)
1.姓氏의 유래
우리나라 성씨는 대부분 삼국시대에 와서 賜姓을 받았거나 그 고을의 동족이 起居하며 나라에 공을 세운 인재가 있을때 임금으로 부터 得姓을 하였다. 또한 姓을 쓰기 시작한 시기를 史實로 추정해보면 고구려 시대 장수왕 시대 부터이고 백제 시대는 근초고왕 때부터 그리고 신라는 진흥왕 때부터라고 본다.
시대별 성씨의 분류는
高句麗시대의 성씨; 高, 乙,藝, 송(松) 穆, 간,주(舟), 孫, 童, 채, 연(淵), 明臨, 乙支
百濟 시대의 성씨; 여, 사, 연, 협, 해, 진,국, 목, 8족과 왕, 장, 사, 마, 수미,고이, 흑치
新羅 시대의 성씨; 朴昔金 3성과 李, 崔, 鄭, 孫, 裵, 薛 6부의 姓과 張, 비 등 이 있었다.
신라의 前身인 斯盧國 육부촌장때 받은 사성은 성씨가 表現 되지 않았다. 신라의 시조 朴赫居世는 원래 赫居世이고 후손들이 성씨를 붙인것이다. 신라초기에는 성씨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金閼智가 아니고 閼智이며 昔脫解가 아니라 脫解이다.
<三國遺事記에 제1 신라시조 박혁거세왕>편에 기록된 진한 6촌 과 賜姓은 다음과 같다.
진한의 땅에는 옛날에 6촌이 있었다.
첫째는 알천 양촌이고, 村長은 알평이다.------------ 李씨의 조상
둘째는 고산 고허촌이고, 촌장은 소벌도리이다.----------- 崔씨의 조상
셋째는 무산 대수촌이고, 촌장은 구레마이다.------------- 孫씨의 조상
넷째는 자산 진지촌이고,, 촌장은 지백호이다.------------- 鄭씨의 조상
다섯째는 금산가리촌이고 촌장은 지타이다.-------------- 裵씨의 조상
여섯째는 명활산 고야촌 이고, 촌장은 호진이다.----------- 薛씨의 조상
2.始祖위의 시조는 都始祖
鼻祖와 都시조의 정확한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鼻祖는 흔히들 많이 쓰여져 잘 알고 있다시피 시조 이전의 先系조상중 가장 높은 시람을 말한다. 그럼 都시조와 무엇이 다른가, 都시조란 系代의 맨 윗대 조상을 시조로 하였는데 시조위의 계대를 모르다가 나중에 문헌이나 자료가 발견되어 그 시조의 諱를 알게 되었을때 이를 都始祖 라 한다. 비조와는 비슷하면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起世祖도 이와 비슷하게 해석이 된다. 中시조와 같다. 中始祖 란 시조 이후에 쇠퇴하였던 가문을 중흥시킨 조상을 지칭하는데 起世祖란, 보통 족보등 계대를 보면 시조를 1世로 하는데 윗대 조상의 소목이 불분명하여 나중에 世를 정함에 도시조나 시조를 계보에 1世로 할 수 없을때 宗中의 推尊을 받아 어느 훌륭한 조상을 1世로 하는 조상을 起세조라 보는것이 합당하다.
그러나 맨 윗대의 조상을 처음부터 시조로 호칭하였다면 구태어 都시조라고 할 필요는 없다.
3. 몇 姓氏 本貫의 例
이해를 돕기위해 몇 姓氏를 뽑아 올려 보기로 한다.
(慶州崔氏의 예)
경주 최씨의 시조가 孤雲 崔致遠선생이다. 그 첫 시조는 6부촌장 중 돌산 고허촌장 소벌도리이다. (삼국사기) 孤雲선생은 소벌도리 촌장의 24代 후손이라는 기록도 있으나 그 확실한 系代는 알려져 있지 않다.이럴 경우 孤雲선생이 始祖로 불린 만큼 소벌도리 촌장은 '都始祖'라고 불러야 하고 고운선생은 '中始祖'로 호칭하는 것이 마땅하나 고운 선생을 그냥 '始祖'로 호칭 하고 있다.
(慶州李氏의 예),
경주이씨도 6부촌장으로 부터 賜姓을 받은 표암공(휘 알평)을 시조로 하고 있다. 시조 이후 900년의 系代를 모르다가 신라말 소판공(휘 거명)이후부터 계대를 알게되어 소판공을 중시조로 하고 있다.여타 족보에는 시조를 1세로 하여 후손과의 관계를 世(代), 世數(代數), 世孫(代孫)수로 읽고 祖孫간의 나타내고 있다.
모든 기록물에도 위와 같이 시조가 1世로 기록하여 내려오는데 시조보다 더 윗대 조상을 새로 알게 되었다고 하여 여태까지 읽던 世系를 다시 처음 1世부터 달리 읽을 수는 없다.
만약 지금에 와서 새로 알게된 시조 윗대 조상을 '시조'로 한다면 현재의 시조를 중시조로 해야하고 새로운 시조 부터 세 수를 읽어야 하니 어려운 일이다.
해서 모든 기록물을 그대로 두고 새로 발견된 시조 윗대 조상을 한 단계 높여 '都시조'로 읽어야만 족보등 기록을 고쳐 쓰지 않아도 될 것이다.(이이록 녹전)
(迎日鄭氏의 예)
우리나라 鄭氏는 후대에 여러갈레로 갈라져 본관을 달리하나 정씨는 모두 智伯虎의 후예들이다. 영일정씨의 原流는 지백호로 하나 연대가 워낙 오래고 考證이 없음으로 系代를 詳考할 수 없어 지백호의 遠孫 宗殷을 도시조 (都始祖))로 하고 후손 宜卿이 迎日戶長을 지냈고 迎日縣伯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연일,영일 또는 오천으로 하였다.그런데 영일정씨는 연원은 같으면서도 昭穆을 밝히지 못하는 두 파가 있는데 그 하나는 고려 의종의 重臣으로 추밀원 지주사를 지낸 鄭襲明을 1世祖(起世祖)로 하는 知奏事公파와 고려때 監務를 지낸 克儒를 1世祖(起世祖)로 하는 監務公파가 그것이다. 이 두 파는 先系의 失傳으로 서로 촌수를 헤아리지 못하고 世系를 고증할 길이 없어 合譜하지 못하고 있으며 同原이면서도 족보 편찬과 종친회 활동을 각각하고 있다. 지주사공파는 圃隱을 낳고 감무공파는 松江을 낳아 영일정씨의 이름을 크게 떨쳤다. 지주사공파의 종은을 도시조로 하나 그 뒤의 세계가 불확실해 정습명을 1世 起世祖로 하고 있다. 起世祖 습명의 代부터 영일에 世居하였다. 9世 정광후와 10世 정운관의 대를 전후하여 영천으로 옮겨 갔는데 영천 임고 우항리에 圃隱선생의 옛집이 있었다고 한다. 포은의 '諸城驛'이란 시에도 "영천과 오천은 모두 나의 고향이다"라고 하여 선조들이 그 곳에서 世居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말 포은이 순절,가문의 위기를 맞자 전공판서였던 정인언이 아들 공조판서 정광후와 함께 영천 南錢村으로 은거하게 됨으로써 영천이 世居地가 된 것이다.
지주사공파의 分派는 습명의 10세를 派祖로 하여 8개파로 나뉘어진다. 夢周의 후손이 圃隱公파, 문예의 후손이 生員公파, 문계의 후손이 文繼공파, 문손의 후손이 文孫공파, 문비의 후손이 司正公파, 문욱의 후손이 正郞공파, 향지의 후손이 萬戶공파, 희손의 후손이 都事공파이다.
文繼공파의 후손은 영천일원에 都事공파 후손은 경주,영일 자양 죽장 장기 ,포항, 울진 등 지역에 世居하여 왔다.
1722년 후손들이 墓壇을 쌓고 제사를 올린후 영조때 포항시 대송면 남성리에 형양공 습명의 壇所와 壇所아래 제숙지소인 南城齊가 있어 해마다 제사를 올린다.
고려말의 節身으로 조선조 500년간 유학자들의 추앙을 받았으며 오늘날까지 그 이름이 빛나는 圃隱 정몽주는 起世祖 (중시조) 정습명의 10世孫이다 (世로는 11世). 필자의 고향 영천임고에 '東洋理學之祖' 圃隱을 기리는 임고서원 1602년 현위치로 옮겨 중건되었으며 1980년 향토 유림들의 협찬으로 보수 정화하였다.
鄭世雅(1335-1612)는 자가 화숙, 호는 湖수 명종13년 사마시에 합격 선조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대장이되어 영천의 적을 격퇴하고 서울이 수복되자 군사를 조희익에게 맡가고 紫陽에 들어가 후진을 양성했다.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영천의 환고사에 제향, 시호는 강의, 정세아의 장손인 정호례가 1643년 영천시 大田洞에 지은 호수종택이 있다.
<慶州李 녹전, 영일정씨 포은사랑방(古方) 글 참조>
http://blog.daum.net/geun8032/1275
始祖, 都시조, 中시조 혹은 起世祖
'전통문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성왕후가 딸 명안공주에게 보낸 편지 (0) | 2021.09.21 |
---|---|
불화 의미 읽는 법 (0) | 2021.09.16 |
[사찰성보문화재 50選] ⑮예천 용문사 팔상도 (0) | 2021.08.29 |
부뚜막의 신, 조왕 (0) | 2021.08.25 |
우물 (0) | 202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