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과 동물 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의 메뚜기 한국의 메뚜기 <어리여치과> 몸은 원통형으로 길며 여치와 비슷하나 날개에 울음판이 없다. 입에서 실을 내어 나뭇잎을 붙이는 습성이 있다. 낮에는 집 속에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일정한 시간대에 잎 위로 나와 활동하는 야행성 곤충이며 더듬이가 매우 길게 잘 발달하였다. 주로 .. 더보기 수서곤충이란? 수서곤충이란? 수서곤충은생활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중에서 생활하는 곤충류를 총칭하는 것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수서곤충학(Aquatic Entomology)이라 한다. 수서곤충은 바다에서 발견되는 몇 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천이나 호소 등 내륙의 수역에서 서식한다. 수서곤충류는.. 더보기 수생곤충과 식물 수생곤충 [水生昆蟲, aquatic insect] 곤충류는 계통발생면에서 보면, 본래는 육생(陸生)이며, 2차적으로 다시 수중생활을 하게 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비교적 원시적인 하루살이·잠자리 등의 유충도 수생이다. 수생곤충에도 일생 동안 수중에서 생활하고, 이동 또는 월동할 때에 물을 떠나.. 더보기 맹꽁이 암수 구분 맹꽁이 암수 구분 [출처] 맹꽁이 암수 구분 (한국양서파충류보존네트워크) |작성자 꼬마잠자리 수수컷이 암컷을 잡기 위해 안쪽에서 세번째 발가락이 특히 발달한 것을 알수 있습니다. [출처] 맹꽁이 암수 구분 (한국양서파충류보존네트워크) |작성자 꼬마잠자리 더보기 올빼미 올빼미 조그만 새끼 올빼미가 매서운 눈빛으로 처녀 비행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은 25일(현지시간) 최근 사진작가 스티브 워드(34)가 촬영한 올빼미 새끼가 첫 비행에 도전하는 보기 드문 사진을 공개했다. 어미 올빼미로부터 둥지에서 쫓겨난 이들 올빼.. 더보기 좀남색잎벌레 좀남색잎벌레 딱정벌레목 잎벌레과의 곤충. 학명은 Gastrophysa atrocyanea Motschulsky 몸길이 5~6mm 정도의 소형 잎벌레이다. 몸은 전체적으로 긴 타원형 모양이다. 몸은 전체적으로 푸른빛을 띠는 검은색이며 등쪽은 광택이 있는 남색을 띤다. 몸의 등쪽으로는 세로줄 모양의 점각 무늬가 많이 나.. 더보기 10년 흐른 부산 자연은 어떤 모습? 10년 흐른 부산 자연은 어떤 모습? 김경희 기자 다른기사보기 2013-01-15 [11:02:11] | 수정시간: 2013-01-15 [14:56:59] | 9면 ▲ 멸종위기종 맹꽁이와 수달. 외래종으로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뉴트리아(왼쪽부터). 부산일보 DB '10년 전과 지금, 부산의 자연환경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부산 전역의 산림.. 더보기 새 소리를 비롯한 동물소리 새 소리를 비롯한 동물소리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Temminck, 1836 멧새 Emberiza cioides Brandt, 1843 큰유리새 Cyanoptila cyanomelana (Temminck, 1829)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Sclater, 1863 동박새 Zosterops japonicus Temminck & Schlegel, 1845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Temminck & Schlegel, 1847) 쇠박새 Parus palustris Linnaeus, 1758 ..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