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분벽화 속 문양 여행
'고구려 고분 벽화 속 문양 여행' 3부작 영상을 공개합니다. 천오백년 전 고구려인들이 고분 속에 그린 벽화에는 어떤 의미들이 담겨있을까요?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이 연구한 고구려 고분벽화 속 문양 이야기를 여러분께 들려드립니다.
(본 영상은 국립문화재연구소 유튜브를 통해 공개) ▶ 1부 → 11월 18일(수) ‘천상의 세계를 그리다’ ▶ 2부 → 11월 25일(수) ‘사후세계의 수호신, 사신도’ ▶ 3부 → 12월 2일(수) ‘인간세상을 그리다’
제1부 '천상의 세계를 그리다' | 고구려 고분벽화 | 문양 | 사후관 |
https://youtu.be/nYv37RFZk_Y?si=l8swYsf0oVLjszXp
천오백년 전 고구려인들이 고분 속에 그린 벽화에는 어떤 의미들이 담겨있을까요?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이 연구한 ≪고구려 고분벽화 속 문양 여행≫ 이야기를 여러분께 3주에 걸쳐 들려드립니다.
오늘 제 1부 ‘천상의 세계를 그리다’가 공개됩니다. 고구려인들에게 죽음은 또 다른 시작이었습니다!
천장 벽화에 그려놓은 고구려인들의 사후관과 그들이 꿈꿨던 아름다운 천상의 모습을 소개합니다.
제2부 '사후세계의 수호신, 사신도' | 고구려 | 고분벽화 | 문양 | 한국회화 |
https://youtu.be/GIh3mttFbrM?si=z2WfU1v0aLOgGP_J
제2부 ‘사후세계의 수호신, 사신도’에서는 한국 미술의 걸작으로 꼽히는 사신도의 아름다운 회화성과 음양오행을 숭상했던 고구려인들의 정신세계에 대해 살펴봅니다.
제3부 '인간세상을 그리다' | 고구려 | 고분벽화 | 문양 | 무용도 | 씨름도 | 장례풍속 |
https://youtu.be/qU-xSQK1vak?si=F4Hcm0CoEw9HHIXB
천오백년 전 고구려인들이 고분 속에 그린 벽화에는 어떤 의미들이 담겨있을까요?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인 고구려 고분벽화의 학술연구(자료 수집 및 문양 연구)를 지난 3년 동안 진행해왔으며, 그 성과를 많은 분들에게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연구를 담당한 학예연구사의 해설과 다양한 사진 및 그림 도안을 함께 선보이는 ≪고구려 고분벽화 속 문양 여행≫ 마지막 이야기가 오늘(2일) 공개됩니다.
마지막 편인 3부 ‘인간세상을 그리다’는 고분 속에 무용도와 수렵도, 씨름도 등을 그린 이유와 고구려의 장례풍속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고분 속에 춤추는 사람들과, 씨름하는 사람, 그리고 사냥하는 그림은 왜 그렸을까요? 그림에 담긴 비밀과 고구려의 장례풍속에 대해 설명해드립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며 “좋아요”와 “구독”은 사랑입니다♡
관련 영상
KBS 스페셜 – 남북공동제작 고구려의 부활 1부, 고구려 수도 평양성 / KBS 20040710 방송
https://youtu.be/nYA7Qwg1p4Q?si=HtqP7dFcLCYsz8pi
2편 고구려 벽화, 세계와 만나다
https://youtu.be/3ZBwc45EO84?si=J0giowZQgNclbyBD
고구려 역사유적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맞춰, 남북 역사학자의 고구려 유적 공동답사를 통해 고구려 역사, 문화의 역동성과 계승의 문제를 조명한다.
2편 고구려 벽화, 세계와 만나다
◼︎ 벽화, 1,500년 전 고구려인을 만난다 기록은 왜곡이 될 수 있지만 그림은 거짓없이 1,500년 전을 증언한다. 중국은 세계문화유산 신청에서 대규모 왕성 정비에 집중했고, 북한은 벽화 중심으로 신청했다. 현재까지 발견된 벽화고분은 중국 집안권이 30기, 평양권은 73기로 중국이 다수일 것이라는 예측을 뒤집는다. 평양지역에서 벽화고분이 집중 출현하는 것은 평양천도 후 고구려 문화의 전성기와 관련돼 있고, 그림의 주제와 표현에서도 한층 성숙한 면모를 보인다. 세계에 많은 벽화가 있지만 '고구려'벽화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은 그만큼 독자적인 문화가 함축돼 있기 때문이다.
◼︎ 최초 촬영, 수산리 벽화 1,500년 전 화려한 나들이 순간의 고구려인을 만난다. 주름치마를 입고 얼굴에 곤지를 바른 귀부인과 박쥐모양의 우산을 들고 따라가는 시중들의 모습에는 고구려인의 얼굴 표정, 복식 등이 그대로 살아 있다. 지하궁전이라고 불리는 안악 3호분은 봉분이 30m가 넘고 무덤 기둥이 장엄하다. 고구려 사람들은 현세의 삶이 내세에서도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살아 생전의 공간을 지하무덤에 그대로 재연했는데, 안악 3호분에는 1,500년 전의 부엌 살림살이와 외양간 등을 볼 수 있다. 고구려 벽화의 주제는 인물풍속도-장식무늬-사신도로 변화된다. 진파리 1호분에서는 바람에 휘날리는 연꽃의 향내를 맡고, 북벽에서 현무와 함께 무덤을 지키는 소나무의 고고한 자태를 볼 수 있다. 고구려 시조 동명왕릉의 발굴 전 모습을 영상복원하고, 사신도로 유명한 강서대묘를 답사한다. 현장에서 확인한 벽화의 보존상태는 도록보다는 훨씬 생생했지만, 땅에서 올라오는 습기로 벽화 밑부분에 탄산칼슘층이 두껍게 형성되고, 떨어져 나간 부분이 많아지고 있는 상태여서 보존을 위한 과제가 시급함을 확인한다. '고구려'벽화가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통해 가치를 인정받은 것은 벽화고분의 우수성 뿐 만 아니라, 죽음에 대한 숭고한 의식과 승화라는 인류 보편의 가치와 감동이 담겨있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KBS스페셜 – 남북공동제작 고구려의 부활 2부, 고구려벽화 세계와 만나다 (2004.7.11.방송) http://history.kbs.co.kr/
'전통문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보물 괘불 인터넷 갤러리에서 고화질로 감상한다 (0) | 2024.07.15 |
---|---|
안악3호분을 해부한다 (0) | 2024.07.14 |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소개 (0) | 2024.07.13 |
60년대부터 세계의 한글 연구 본격화 (0) | 2024.07.13 |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 선암사 (0) | 202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