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의 양식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자왈: "군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불화."

: ", ." 

원문

: ", ."
(자왈: "군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불화.")

 

문법 설명 및 어휘 풀이

1) (소인동이불화): 소인은 (이익을 위하여 상대방의 생각에 줏대 없이) 뇌동하기는 하지만 (생각이 서로 다른데도 불구하고 그것을 잘 조절하여) 화합을 이루지는 않다.
 (화): 상대방의 생각이 나와 다를지라도 화합을 이루기 위하여 자신의 주관을 견지하면서 상대방의 생각도 존중해줌을 말한다.
 (동): 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자신의 주관을 버리고 완전히 상대방에게 동화됨을 말한다.

 

통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서로의 생각을 조절하여 화합을 이루기는 하지만 이익을 얻기 위하여 주관을 버리고 상대방에게 뇌동하지는 않으며, 소인은 이익을 얻기 위하여 주관을 버리고 상대방에게 뇌동하기는 하지만 서로의 생각을 조절하여 화합을 이루지는 못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왈: "군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불화." [子曰: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논어의 문법적 이해, 2000. 1. 1., 류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