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의 양식

토지 완간 10주년 특별대담... [작가 박경리]

 

토지 완간 10주년 특별대담..

마산MBC는 소설 '토지'완간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작가 박경리(1926∼2008) 선생과의 대담을 지난 2004년 9월 20~22일까지 1, 2, 3부로 편성하여 낮 12시 15분에 전국에 방송하였다.

 

2004년 8월 4일 오후 8시 'ㄷ자 형태'의 토지문화관 본관 가운데 잔디마당에서 펼쳐진 대담에서 대담자는 문학을 넘어선 대작가 박경리의 생명, 우주적 사상 세계를 그의 문학을 바탕으로 절묘하게 엮어내는 데 성공했다. 대담장에는 통영의 문인들이 먼 길 강원도 원주 토지문화관을 찾았고 역사적 순간을 담아낼 대담자로는 서울대 사회학과의 송호근 교수가 맡았다.

 

사진 출처: 동영상 캡쳐한 사진임 


치열한 작가 정신으로 이 시대를 사는 모든 작가의 귀감이 되어왔던 작가 박경리, 팔순에 이른 대작가가 직접 전하는 자신의 문학과 땅, 생명 사상이 큰 울림으로 다가오게 된다.

제1부 통영, 박경리 문학의 은근한 지렛대에서는 작가의 고향 통영, 박경리 문학의 모태 고향 통영. 작가 박경리가 말하는 그의 고향 통영의 문화와 예술적 자산과 그 힘.

또 제2부 지성의 빛, 인간 박경리 편은 박경리 문학의 비극 구조와 작가의 개인사, 그의 문학관, 예술관 그리고 토지로 이어지는 작가의 역사와 세계 인식

마지막 제3부는 '토지'의 작가 박경리에서 대표작 '토지'에 응축된 치열한 작가 정신과 역사 인식, 생명 사상 그리고 이 시대를 사는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메세지를 전한다.

 

소설 위해 "고향 통영, 친구..모든 인연 끊고 살았었다" [작가 박경리] 1부

(2) 소설 위해 "고향 통영, 친구..모든 인연 끊고 살았었다" [작가 박경리] 1부 - YouTube

https://youtu.be/EIPDbf7dBys

 

소설 위해 "고향 통영, 친구..모든 인연 끊고 살았었다" [작가 박경리] 1부

작가 박경리 선생님의 인터뷰 통영, 박경리 문학의 은근한 지렛대 [작가 박경리] 1부 토지문화관 마당에서 소설 토지 탈고 10년만에 방송 인터뷰 홈페이지 : http://www.mbcgn.kr 페이스북 : http://www.f

youtu.be

작가 박경리 선생님의 인터뷰

통영, 박경리 문학의 은근한 지렛대 [작가 박경리] 1부

토지문화관 마당에서 소설 토지 탈고 10년만에 방송

인터뷰 홈페이지 : http://www.mbcgn.kr

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withmbcgn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mbcgn/

 

 

토지 완간 10주년 특별대담..."토지는 비극이면서도 축복" [작가 박경리] 2부

(2) 토지 완간 10주년 특별대담..."토지는 비극이면서도 축복" [작가 박경리] 2부 - YouTube

https://youtu.be/LVgwpV8uJ7Q

 

토지 완간 10주년 특별대담..."토지는 비극이면서도 축복" [작가 박경리] 2부

토지 완간 10주년 특별대담 '작가 박경리' 2부 박경리 선생님의 처음이자 마지막 인터뷰 대하소설 토지의 이야기 홈페이지 : http://www.mbcgn.kr 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withmbcgn 인스타그램 : htt

youtu.be

토지 완간 10주년 특별대담

'작가 박경리' 2부 박경리 선생님의 처음이자 마지막 인터뷰

대하소설 토지의 이야기 홈페이지 : http://www.mbcgn.kr

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withmbcgn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mbcgn/

 

"문학..절실하게 소망하는 것 거기서 출발" [작가 박경리] 3부

(2) "문학..절실하게 소망하는 것 거기서 출발" [작가 박경리] 3부 - YouTube

https://youtu.be/TqFqB58s654

 

"문학..절실하게 소망하는 것 거기서 출발" [작가 박경리] 3부

홈페이지 : http://www.mbcgn.kr 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withmbcgn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mbcgn/

youtu.be

MBC경남 Entertain

구독자 5.44만명

홈페이지 : http://www.mbcgn.kr

페이스북 : http://www.facebook.com/withmbcgn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mbcgn/

박경리(朴景利)

  • 출생사망국적
    1926. 10. 28, 경남 충무
    2008. 5. 5, 강원 원주
    한국
    요약 
  • 소설가. 주로 인간의 내면세계를 깊이있게 그려낸 문제작을 발표했다. 대표작으로 <토지>, <김약국의 딸들>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출처
  • 다음백과 | Daum 전체항목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 1950년대 중반까지는 주로 단편을 쓰다가 1959년 〈표류도〉(현대문학, 1959. 2~10)를 발표한 뒤로는 주로 장편을 썼으며, 1963년 단편 14편을 모아 소설집 〈불신시대〉를 펴내면서 작가로서의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이 책의 후기에서 〈암흑시대〉가 〈불신시대〉를 잇는 작품임을 암시했는데, 두 작품은 여주인공의 형편이나 아들의 죽음이라는 극적 체험과 심적 변화 등의 면에서 비슷하다.그녀의 소설에서 중요한 주제 가운데 하나는 여성의 비극적인 운명이다.그녀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토지〉는 1969년부터 1994년까지 25년간 집필된 대하소설로서 1890년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를 배경으로 했으나 역사소설로 굳어진 것은 아니다.이 작품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물들은 과거에 실존했던 인물이 아니라 작가의 상상력이 빚어낸 인물들이다. 유방암 선고와 사위 김지하의 투옥 등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토지〉의 집필을 계속하여 그녀는 윤씨부인-별당아씨-서희, 그리고 그 자식들의 세대에 이르기까지 4대에 걸친 인물들을 통해 민중의 삶과 한(恨)을 새로이 부각시켰고, 이로써 한국문학사에 큰 획을 그었다.박경리는 문학뿐만 아니라 환경 문제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 2003년 문학과 환경문제를 다루는 계간지 〈숨소리〉를 창간했고, 2004년 자신이 신문과 잡지 등에 기고했던 글올 모아 환경 에세이집 〈생명의 아픔〉을 출간했다. 2008년 그녀가 생을 마감하기 전 마지막까지 썼던,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담은 유작 시 39편이 유고시집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로 발표되었다. 소설집으로 〈표류도〉(1959)·〈김약국의 딸들〉(1962)·〈가을에 온 여인〉(1963)·〈파시〉(1965)·〈박경리단편선〉(1976)·〈박경리문학전집〉(1979)·〈토지〉(1989)·〈가설을 위한 망상〉(2007) 등이 있다.
  • 그밖에 시집 〈우리들의 시간〉(2000), 에세이 〈원주통신〉(1985)과 〈가설을 위한 망상〉(2007) 등이 있다. 1957년 현대문학상, 1959년 내성문학상, 1965년 한국여류문학상, 1972년 월탄문학상, 1991년 인촌상, 칠레정부 선정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기념메달(1996), 금관문화훈장(2008) 등을 받았으며,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선정 20세기를 빛낸 한국의 예술인(1999)으로 선정되었다.
  • 박경리는 1996년 토지문화재단을 설립했으며 1999년 강원도 원주에 토지문화관을 세웠다.
  • 토지박경리 대표작.
  • ⓒ Daum 책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대표작 〈토지〉에서 최씨 집안의 중심인물이 두 여성인 것과 마찬가지로 장편 〈김약국의 딸들〉·〈시장과 전장〉·〈파시 波市〉의 주요인물도 여성이다. 〈김약국의 딸들〉에는 한 가정에서 운명과 성격이 다른 딸들이 나오는 반면에 〈파시〉에는 6·25전쟁 직후에 부산과 통영을 무대로 살아가는 여성들의 다양한 모습이 드러나 있다. 그래서 한편에서는 주로 전쟁 미망인을 등장시켜 악몽과 같은 전쟁으로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모습을 그린 초기의 작품들을 작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적 소설 또는 사소설(私小說)이 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 그러나 〈불신시대〉가 종교와 병원을 중점적으로 비판한 반면에 〈암흑시대〉는 무책임하고 경박한 의사와 간호원들의 횡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어 6·25전쟁을 소재로 한 장편 〈시장과 전장〉(1964)을 발표했다.
  • 박경리 작가ⓒ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945년 진주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결혼했으나, 6·25전쟁 때 남편이 납북된 후 딸과 함께 생활했다. 시인 김지하는 그녀의 사위이다. 1970년대 후반에 강원도 원주시로 거처를 옮기고 창작활동에 전념하여 1994년 8월 대표작 대하소설 〈토지〉를 완결지었다. 1955년 김동리의 추천을 받아 단편 〈계산 計算〉과 1956년 단편 〈흑흑백백 黑黑白白〉이 〈현대문학〉에 발표되어 문단에 나왔다. 이어 〈현대문학〉에 단편 〈군식구〉·〈전도 剪刀〉·〈불신시대〉·〈영주와 고양이〉·〈반딧불〉·〈벽지 僻地〉·〈암흑시대〉 등의 문제작을 계속 발표했다.
  • 주로 인간의 내면세계를 깊이있게 그려낸 문제작을 발표했다.

출처: 박경리 - Daum 백과

 

박경리

소설가. 주로 인간의 내면세계를 깊이있게 그려낸 문제작을 발표했다. 대표작으로 <토지>, <김약국의 딸들>이 있다. 주로 인간의 내면세계를 깊이있게 그려낸 문제작을 발표했다. 19

100.daum.net

 

'마음의 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눌  (0) 2023.03.27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0) 2022.03.16
조상들의 여름나기 물건  (0) 2013.07.20
노거수와 더불어 사는 삶  (0) 2013.04.05
애국과 충효에 관련된 명언과 일화!!  (0) 201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