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pyright belongs to the original writer of the content, and there may be errors in machine translation results.版权归内容原作者所有。机器翻译结果可能存在错误。原文の著作権は原著著作者にあり、機械翻訳の結果にエラーが含まれることがあります。Hak cipta milik penulis asli dari konten, dan mungkin ditemukan kesalahan dalam hasil terjemahan mesin.Bản quyền thuộc về tác giả gốc của nội dung và có thể có lỗi trong kết quả dịch bằng máy.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7일부터 홈페이지(www.archives.go.kr)에서 유엔에서 수집한 사진 기록물을 공개한다. '한국과 유엔'을 주제로 공개되는 기록물 745건에는 1947년 한국 대표의 유엔총회 참석부터 2006∼2008년 반기문 사무총장 활동 모습까지 한국과 유엔 간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들이 포함돼 있다.
1950년 폐허가 된 학교터에서 유엔환영가를 배우고 있는 학생들. [사진 국가기록원]
1968년 경기 가평에서 유엔군 호주보병3대대가 격전지 전투기념비 제막식. [사진 국가기록원]
1967년 유니세프가 기증한 방역차량 인수식. [사진 국가기록원]
1969년 부산 유엔묘지에서 참배하는 유엔사무부총장. [사진 국가기록원]
1967년 국내산업 시찰 차원으로 맥주공장을 방문한 주한유엔군. [사진 국가기록원]
1988년 유엔에서 KAL858기 폭파 사건을 설명하는 우리나라 대표. [사진 국가기록원]
1956년 유엔가입호소서명운동을 펼치는 유엔가입전국위원회. [사진 국가기록원]
1970년 유엔개발계획과 건설부의 지역사업운영계획 조인식. [사진 국가기록원]
1971년 유엔개발계획 지원으로 설립된 한국원양어업기술훈련소의 선망실습선. [사진 국가기록원]
1968년 한국군 장비 현대화를 위해 김계원 육군참모총장이 주한유엔군사령관으로부터 M-16 자동소총과 헬리콥터를 인수. [사진 국가기록원]
1954년 유엔한국재건단의 지원한 노천 영어교습. [사진 국가기록원]
1956년 구두닦이, 신문배달원 등을 위한 직업소년학교. [사진 국가기록원]
1952년 유엔민사처를 통해 들여온 아르헨티나 구호물자. [사진 국가기록원]
1951년 서울 모습. [사진 국가기록원]
1950년 도쿄에서 유엔기를 인수받는 맥아더 유엔군사령관. [사진 국가기록원]
1948년 5?10 총선거 개표과정을 감독하고 있는 유엔한국임시위원단. [사진 국가기록원]
1948년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을 환영하기 위해 늘어선 인파. [사진 국가기록원]
1950년 서울의 방직공장을 시찰하는 유엔한국위원단. [사진 국가기록원]
1950년 서울에서 구호양곡을 배급받는 주민들. [사진 국가기록원]
1951년 당시 38선. [사진 국가기록원]
1953년 판문점에서 휴전협정에 서명. [사진 국가기록원]
2008년 한국 최초 우주비행에 사용된 유엔기 반환. [사진 국가기록원]
2001년 한승수 초대 의장과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의 노펠평화상 공동수상. [사진 국가기록원]
2002년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의 날' 기념 KBS국악단 축하공연. [사진 국가기록원]
2005년 그루지야에서 대민활동을 펼치는 유엔평화유지군소속 한국군. [사진 국가기록원]
2006년 반기문 제8대 유엔사무총장의 취임선서. [사진 국가기록원]
1991년 유엔가입을 축하하는 대형 태극기와 유엔기의 퍼레이드. [사진 국가기록원]
1991년 남북한 유엔동시가입 직후 유엔본부 앞에 게양된 태극기와 인공기. [사진 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