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문화 이야기

문장이해를 높히는 기초한자

 

 

한문(漢文)에 대한 이해

  

 

1. 한자는 이렇게 탄생되었다.

◉ 옛 사람들은 자가 의사나 사물을 짐승의 뼈나 거북의 등껍질에 새겼으므로 이를

► 갑골문자(甲骨文字)라고 한다.

 

한자는 천체(天體)의 형상과 일월성신(日月星辰), 운우(雲雨), 자연, 산천, 산천초목(山川草木) 그리고 사람의 이(耳). 목(目). 구(口). 비(鼻) 등을 기초로 해서 일상생활에 필요에 따라 그려 놓은 것을 문자화 하였는데 이를

► 상형문자(象形文字)라고 한다.

복희씨(伏羲氏)가 새의 발자국을 보고 만든 문자화 하였는데 이를

► 결승 문자(結繩文字)라고 한다.

◉ 황제(黃帝)가 창힐에게 명하여 육서(六書)(한자를 구성하는 6가지 법칙)제 정하였으며 비로소 문자화하였다

► 중국문명의 개조

상형문자 한일(一)자로는 수없는 어휘(語彙)를 모두 만들기가 어려워 제 부 수(部數)를 제외하고는 거의가 두글자 이상을 합쳐서 한 가지 의미를 나타냄

 

문자의 종류

- 회화(繪畵)문자 : 그림으로 언의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

- 표의(表意)문자 : 단어의 뜻을 상징적은 방법의 기호로 나타내는 문자

- 표음(表音)문자 : 단어의 요소나 소리를 추상적인 기호로 나타내는 문자

우리말은 우랄알타이어로 문장 체계가 일본어와 같으나 중국 한자와는 다르다

 

 

 

 

2. 한자의 형성원리는 6서(書)이다.

상형문자(象形文字)는 눈에 보이는 데로 사물의 형상을 본떠 만들 글자이다

예) 日 川 木 目 山 月 口 魚 鳥 門

 

지사문자(指事文字)는 사물의 모양을 나타낼 수 없는 개념을 점. 선. 부호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만든 한자이다.

예) 本 末 上 下 三 工 中

 

회의문자(會意文字)는 이미 만들어진 2개 이상의 글자를 합하여 새로운 문자 를 만드는 방법으로 뜻과 뜻으로 만들어진 한자이다

예) 信(믿을 신) : 人(사람인) + 言(말씀언) - 사람을 말을 믿다

明(밝을 명) : 日(날일) + 月(달월) - 해와 달이 만나니 밝다

林(수풀 림) : 木(나무목) + 木(나무목) - 나무가 많다

好(좋을 호) : 女(계집녀) + 子(아들자) - 어머니가 아들은 안고 있다

東(동녁 동) : 日(날 일) + 木(나무 목) - 해가 나무에 걸려 있다.

 

형성문자(形聲文字)는 이미 만들어진 두 개 이상의 글자를 합하여 하나의 글 자를 만드는 방법으로 뜻과 음으로 만들어진 글자이다.

예) 記(기) : 言(뜻 말씀) + 己(음 기)

忌(기) : 心(뜻 마음) + 己(음 기)

問(문) : 口(뜻 묻다) + 門(음 문)

聞(문) : 耳(뜻 듣다) + 門(음 문)

* 음 부분이 동일하지 않고 초성과 종성이 바뀌는 경우가 있다.

예) 汗(한) : 水(물 수) + 干(방패 간)인데 음 부분 干이 汗으로 초성이 바뀌었다.

江(강) : 水(물 수) + 工(장인 공) 음 부분 工이 江으로 종성이 바꾸었다.

* 음 부분이라 해서 아무런 의미 없는 것이 아니다.

음을 나타내는 글자 역시 새로 만들어진 글자와 어떤 관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된다.

예) 怒(노) 는 心(심) + 奴(노비) 음 부분의 奴(노)는 주인에게 야단 맞으 면 앞에서는 참지만 안 보이는데 가서는 화를 냄

 

전주문자(轉注文字)는 본래의 의미로부터 유추하여 전혀 다른 뜻으로 굴리고 (轉) 끌어내어 (注) 쓰는 방법

예) 樂(풍류 악) 音樂(음악) - 즐거울 락 娛樂오락 - 좋아할 요 樂山樂水 요 산요수

예) 說(말씀 설) 說明(설명) - 달랠 세 遊說 유세 - 기쁠열 說樂열 락

예) 更(고칠 경, 다시 갱) 降(내릴 강, 항복할 항)

 

가차문자(假借文字)는 본래의 뜻과 상관없이 그 음만 같으면 빌려 사용하는 방법. 주로 외 국어를 표기할 때 사용하는 방법

예) 亞細亞(Asia). 可口可樂(코카콜라). 百事可樂(펩시콜라). 丁丁(나무를 찍는 의성어로 나타낸 한자). 美國(미국). 석가(釋迦)

- 우리 조상들이 만든 한자로는 沓(논답). 媤(시집시). 乭이(이름돌) 등이다.

- 이체자(異體字)는 글자의 획수나 모양이 크게 다르지만 같은 의미나 음이 같 은 글자인 경우를 말한다.

예) 체(體 = 体). 병(竝 = 並). 본(本 = 夲). 배(裵 = 裴)

 

 

 

3. 한자의 발전과정

3,600년전 은(상)나라 때 글자 화 된 한자를 쓰고 있었다

진나라 당시에 한자는 360자 정도였으며, 한나라(기원전 202년) 때에는 문 자사용이 늘어 무제의 명으로 학자들이 한자의 부수를 정리하고 사전을 만들었는데 지금 사용하고 있는 230여 부수가 이때 확정되었다.

► 한나라 때 문자가 정리되었기에 문자의 명칭을 한자(漢字)라고 한다

위진 남북조 시대 양(梁)나라 고야왕(502-557)이라는 학자가 한자를 부수로 분류하여 음을 달고 해석한 16,917자를 한권의 책으로 만들어 옥편(玉篇)이 라 이름 하였다.

 

 

 

4.한문의 전래

한사군이 설치 될 무렵에 중국의 문물과 한자가 전래되었다고 한다.

삼국시대 이전에 전래되어 백제의 왕인은 한문을 일본에 보급 - 아쇼카문화 의 기반을 이룩하였다.

정치적으로 국가통치에 따른 제도나 문물들도 한문으로 정비 - 따라서 인재 등용을 위한 과거도 당연히 한자이다.

 

 

 

5. 한자의 필요성

국어사전의 80% 이상이 한자이므로 한자를 혼용하여 읽으면 뜻을 쉽게 알게 되므로 독서의 속도와 능률이 배가 된다.

한자의 역사성과 유용성은 물론 우리 생활과도 밀접하며 특히 법률, 철학, 역사, 사회과학 등에는 한자가 필수적이다.

전통문화 유산, 생활, 관습, 학문 등도 한자 또는 한문으로 이루어져 있으 며 인성교육이 능함으로 좋은 인간관계를 맺는다.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를 학습하게 되어 어휘사용 능력이 증대되므로 논리 적이고 설득력 있는 문장을 쓸 수 있다.

한자 문화권의 급부상하고 있으므로 한자를 모르면 정보화, 세계화, 경제, 정치등도 선진화는 곤란하며 특히 산업과 관광 등에 유익하다

수학, 과학은 일회성이나 한자는 평생을 살아가면서 일상생활에서 언제나 도움을 준다.

 

 

 

6. 한자의 구조

主述관계로 <주어+술어>로 주어는 행위의 주체이고 서술어는 행위, 동작, 상태로 주어는 은, 는, 이, 가로 해석 된다 이는 우리말과 같다

예) 일몰(日沒) - 해가 진다, 연장(年長) - 나이가 많다

 

述目관계로 <술어+목적어>로 목적어는 그 대상이 되고 을, 를로 해석한다. 예) 입지(立志) - 뜻을 세우다. 독서(讀書) - 책을 읽다

 

述補관계로 <술어+보어>보어는 서술어의 불완전한 부분을 보충해 준다.

주어와 혼동이 되기도 하지만 주어는 서술어 앞쪽에 보어는 서술어 뒤쪽에 있다.

예) 무적(無敵) - 적이 없다. 등산(登山) - 산에 오르다.

 

修飾관계로 <수식어 + 피수식어> 꾸미는 말고 꾸밈을 받는 말로 결합되고 우리말 어순과 같다

예) 청산(靑山) - 푸른 산. 홍수(洪水) - 넘치는 물

 

竝列관계로 품사가 같은 말로 짜임도 있다.

예) 뜻이 반대(상대적) : 애증(愛憎) - 사랑과 증오

뜻이 비슷함(대등) : 춘추(春秋) - 봄 가을

뜻이 유사함(유사) : 수여(授與) - 물건을 상대에게 줌

 

 

 

7. 필순(筆順)

한글을 쓸 때도 순서가 있으며 한자를 쓸 때도 획을 긋는 순서 즉 필순이 있 다. 필순에 따라서 쓰는 까닭은 글씨를 깨끗하고 단정하게 쓰기 위함에 서다.

위에서 아래로 - 삼(三)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천(川). 언(言)

가로 세로 획이 겹칠 때는 가로부터 먼저 쓴다 - 목(木). 지(枝)

좌우 대칭인 글자는 가운데 먼저 쓰고 왼쪽 오른쪽 순으로 쓴다

예) 소(小) 등이나 예외도 있다 - 화(火), 악(樂)

전체 글자를 세로로 꿰뚫는 획은 나중에 쓴다 - 중(中). 차(車)

전체 글자를 가로로 꿰뚫는 획은 나중에 쓴다 - 여(女). 모(母)

예외는 - 세(世)

삐침과 파임이 있을 경우 삐침을 먼저 쓴다 - 문(文). 합(合)

몸과 안으로 된 글자는 몸을 먼저 쓴다 - 동(同). 인(因)

받침이 독립된 자로 쓰이는 走나 足은 먼저 쓴다 - 기(起)

받침이 독립된 자로 쓰이지 않는 자는 나중에 쓴다 - 도()道. 부(赴).건 (建)

 

 

 

8. 한자의 읽기(성독 聲讀)

평성(平聲)은 글자 옆에 방점이 없는 것으로 소리가 낮고 순평하다. 낮고 짧은 소리로 저음이다.

예 : 훈민정음 의 中國 중국, 東(동). 江(강). 支(지). 魚(어)

상성(上聲)은 글자 옆에 두 개의 방점이 있다. 높고 맹렬한 소리로 읽다가 그친다.

예 : 강(講). 지(紙). 미(尾). 어(語)

거성(去聲)은 글자의 처음과 끝이 한결같이 높은 소리로 읽는다. 즉, 올려 내는 소리이다.

예 ; 송(送). 송(宋). 강(降). 말(未)

입성(入聲)은 강하나 끝이 짧은 소리로 한글 받침이 ㄱ ㅂ ㄹ ㅅ ㄷ인 것이 다

예 : 옥(屋). 질(質). 물(物). 악(樂)

* 평성은 저음이고 상성. 거성. 입성을 고음이라 하며 장음(長音)(긴 소리)은 상성. 거성이고, 단음(短音)(짧은 소리)은 평성. 입성이다.

 

 

 

 

 

 

 

 

 

 

 

 

 

문장 이해를 높히는 基礎 漢字(가나다....순)

 

可가 : 조동사로 ~할 수 있다, 할 만하다, 옳은가?

却각 : 물리치다, 쫓아내다/ 자! 정도의 발어사

葛갈 : 어찌, 누가/ 何不~~는 어찌~~하지 아니 햐냐?

盖개 : 덮다/ 어찌 ~하지 아니하냐?

固고 : 굳은, 진실로

故고 : 예전에, 본래, 까닭에,

厥궐 : 其와 同字로 그것이란 지시어

及급 : 미치다, 뒤쫓다/ ~에 이르러서란 접속사

其기 : 사람과 물건의 지시 대명사, ~의는 之의 뜻, 감탄의 어조사

己기 : 자기, 자신/ 어세를 고르는 어조사(其)

畿기 : 낌새, 조짐, 거의, 자주, 종종/ 그는 어세를 고르는 어조사

乃내 : 이에, 곧, 바꾸어/ 말 하면의 발어사, 윗말을 받는 접속사, 乃今는 지 금, 요지음

奈나 : 어찌(那), 奈何는 어찌하여,

但단 : 다만, 홀로, 오로지

莫막 : 말다, 없는

无무 : 無자와 동자로 불경의 발어사(南無)

勿물 : 아니다, 없다, 말아라 등/ 부정, 금지를 나타내는 어조사, 때론 뜻이 없 는 발어사

未미 : 아니다/ 어찌 ~하지 못하다, 未可는 아직 되지 않음, 未然은 아직 그렇 게 되지 않음, 未畿는 오래되지 않아 곧

毋무 : 발어사로 말다, 아니하다, 금지

不불 : 없다/ 부정을 나타냄, 不爲也는 못하다, 의문(否)을 나타내는 어조사

弗불 : 말다

否부 : 아니다(不然也)등 부정과 부동의 뜻

匪비 : 도둑, 대상자/ 아니다 등의 부정사

俾비 : ~로 하여금 ~하게 한다는 사역동사

斯사 : 사물을 가르키는 대명사. 어조사 乃와 則과 같음, 斯道는 성현의 길, 공 맹의 가르침, 斯文은 유학의 글, 학문, 유학자를 말함

使사 : ~으로 하여금 ~ 하게 한다는 사역동사

庶幾서기 : 거의 ~이다.

耶야 : 야/어조사, 그런가의 의문 어조사,

邪사 : 간사하다/ 의문 부정의 어조사, 나머지의

所소 : 지위, 자리, 경우/동작을 명사와 하여 지시의 뜻을 가짐. 所以는 까닭

誰수 : 누구, 어떤 사람/ 誰謀는 아무개, 誰何는 누구, 아무개

遂수 : 성취하다

雖수 : 비록, 오직, 만약

須수 : 모름지기, 마땅히, 지극히

啻시 : 뿐, 다만/ 뿐만 아니라, 그 보다 더

是시 : 옳다, 바르다/ 이, 이것 등 지시대명사(此,寔)

寔식 : 이, 참으로, 진실로

抑억 : ~아니면

也야 : 다, 이다, 또, 또한 등 단정, 결정의 뜻과 어조룰 고르기 위한 어조사, 현재의 뜻의 종결사, 也矣는 단정을 나타내는 어조사, 也乎는 강조의 어 조사, 也有는 또한 있다, 也哉는 강한 단정과 반어의 어조사, 也乎哉는 영탄의 어조사

若약 : 같다, 너, 만일, 혹은, 그렇지 않으면/ 句의 끝의 어조사로 어떠한가?

於어 : ~에, ~에서, ~보다, ~을, ~를의 뜻으로 語句 중의 어조사

曰왈 : 말하기를/ 인용할 때 사용

焉언 : 어찌, 어찌하여/ 반어와 반문의 뜻으로 ~이다, 이, 여기에서 등 句末 어 조사(종결사로 시제에 관계없이 놓을 수 있음),

與여 : 주다, 돕다, 함께/ ~보다는

汝여 : 너/ 대등하거나 아랫사람에 대한 2인칭

如여 : 같다. 따르다/ 그러나, 그리하여의 접속사

然연 : 그러하다, 그리하여, 그러나/ 바뀜의 부사

欲욕 : 욕심/ 하고자 한다, 하려고 한다의 희망동사

吾오 : 나, 자신, 당신, 그대

于우 : 별 뜻이 없는 발어사로 ~보다. ~에서, ~구나 등 어조를 고르는 조사, 于今은 지금까지

旴우 : 의문, 근심을 나타내는 소리

云운 : 이르다. 말하다/ 云云은 어조사

爲위 : 하다, 되다, 있다, 만들다, 되는 바이다 뜻의 조사

謂위 : 이르다(與之言也), 所謂

唯유 : 오직(한정하는 말)의 발어사, 비록~ 하더라도, 唯今은 지금

由유 : 곡절, 방법/ 말미암아, ~에서, ~통하여

猶유 : 오히려, 마치/ ~와 같이, ~통하여

攸유 : 태연한 모양/ 所의 뜻

聿율 : 붓. 드디어, 스스로/ 발어사로 이에.

伊이 : 저, 그, 이와 같이/ 어조사 및 사람을 가르키는 대명사

邇이 : 가깝다, 가까이하다

爾이 : 너의, 뿐이

矣의 : 也의 뜻으로 과거, 완료형의 어조사이며 말의 끝에 다른 말을 일으키는 말

以이 : ~써, 부터, 와, ~과 함께, 하다의 전치사

而이 : 그리하여, ~에서와 같이 말을 순접으로 이은 접속사, ~하여,~하더라 도의 역접의 접속사

耳이 : 귀/ 조사로 뿐의 뜻, 어세를 고르는 말

仍잉 : 인하다, 거듭하다, 이에, 곧

玆자 : 이, 이에, 해. 때

者자 : 語氣辭(강조) ~한자, 사람, ~ 라는 것의 어조사, ~한, ~것의 指事之辭

哉재 : 그러하다, 곧, 뿐/ 句中과 句末의 어조사, 영탄, 의문, 반어의 뜻

際제 : 사이, 때, 정도, 기회, 시기

的적 : 표준, 요점, 조사

則즉 : 곧/어조사, 혹은, 한다면

之지 : 이(주격), 가다(동사), 이것의 지시대명사, ~의 소유격, ~에서 전치사

只지 : 다만, 이것, 가까운 거리/ 말미의 어조사

旨지 : 맛있다, 뜻, 내용의 어조사

直직 : 다만

此차 : 이. 이에. 이곳

且차 : 또, 다시, 잠깐, 이에의 어조사

次차 : 다음, 둘째, 차례의 말 밑에 붙이는 어조사

僉첨 : 다, 모두, 여러

何하 : (의문. 감탄의) 어찌, 무엇, 얼마나/ 何以는 무슨 까닭으로/ 何爲는 어 째서 왜/ 何如는 어떻게, 어찌/ 何也는 왜냐, 왜냐하면/ 何其는 어찌하 여/ 何故는 무슨 까닭

兮혜 : 어조사 음조를 고르는데 쓰임

奚해 : 이에, 그래서

乎호 : 인가, 로다, 구나/ 의문, 반어, 호격의 어조사

況황 : 하물며, 더구나, 이에, 더욱 등 윗말을 받아서 한 걸음 더 나아 간다는 뜻

 

 http://cafe.daum.net/youngnamyuhak

'전통문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승 과 솟대  (0) 2013.03.22
[스크랩] 비석의 명칭들  (0) 2013.03.16
집의 종류  (0) 2013.03.13
한국인의 식생활   (0) 2013.03.13
한국 전통경관의 정수 누정(樓亭)  (0) 2013.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