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타령
장타령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신재효(申在孝)의 판소리 사설 「흥보가(興甫歌)」와 「변강쇠가」에 각설이패들이 ‘장타령’을 하는 것이 묘사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당시에도 각설이패들이 ‘장타령’을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노래가사에는 장풀이, 숫자풀이, 국문뒤풀이, 투전풀이, 화투뒤풀이 등이 있으나 전라남도 지방에서 불리는 장타령은 주로 숫자풀이로 구성되어 있다.
의성어와 반복적인 표현으로 인해 리듬감이 좋고, 보통 4·4조로 되어 있고, 앞에 4자, 뒤에 3자로 된 것이 많다. 장단은 2소박 보통 빠르기인 4박자로 동살풀이장단에 맞는다. 선율은 ‘미솔라도레’의 메나리토리가 많으며, 단순하고 반복적이다.
- 김용우
'전통문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석문(金石文)의 종류 (0) | 2013.03.13 |
---|---|
단 15분 만에 유네스코 문화유산 결정 (0) | 2013.01.26 |
문화재 분류 (0) | 2013.01.10 |
부산영산제 (0) | 2013.01.05 |
호롱불 모음 (0) | 201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