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들의 시흥을 달래는 선유줄불놀이
항목ID GC024A020403 |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
시대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임재해 |
하회의 선유줄불놀이는 집성반촌의 선비문화와 마을을 끼고 도는 화천, 부용대의 절벽이 어우러진 하회마을만의 독창적인 놀이이다. 상민들이 무교적 전통에 따라 하는 별신굿 탈놀이와 달리, 양반들이 유교적 전통에 따라 시를 짓고 음주를 즐기는 선상시회(船上詩會)의 풍류였던 셈이다.
선유줄불놀이는 음력 7월 보름 밝은 달밤 부용대와 화천, 백사장, 만송정숲 등에서 열렸다.
선비들과 기녀들이 주안상을 갖춘 나룻배를 타고 절벽 밑의 경관 좋은 곳을 오르내리며 시흥(詩興)을 돋우는데. 선유(船遊)라는 말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기녀들이 술시중을 들고 가무로 흥을 돋우면 선비들은 글제에 따라 시를 다투어 짓는다. 그리고 시가 완성되면 차례로 기녀에게 시를 읊조리게 하며, 제때에 시를 짓지 못하는 선비는 벌주를 마셔야 한다. 그러므로 선유가 끝나면 어느 선비가 가장 먼저 시를 지었고, 어느 어른이 벌주를 많이 마셨다는 소문이 한동안 마을의 이야깃거리로 등장한다.
선비들이 선상시회의 풍류를 즐기도록 하기 위해 주민들은 화천을 다양한 불빛으로 꾸며서 화려하고 역동적인 야경의 장관을 펼쳤다. 이때 야경을 꾸미는 불꽃놀이는 ‘줄불’과 ‘낙화’, ‘달걀불’ 등 세 가지 유형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줄불로, 만송정숲과 부용대 정상을 새끼줄로 이어서 강물 위에 드리워지도록 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숯가루 봉지를 늘어뜨려 불을 붙이면 빨갛게 불꽃을 날리며 타들어간다. 이때 새끼줄이 강물을 가로지르며 부용대 쪽으로 이동하도록 잡아당기면 마치 여러 개의 폭죽이 부용대로 올라가며 터지는 것처럼 보인다. 또 다른 줄불은 옥연정사에서 겸암정사까지 부용대 중턱의 층길을 따라 설치하여 마치 부용대가 허리띠를 두른 것처럼 보이게 한다.
줄불로 매다는 숯가루 봉지는 용의주도하게 만들어야 한꺼번에 타지 않고 오랫동안 불꽃을 날리며 서서히 타들어간다. 이 때문에 한지로 길게 만든 원통형 봉지에다 숯가루와 소금을 섞어 차곡차곡 채운 다음 실로 대여섯 마디로 매듭을 지운다. 숯가루 봉지를 줄에다 매단 뒤에 마른 쑥에다 불을 붙여 숯봉지 아래를 타들어가게 하면, 숯가루가 서서히 타다가 소금이 튀면서 그때마다 불꽃이 휘날린다. 매듭이 타서 큰 불꽃이 일시에 흩어지면 마치 폭죽이 터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강물과 부용대를 가로지르는 두 갈래의 줄불 다음으로 주목할 만한 것은 부용대 정상에서 솟갑단에 불을 붙여 절벽 아래로 떨어뜨리는 낙화놀이이다. 선상에서 시를 지어 완성하면 선비가 부용대를 향해 “낙화야!” 하고 소리를 지른다. 그러면 부용대 정상에 대기하고 있던 사람이 마른 솟갑단에 불을 붙여서 절벽 아래로 던지는데, 이것이 큰 불기둥을 이루면서 아래로 떨어지다가 바위에 부딪혀서 불꽃을 휘날린다. 줄불이 가로선의 완만하고 정적인 불꽃놀이라면, 낙화는 절벽에서 강물 아래로 떨어지며 세로선을 이루는 급격하고 역동적인 불꽃놀이인 셈이다.
줄불과 낙화에 견줄 만한 달걀불은 강물의 흐름과 반사를 이용한 곡선적인 불꽃놀이이다. 달걀껍데기에 피마자기름(혹은 들기름이나 상어기름 등)을 담고 솜 심지를 박아서 불을 붙인 다음 짚으로 만든 따뱅이 위에 안전하게 올려서 강물에 띄워 보낸다. 달걀 대신 헌 바가지 조각을 이용하기도 한다.
겸암정사 위쪽에서 띄워 보낸 달걀불은 유유히 흘러서 부용대 앞의 화천 바닥을 흔들리는 불꽃으로 장식하게 된다. 바람에 따라 불꽃이 살랑거리면서 물결의 소용돌이에 따라 맴돌다가 강의 구비에 따라 꼬리를 감추며 멀리 사라지는데, 불빛이 수면에 반사되어 대칭을 이루며 흐르므로 더욱 아름답다. 달걀불은 마치 물에 뜬 연꽃과 같다고 하여 연화(蓮花)불이라고도 한다.
전통시대 이 세 가지 유형의 불꽃 야경을 즐기며 선유를 하는 것은 양반들이지만, 아름다운 야경을 조성하는 것은 상민의 몫이었다. 줄불을 위해 튼튼한 동아줄을 600m 이상 길게 꼬고, 수백 개의 숯가루 봉지를 만드는 일은 상민들이 오랫동안 해야 하는 작업이었다. 그리고 달걀불을 준비하여 물 위에 띄우는 일이나, 부용대 위에 올라가 낙화불을 던지는 일도 모두 상민들의 노력 봉사로 이루어졌다. 상민들이 별신굿을 할 때 양반들이 경제적으로 후원을 하듯, 양반들이 선유를 할 때는 상민들이 노력봉사를 했던 것이다.
선유줄불놀이는 한국 유일의 양반놀이이자 마을공동체 놀이였다. 양반들의 풍류와 선비들의 시흥이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불꽃을 이용한 지혜와 어우러져서 한여름의 무더위를 이기고 여가를 즐기는 놀이를 넘어서, 즉흥적인 문예창작의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했던 셈이다. 선유는 450여 년의 전통을 가진 하회마을만의 놀이로서, 조선 후기에 중단되었다가 일제강점기와 미군정하, 1968년, 1975년 등 부정기적으로 재현되었으며, 1997년부터 매해 가을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행사의 하나로 재현되고 있다.
[정보제공]
- • 류시황(남, 1957년생, 하회리 거주)
https://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A020403
<<관련 기사>>
4만 관광객 환호한 '하회선유줄불놀이' 축제화 모색
안동대, 20일 줄불놀이 가치 규명·축제화 방안 학술대회
하회선유줄불놀이 문화유산 지정, 현대적 활용방안 논의
탈춤축제 기간 시연에 4만여 관객, '800년 풍류에 환호'
"낙화야!~~~~"
하회마을 만송정 앞 부용대 절벽위에서 솔갑단 불 덩어리가 떨어진다. 절벽과 만송정을 연결하는 새끼줄에 매달린 낙화봉은 폭죽처럼 불꽃들을 밤하늘에 수놓는다. 하회마을을 휘돌아 흐르는 낙동강 물위에는 달걀 불이 떠 내려오는 불꽃 장관들 속에서 유유히 뱃놀이를 즐긴다.
세계유산 안동 하회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대표적 양반 뱃놀이 문화의 진수인 '선유 줄불놀이'의 모습이다.
축제나 특별한 행사에서만 볼 수 있었던 하회마을 선유 줄불놀이는 안동시와 한국정신문화재단이 지난 6월 24일 시작으로 매월 마지막주 토요일 저녁 관광객들에게 선보여 오면서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올해 마지막 시연은 오는 28일에 열린다.
탈춤축제 기간 중이었던 지난 10월 7일 시연에는 4만여 명의 관광객들이 몰려들었다. 부용대 맞은편 만송정 솔숲을 비롯해 낙동강을 끼고 양쪽으로 관광객들이 빼곡히 들어차 절벽과 하늘, 강위에서 쏟아지고 터지는 수백여년 이어온 불꽃 향연에 매료되기도 했다.
이처럼 하회선유줄불놀이가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떠오르면서 무형문화유산 지정을 비롯해 축제·관광자원화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국립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은 문화재청, 경북도, 안동시의 후원을 받아 오는 20일 하회선유줄불놀이의 문화유산적 가치를 규명하고 축제화 방안을 모색하는 학술대회를 마련한다.
지난 7일 4만여명의 관광객들이 몰려들어 환호했던 하회마을 선유줄불놀이에 대한 문화유산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현대적 계승과 관광자원화를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매일신문 D/B
'하회선유줄불놀이의 전승과 무형문화적 가치'를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학술대회는 민속학자, 문화콘텐츠 전문가 등이 참여해 선유줄불놀이의 역사, 현대적 재현과정, 문화유산적 가치와 축제화 방안 등을 논의한다.
학술대회는 한양명 안동대 문화유산학과 교수의 '낙화놀이의 유형과 하회 선유줄불놀이의 위상', 놀이연구소 '풂'의 소장인 이상호 박사가 '낙화놀이의 분포와 유형 비교'를 주제로 발표한다.
지역 문화산업체 도움소의 우종익 대표가 '낙화봉의 제작방법과 전승지식', 국립무형문화연구원의 정형호 박사가 '하회선유줄불놀이의 무형유산적 가치', 안동대 문화유산학과 이진교 교수가 '하회선유줄불놀이의 현대적 전승양상과 축제화 방안'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학술발표뿐만 아니라 하회마을보존회 전·현직 이사장을 비롯한 주요 전승자가 참여해 선유줄불놀이 활성화를 위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경청·반영할 수 있는 자문회의도 함께 열린다.
안동시 관계자는 "세계 유일의 전통불꽃놀이면서 800년간 이어온 선유줄불놀이는 풍류의 절정을 보여주면서 수많은 관광객들이 환호하는 대중성을 얻었다"며 "앞으로 옛 풍류의 감성을 극대화하면서 희소성의 가치를 품격높게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7일 하회마을 선유줄불놀이 시연에는 관광객 4만여명이 몰려 불꽃 향연에 매료됐다. 매일신문 D/B
출처: 매일신문
'전통문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종[ 梵鐘 ] (0) | 2024.10.10 |
---|---|
대목장, 손으로 전통건축을 짓다 (0) | 2024.10.01 |
현대사의 자취가 그대로 남아있는 지붕 없는 박물관 성북동 랜선 답사 (0) | 2024.08.26 |
혼례(婚禮) (0) | 2024.08.19 |
그림으로 남긴 선조들의 ‘인증샷’ (0) | 2024.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