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낙동강 이야기

나루와 주막 1960년대 이전, 1970년대와 1980년대

 

나루와 주막

1960년대 이전, 1970년대와 1980년대

 

분류

 

정치/경제/생업 > 나루이야기마당 > 근대나루, 주막이미지

1960년대 이전

 

경부선 철도 수해현장경부선 철도 수해현장 모습이다.

 

구포다리 1935년구포다리 1935년 모습이다.

 

구포다리 1950년구포다리 1950년 모습이다.

 

구포다리 1945년구포다리 1945년의 모습이다.

 

구포다리 가설기념비구포다리 가설기념비 모습이다.

 

구포시장입구구포시장 입구의 풍경이다.

 

구포역근대시대의 구포역 풍경이다.

 

구포역앞 정미공장구포역앞 정미공장 모습이다.

 

연둥개근대시대의 연둥개 나루의 모습이다.

 

연둥개 다리근대시대 연둥개 다리 모습이다.

 

을숙도갈쇠집을숙도갈쇠집 풍경이다.

 

낙동강변 옛나루사진낙동강변 옛나루사진 풍경이다.

 

강을 건너는 나룻배강을 건너는 나룻배 풍경이다.

 

나루에서 배를 띄우는 모습나루에서 배를 뛰우는 모습이다.

 

소를 태운 나룻배소를 태운 나룻배 풍경이다.

 

밀양 연남루 아래 밀양강밀양 연남루 아래 밀양강 풍경이다.

 

옛날의 나무다리옛날의 나무다리 풍경이다.

 

장터근대시대 장터의 모습이다.

 

가락부산에 있는 가락동의 풍경이다.

 

근대나루모습근대시대 나루의 모습으로 배경이 어디인지는 불분명하다.

 

구포초교 운동회구포초교 운동회 풍경이다.

 

구포초교 운동회1구포초교 운동회1 풍경이다.

 

구포초교 입학식구포초교 입학식 풍경이다.

 

구포초등학교(1907)구포초등학교(1907) 전선 사립구명학교 개교식 풍경이다.

 

도산서원1950년대도산서원1950년대 전경 모습이다.

 

강세황도산서원도 강세황도산서원도 그림의도 의촌나루의 모습을 추측할 수 있다.

 

분강촌도 분강촌도 그림으로 하회나루의 모습을 추측할 수 있다.

 

농암 전별도 농암 전별도 그림으로 그 당시의 유희뱃놀이의 모습들을 추측할 수 있다.

 

김홍도의 나룻배 김홍도의 나룻배 그림으로 그 당시의 나룻배의 모습을 추측할 수 있다.

 

1970년대

 

구포낙동강변 옛모습구포 낙동강변 옛모습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1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황포돗배의 모습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17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수몰현장 모습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18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수몰현장 모습이다.

 

구포강변나루터 1구포강변나루터의 풍경모습이다.

 

구포구장터구포구장터의 모습이다.

 

구포다리 1970년구포다리 1970년 모습이다.

 

구포다리옆 조개잡이배구포다리옆 조개잡이배 모습이다.

 

가덕선창 1가덕선창 풍경 모습이다.

 

경북 고령나루터경북 고령나루터 모습이다.

 

녹산수문 1근대시대 녹산수문과 나룻배안에서 기념사진을 찍은 형제들의 사진풍경이다.

 

녹산수문 2녹산수문을 배경으로 한 기념사진이다.

 

녹산수문앞 나루터녹산수문앞 나루터에서 자매의 기념촬영 모습이다.

 

대사리불암진나루 대사리불암진나루 근대사진 모습이다.

을숙도 외나무다리 을숙도 외나무다리 풍경이다.

 

을숙도 뱃길 1을숙도 뱃길 나룻배의 풍경이다.

 

을숙도 뱃길 2을숙도 뱃길 황포돗배들의 풍경이다.

 

을숙도 뱃길 3을숙도 뱃길 나룻배와 외나무다리 풍경이다.

 

장림버득포나룻길장림버득포나룻길 풍경모습이다.

 

덕두본리초가집덕두본리초가집 풍경이다.

 

만덕동 상리마을(1970)만덕동 상리마을(1970) 초가집 풍경이다.

 

산성마을(1970)산성마을(1970) 초가집 풍경이다.

 

초가집과 장독간 옛모습초가집과 장독간 옛모습이다.

 

금곡공창마을(1970)금곡공창마을(1970) 초가집 풍경이다.

 

목선부산지역에 나룻배 대용으로 쓰였던 목선 모습이다.

 

낙동강나룻배 2낙동강나룻배 풍경 모습이다.

 

나룻배 풍경(강서구청)나룻배 풍경(강서구청)으로 학생들이 학교등교를 위하여 강을 건너는 모습이다.

 

나룻배 풍경 1(강서구청)나룻배 풍경 1(강서구청)모습이다.

나룻배 풍경 2(강서구청)나룻배 풍경 2(강서구청)으로 뱃사공이 노를 젓는 모습이다.

 

악양나루악양나루의 1960년대 모습으로 단체기념사진이다.

 

둔치도둔치도 전경을 항공촬영한 사진이다.

 

본포나루4본포나루 수몰당시의 모습이다. 초가집들은 거의 다 주막촌으로 형성되어 있다.

 

1980년대

백양산, 범방산과 구포다리백양산, 범방산과 구포다리 모습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2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나룻배의 풍경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3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마지막 본포나룻배의 모습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4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고깃배들의 모습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5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전경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6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본포대교 주변의 풍경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7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어부들의 풍경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8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나루의 풍경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9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나루의 모습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10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새벽녁의 모습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11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나룻배의 이동 모습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12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저녁노을의 모습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13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본포대교 건설장면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14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낚시꾼들의 모습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15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소몰이의 모습이다.

 

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16낙동강 본포나루 근대풍경사진 항공에서 보여지는 모습이다.

 

구포강변나루터 2구포강변나루터주변의 풍경모습이다.

 

구포제방의 기우제구포제방의 기우제행사 모습이다.

 

구포제방과 나루터구포제방과 나루터의 모습이다.

 

구포나루터 철새구포나루터 철새의 모습이다.

 

구포낙동강변구포낙동강변의 모습이다.

 

구포낙동강변낙조구포낙동강변 낙조의 모습이다.

 

구포다리 1980년구포다리 1980년 모습이다.

구포다리 1980년 1구포다리 1980년 모습이다.

 

구포다리 낙조구포다리 낙조 풍경이다.

 

구포다리 낙조 1980년구포다리 낙조 풍경이다.

 

구포다리 남쪽강변구포다리 남쪽강변 풍경이다.

 

구포다리와 나루터구포다리와 나루터 그리고 고깃배들의 모습이다.

 

구포재방과 나루터 1980년구포재방과 나루터 1980년 모습이다.

 

구포의 마을풍경 1980년 구포초에서 낙동강쪽우로 내려다본 모습이다.

 

금곡동 동원진 나루터금곡동 동원진 나루터 풍경이다.

 

낙동강하류낙동강하류 풍경이다.

 

대사불암진나루터 대사불암진나루터가 있었던 김해교 모습이다.

 

사상삼락 최북단 낙동강변 사상삼락의 최북단 낙동강변 모습이다.

 

경남창녕초가집경남창녕초가집 풍경이다.

'

만덕고갯길 초가지붕만덕고갯길 초가지붕 풍경이다.

 

화명동대천양달(1980)화명동대천양달(1980) 초가집 풍경이다.

 

화명동수정마을(1970)화명동수정마을(1970) 초가집 풍경이다.

 

낙동강나룻배 1980년낙동강나룻배 1980년 석양의 풍경이다.

 

구포시랑골구포시랑골 풍경이다.

 

구포시랑골구획(1980)구포시랑골구획(1980) 항공사진 풍경이다.

 

본포나루1본포나루 석양의 나룻배 모습이다.

 

본포나루2본포나루 수몰직후의 모습이다.

 

본포나루3본포나루 주변 풍경의 모습이다.

 

본포나루5본포나루 주변 풍경들이다.

 

연관목차

출처

제공처 정보

  • 출처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문화콘텐츠산업 기반조성을 위하여 한국콘텐츠진흥원 주도하에 10여 년(2002~2010) 동안 추진되어 온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화 사업’의 산출물(문화원형 DB 콘텐츠)입니다. 2022년 국립중앙도서관으로 이관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 저작권자의 ‘2차적 저작물 작성 허용’ 자료로, 별도의 허락 없이 출처 표시 후 비영리 목적으로 자유롭게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 제공처 국립중앙도서관 

    1960년대 이전 (naver.com)

    [네이버 지식백과] 1970년대 (문화원형백과 나루와 주막, 2007.,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http://www.nl.go.kr

    [네이버 지식백과] 1980년대 (문화원형백과 나루와 주막, 2007.,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1960년대 이전

경부선 철도 수해현장 경부선 철도 수해현장 모습이다. 구포다리 1935년 구포다리 1935년 모습이다. 구포다리 1950년 구포다리 1950년 모습이다. 구포다리 1945년 구포다리 1945년의 모습이다. 구포다

term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