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석홍 기증자료
소개
지난 2019 ~ 2020년,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작고하신 한석홍 사진작가의 유가족으로부터 ‘경주 석굴암 석굴’ 사진자료를 기증받았습니다. 기증받은 자료는 故한석홍 작가가 세 차례(1981년, 1986년, 2000년)에 걸쳐 직접 촬영한 사진 총1,172점으로 흑백 네거티브 필름, 칼라 슬라이드 필름(35mm, 120mm, 4×5inch)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석굴암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일부를 선별하여 일반에 공개하고 널리 활용하도록 하였습니다.
기증자 약력및 기증자의 의의
한석홍(韓晳弘, 1940년 04월 12일 ~ 2015년 03월 30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출생
(학력)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舊 서라벌 예술대학)
(경력)
- 1976년 ‘한석홍사진연구소’ 설립
- 1979년 ~ 1991년중앙대학교 사진학과 동문회장
-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방한 공식 기록 사진가
- 2001년~2003년 (사)한국광고사진가협회 감사
기증연도 : 2019년(922점), 2020년(250점)
기증자료 : 1980년대 ~ 2000년대 ‘경주 석굴암 석굴’ 촬영사진
기증종류 : 흑백 네거티브 필름.칼라 슬라이드 필름(35mm, 120mm, 4×5inch 등)
석굴암 사진, 온라인 공개를 앞두고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창건을 시작해 혜공왕 10년(774) 완공한 동아시아 불교조각의 결정체이자 1995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한국을 대표하는 국보입니다.
이렇게 고대로부터 현재 우리에게 보존되어 전해지기까지 많은 분들의 노력이 있었습니다. 1960년대 석굴암 복원 공사를 위해 헌신하신 초대 국립문화재연구원장 故 김정기 박사님의 기사를 2011년에 접하면서 선친께서 남기신 사진필름들이 석굴암의 보존·복원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갖게 되었습니다.
선친께서는 60년대 대학에서 사진을 전공한 1세대로서 1971년 문화재계에 입문하셨습니다. 1976년 ‘한석홍사진연구소’(現 한국문화재사진연구소)를 설립하고 국보급 문화재를 촬영하여 국내외의 많은 출판물을 통해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전력을 다하셨습니다.
특히, 석굴암 사진의 경우 1981·1986·2000년 세 시기에 걸쳐 촬영하셨는데, 그동안 교과서와 도록 등을 통해서만 일부 공개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전체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책은 없었고 촬영된 사진필름 또한 온습도 변화에 민감하여 장기간 보관이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다행히 2019년 국립문화재연구원 설립 50주년에 맞춰 기증되고 2020년 사진집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아울러 사진집에 수록된 자료가 홈페이지에도 공개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렇게 기록에서 공개까지 연구소 관계자분들의 큰 격려와 도움이 있었습니다.
후손으로서 바람이 있다면, 1,172점의 기증된 사진필름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정리되어 관련 보고서 및 선후 기록과 함께 석굴암 원형의 온전한 보존과 연구를 위한 밑거름이 되는 것입니다. 더불어 관련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자라나는 어린 세대들을 위한 학교교육에도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온라인 공개를 통해 코로나19로 지친 분들의 마음속에 석굴암의 숭고한 아름다움이 스며들기를 소망합니다.
한정엽(한국문화재사진연구소, 유족대표)
전체 게시물 : 69건 중 1/6 페이지
-
십일면관음보살상의 얼굴
-
십일면관음보살상의 영락장식
-
제석천상
-
범천상
-
보살상(문수보살상 또는 보현보살상)
-
보살상(문수보살상 또는 보현보살상)
-
발우를 들고 있는 승려상(제4상)
-
합장하고 있는 승려상(제9상)
-
승려상(제1상)
-
승려상(제2상)
-
승려상(제3상)
-
승려상(제4상)
-
승려상(제5상)
-
승려상(제6상)
-
승려상(제7상)
-
승려상(제8상)
-
승려상(제9상)
-
승려상(제10상)
-
병향로를 들고 있는 승려상(제10상)
-
병향로를 들고 있는 승려상(제1상)
-
승려상(제2상)
-
본존불과 감실
-
제2감실 보살상
-
제3감실 관세음보살상
-
제4감실 지장보살상
-
제5감실 유마거사상
-
제6감실 문수보살상
-
제7감실 보살상
-
제8감실 보살상
-
제9감실 보살상
-
금강역사상(좌)
-
팔부중상(제3상 간달바)
-
팔부중상(제1상 아수라)
-
팔부중상(제2상)
-
팔부중상(제3상 간달바)
-
팔부중상(제4상 용)
-
팔부중상(제5상)
-
팔부중상(제6상 야차)
-
팔부중상(제7상)
-
팔부중상(제8상)
-
팔부중상(제1상 아수라)
-
금강역사상(좌)
-
금강역사상(좌)
-
금강역사상(우)
-
사천왕상(지국천)
-
사천왕상(좌:증장천,우:광목천)
-
사천왕상(좌:다문천,우:지국천)
-
사천왕상(다문천 밑의 생령)
메뉴담당자담당부서 : 디지털문화재연구정보팀 담당자 : 백주현 연락처 : 042-860-9157
'전통문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전통악기 거문고. (0) | 2023.10.15 |
---|---|
우리 옛 건축물 18 - 단청의 종류 (0) | 2023.06.12 |
남양주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0) | 2023.05.07 |
동래 담뱃대 (0) | 2023.05.05 |
대자보에 폭발한 광기, 왕은 죄인 머리를 깃대에 매달라 명했다 [박종인의 땅의 歷史] (0) | 2023.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