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하천, 우리 물고기 기사 모음
환경일보에서 인기리에 연재한 우리하천, 우리 물고기 기사 모음집을 아래와 같이 소개합니다.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송사리
- 기자명 김원
- 입력 2009.11.16 14:12
【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주둥이는 뾰족하고 입은 작으며 아래턱이 더 길다. 머리 윗부분은 편평하다. 배는 뚱뚱하고 눈은 몸통에 비해 큰 편이다. 등지느러미의 끝부분은 일직선의 형태를 띤다. 등지느러미는 미병부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뒷지느러미의 기부는 길고 바깥 가장자리는 톱니 형태이다. 전장 약 4cm이다.
몸통은 연한 갈색을 띠며 배 쪽은 희다. 몸통 뒤쪽으로 작고 까만 점들이 흩어져 있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의 지느러미는 검은색을 띠게 된다.
소하천의 가장자리, 늪, 연못, 농수로 등 유속이 느리거나 정체된 수역에 서식한다.
낙동강, 탐진강,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 및 서남해의 섬에 분포한다. <자료=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블루길[환경일보 김원기자]몸통은 옆으로 납작하며 체고가 매우 높고 미병부에서 급격하게 가늘어진다. 주둥이는 짧고 아래턱이 약간 더 길다. 입안에는 작고 날카로운 이빨이 줄이어 있다. 등지느러미의 전반부 10개 정도의 기조는 매우 날카롭다. 꼬리지느러미의 중앙부는 안쪽으로 약간 만입돼 있다. 전장 약 25cm이다. 아가미 뚜껑 끝부분에 눈알 크기의 파란색 점이 있어 블루길(bluegill)이라고 불린다.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고 배 쪽은 그 색이 엷다. 몸통에는 세로 방향으로 8~9개의 굵은 색 띠가 있다. 서식지 환경에 따라 체색이 쉽게교육·과학 김원 2009.12.21 15:23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배스[환경일보 김원기자]머리와 몸통은 약간 납작하고 긴 방추형 체형을 갖는다. 입은 크고 작은 이빨이 날카롭게 솟아 있으며 아래턱이 길다. 눈은 크고 측선은 아가미 뚜껑 뒤에서 약간 상승했다가 등지느러미 끝부분까지 서서히 하강하며 이후 미병부 끝까지 직선을 이룬다. 꼬리지느러미는 넓으며 가운데가 미약하게 만입돼 있다. 전장 약 30cm이다. 서식지의 배경색과 비슷하게 변하는데 대형 인공호의 경우 등 쪽은 짙은 녹색을 띠고 배 쪽은 은색을 띤다. 몸통에는 검은색 반점이 아가미 끝부분에서 꼬리지느러미까지 연장돼 있다. 물 흐름이 약하거나교육·과학 김원 2009.12.21 15:13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나일틸라피아【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체고가 높다. 몸 크기에 비해 입이 작고 주둥이는 뾰족하다. 등지느러미느 아가미덮개 위에서 시작해 몸통 끝까지 연장된다. 미병부는 거의 일직선의 형태이고 꼬리지느러미는 부채 형태를 띤다. 측선은 아가미 뚜껑 바로 뒤에서 시작해 등 쪽으로 굽어 항문까지 이른 것과 항문 위의 몸통 중앙에서 미병부까지 이르는 것으로 돼 있다. 전장 40cm까지 자란다.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며 배 쪽은 흰색이다. 몸통에는 세로로 8~9개 정도의 검은색의 불규칙적인 무늬가 있다. 열대어로 국내 자연수계에서교육·과학 김원 2009.12.14 14:38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황어【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몸은 길고 몸통은 위아애로 약간 납작하다. 주둥이는 길고 뾰족하며, 아래턱이 짧다. 몸통 중앙에 삼각형의 작은 등지느러미가 있으며 꼬리지느러미는 안쪽으로 깊게 만입돼 있다.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돼 있다. 전장 약 20cm이다. 갈색의 몸통에 배 쪽은 은백색이다. 산란기에는 옆줄을 중심으로 진하고 굵은 황색 띠가 나타나고 각 지느러미의 시작부분이 황색으로 변한다. 바다에서 생활하고 산란기엔 봄철에 하천으로 소상한다. 동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하고 대형 인공교육·과학 김원 2009.12.14 14:31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황복【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유선형의 몸통에 머리 부분은 뭉툭하고 꼬리부분은 원통형이다. 입과 눈은 몸통에 비해 작은 편이고 눈은 지느러미는 총배설강 위쪽에 위치한다. 각 지느러미는 몸통에 비해 상대적으로 왜소하다. 꼬리지느러미는 펼친 부채 형태이다. 전장 45cm 정도까지 성장한다. 몸통은 전체적으로 노란색을 띠고 등 쪽은 검고 배 쪽은 흰색이다. 가슴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기점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몸의 중앙을 따라 노란색 줄이 이어져 있다. 새우류, 게 등을 주로 섭식하고 3~5월경에 산란을 위해 강으로 올라온다. 바닷물의교육·과학 김원 2009.12.14 13:53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민물두줄망둑【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몸 길이가 짧고 뭉툭하며 꼬리로 향할수록 옆으로 납작하다. 주둥이는 짧고 아래턱과 위턱의 길이는 같으며 입술은 두툼하다. 가슴지느러미가 크게 발달돼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부채꼴 형태를 띤다. 전장 약 12cm이다. 몸통은 옅은 갈색을 띠며 등 쪽에는 눈 앞에서 출발해 미병부 끝까지 연장되는 짙은 갈색띠가 있다. 또한 위턱 앞에서 서로 연결된 갈색줄은 눈을 통과해 가슴지느러미 상단을 걸쳐 몸통 끝까지 연결된다. 아래턱에는 갈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하구, 기수역, 담수역, 물이 고여 있는 갯벌의 돌 밑에교육·과학 김원 2009.12.07 15:51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말뚝망둥어【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머리는 크고 몸통은 뒤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하다. 눈은 머리 위에서 돌출돼 있으며 동공은 타원형의 형태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서로 뭉쳐져 흡반화됐다. 꼬리지느러미는 부채꼴 형태를 띤다. 두 눈은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전장 약 10cm 정도이다. 몸통은 흙갈색을 띠며 몸통 중앙 위쪽으로 검고 큰 6개 정도의 반점이 있으며, 몸통 아래쪽으로는 작은 반점이 흩어져 있다. 가슴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기조에는 검은색 줄이 있으며 제2등지느러미에는 가로로 중앙을 가로지르는 검은 줄이 있다. 제1등지느러미와 뒷지느교육·과학 김원 2009.12.07 15:45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날망둑【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머리는 원통형이고 꼬리로 진행될수록 옆으로 납작하고 눈은 비교적 작다. 꼬리지느러미의 가장자리는 둥글다. 배 지느러미는 흡반의 형태로 변형됐다. 전장 약 8cm 내외이다. 전체적으로 회갈색을 띠고 있으며 몸통에는 연한 노란색 가로 무늬가 있다. 산란기에 암컷은 등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가 검은색을 띤다. 등지느러미에는 여러 개의 검은색 줄이 있다. 바닥이 모래로 구성된 하구의 바닥이나 연안에 서식하며 해수와 담수를 넘나든다. 주로 동해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하며 남해, 서해와 만나는 하구에 일교육·과학 김원 2009.12.07 15:32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흰줄납줄개【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타원형이며 몸은 옆으로 매우 납작하고 체고가 높다. 주둥이와 입은 작다. 머리에서 몸통으로 이어지면서 등 쪽의 체고가 급격하게 높아진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크며 꼬리지느러미는 안쪽으로 깊게 만입돼 있다. 옆줄은 불완전하다. 전장 약 8cm이다. 등 쪽은 푸른색을 띠고 배 쪽은 황색을 띠는 은백색이다. 아가미 덮개 뒤쪽으로 청색의 줄이 세로로 있고 몸통 중앙에서 미병부의 끝까지 앞과 끝이 날카로운 청색줄이 있다. 유속이 느린 하천의 중하류나 저수지나 호수에 산다. 동해안으로 흐르는 하천을 제외한교육·과학 김원 2009.11.30 15:18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참붕어【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몸은 길며 약간 납작하다. 주둥인 뾰족하며 입은 작다. 아래턱은 약간 더 길다. 눈은 작고 머리 가운데 있다. 등지느러미는 삼각형이고 기점부분의 체고가 가장 높다. 꼬리지느러미는 안쪽으로 약간 만입돼 있다. 전장 약 8cm이다. 몸통은 광택이 있는 은백색이다. 등 쪽은 암갈색이고 배 쪽은 은백색이다. 아가미 뒤에서 꼬리까지 검은색 줄이 이어져 있다. 각각의 비늘에는 검은 점이 있다. 저수지, 호소, 하천 하류의 수초지대에 서식한다. 우리나라의 전국수계에 분포한다. webm교육·과학 김원 2009.11.30 15:12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줄납자루【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몸은 유선형으로 매우 납작하다. 머리는 크지 않고 입은 작다. 입가에는 한 쌍의 수염이 있다. 측선은 몸통을 가로질러 꼬리지느러미 끝까지 연결된다. 등지느러미는 크게 발달했고 꼬리지느러미의 끝은 안쪽으로 만입돼 있다. 전장 약 10cm이다. 몸통은 연푸른색을 띠며 배 쪽은 은백색을 띤다. 아가미 뒤 몸통의 측선 위에는 청색의 반점이 있고 이 곳에서 꼬리지느러미 바로 직전까지 청색줄이 연결돼 있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는 검은색과 흰색 줄이 교차한다. 하천의 중하류, 호수나 댐호의 물가에 서식한다.교육·과학 김원 2009.11.30 15:03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잉어【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대형 어종으로 몸은 길고 납작하다. 주둥이는 둥글고 아래턱이 짧다. 머리는 크고 삼각형의 형태다. 입수염은 두 쌍이 있다. 측선은 완전하고 비늘은 크다. 등지느러미는 몸통 중앙에서 꼬리지느러미 방향으로 길게 이어져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안쪽으로 깊게 파여 있다. 전장 약 60cm이다. 서식지에 따라 체색의 변화가 심하다. 맑은 물에서는 짙은 흙색을 띠며 흐린 물에서는 황금색 또는 연한 갈색을 띤다. 강의 하류, 대형 인공호나 저수지 연못 등 주로 대형 수체에 서식한다. 국내 대부분의 대형 수체에 분포한교육·과학 김원 2009.11.23 14:43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왜몰개【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소형 어종으로 작고 약간 납작하며 몸통의 전반부는 통통한 편이다. 주둥이는 작으나 입은 크고 아래턱이 더 길어 위를 향한다. 눈은 머리의 중앙에 있으며 체형에 비해 큰 편이다. 측선은 불완전하다. 등지느러미 이후부터 체형이 급격하게 가늘어진다. 꼬리지느러미의 양끝은 드럽고 가운데는 안쪽으로 만입돼 있다. 전장 약 6cm이다. 몸통은 암회색으로 검은 점들이 비늘에 흩어져 있으며 배 쪽은 은백색을 띤다. 각 지느러미에는 반점이나 무늬가 없다. 하류의 작은 수로나 농수로, 웅덩이 등에 서식한다. 동해로 흐르교육·과학 김원 2009.11.23 14:38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쌀미꾸리【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몸통은 둥글고 길며 꼬리부분은 옆으로 납작하다. 머리는 위아래로 납작하며 주둥이는 짧고 뭉툭하다. 입가에는 네 쌍의 수염이 있다. 몸통 길이는 짧고 통통하다. 몸통의 중앙부에 등지느러미가 있으며 그 아래에 배지느러미가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부채꼴로 외연부가 바깥쪽으로 둥글다. 전장 약 6cm이다. 몸통은 전체적으로 담갈색을 띠며 검은 점이 산재해 있다. 수컷은 주둥이 끝에서 꼬리지느러미의 중앙을 관통하는 검은색 줄이 있으나 암컷은 불분명하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반점이 흩어져 있다. 수심이 깊교육·과학 김원 2009.11.23 14:32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송사리【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주둥이는 뾰족하고 입은 작으며 아래턱이 더 길다. 머리 윗부분은 편평하다. 배는 뚱뚱하고 눈은 몸통에 비해 큰 편이다. 등지느러미의 끝부분은 일직선의 형태를 띤다. 등지느러미는 미병부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뒷지느러미의 기부는 길고 바깥 가장자리는 톱니 형태이다. 전장 약 4cm이다. 몸통은 연한 갈색을 띠며 배 쪽은 희다. 몸통 뒤쪽으로 작고 까만 점들이 흩어져 있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의 지느러미는 검은색을 띠게 된다. 소하천의 가장자리, 늪, 연못, 농수로 등 유속이 느리거나 정체된 수역에 서식교육·과학 김원 2009.11.16 14:12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빙어【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긴 몸통에 옆으로 납작하다. 머리 크기는 작으나 입은 크고 위를 향한다. 특선은 몸통을 가로질러 중앙에 완전하게 이어져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몸통에 비해 큰 편이며 중앙이 안쪽으로 깊게 만입돼 있다. 몸통은 비늘로 덮여 있다. 전장 약 15cm이다. 은백색의 비늘이 온 몸을 덮고 있으며 지느러미는 투명하다. 자연상태에서는 바다 연안에 살다 봄철에 어미가 강으로 소상해 산란한다. 소양호, 안동호를 비롯한 전국의 대형 인공호와 저수지에 많이 분포한다. webmaster@hkb교육·과학 김원 2009.11.16 14:05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붕어【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몸통은 옆으로 납작하며 전체적으로는 긴 타원형이다. 측선은 완전해 배 쪽에서 약간 아랫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눈은 크며 몸통은 비늘로 덮여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중앙은 안쪽으로 완만하게 얀각 만입돼 있다. 수염은 없다. 전장 약 30cm이다. 전체적으로 옅은 황금색을 띠며 배 쪽은 연한 회백색을 띤다. 댐, 저수지, 농수로 등 정체수역과 하천의 하류 등의 수초가 밀집해 성장하는 수역을 선호한다. 우리나라 전 수계에 분포한다. webmaster@hkbs.co.kr교육·과학 김원 2009.11.16 13:55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버들붕어【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타원형의 체형으로 옆으로 납작한 형태이다. 눈은 매우 작다. 작은 입은 주둥이 앞에서 위로 향한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길게 신장돼 꼬리지느러미의 끝 또는 그 이상으로 길다. 전장 약 7cm이다. 진한 암녹색을 띠며 머리에서 어깨까지는 얼룩이 심하다. 아가미 뚜껑 위에는 파란색 점이 있고 아가미 뚜껑의 테두리는 밝은 황색을 띤다. 꼬리지느러미는 붉은색 바탕에 푸른 형광색이 빼곡하게 흩어져 있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테두리는 밝은 하늘색 형광색을 띤다. 산란기의 수컷은 화려한 혼인색을 띤다.교육·과학 김원 2009.11.09 14:53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몰개【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전장 10cm 내외의 소형어종으로 머리는 작고 눈은 크며 측선은 가슴부위에서 약간 아래로 쳐졌다가 꼬리까지 거의 직선으로 연장된다. 꼬리지느러미는 안쪽으로 깊숙이 날카롭게 만입돼 있다. 주둥이에는 짧은 한 쌍의 수염이 있다. 연한 갈색을 띠며 등 쪽은 약간 진하고 측선 아래 배 쪽은 옅은 갈색을 띤다. 지느러미를 포함해 몸 전체에 무늬나 반문이 없다. 유속이 거의 없는 하천의 하류나 수초가 발달돼 있는 저수지 등에 무리를 이뤄 서식한다. 한강, 금강, 낙동강 등 동해안을 제외한 우리나라 대부분이 대형수교육·과학 김원 2009.11.09 14:45
- 우리 하천, 우리 물고기-메기【서울=환경일보】김원 기자 = 머리는 크고 위아래로 납작하며 몸통은 등지느러미를 지나면서 세로로 납작하다. 등지느러미는 작으나 뒷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 뒤부터 시작해 꼬리지느러미까지 연장돼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작으며 안쪽으로 약간 만입돼 있다. 수염은 위턱과 아래턱에 각 한 쌍씩 있다. 옆줄은 완전하게 형성돼 있다. 몸통에 비늘은 없다. 전장 약 50cm이다. 몸통 전체가 어두운 갈색을 띠며 서식지의 환경에 따라 체색이 짙고 옅음이 있어 얼룩져 보인다. 물의 흐름이 없는 호수나 수초가 발달돼 있는 하천 등에 서식한다. 국내 대부분의교육·과학 김원 2009.11.09 14:40
'곤충과 동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혈을 기울인 '순간포착'… 2021년 새 사진·영상 공모전 수상작 (0) | 2021.07.16 |
---|---|
'한여름 밤의 꿈'... 이제부턴 반딧불이의 시간 (0) | 2021.07.02 |
‘토종 돌고래’ 상괭이 지키려면 (0) | 2020.03.29 |
문화재지정 천연기념물 (0) | 2019.06.18 |
국내서 멸종된 따오기, 40년 만에 다시 날다 (0) | 2019.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