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낙동강 이야기

낙동강의 유래 및 역사적 의의

낙동강의 유래 및 역사적 의의

 

  • 낙동강은 영남지방 전역을 유역권으로 하여 그 중앙 저지대를 남류하여 남해로 흘러드는 하천으로 유로연장 521.5㎞, 유역면적 23,817㎢으로 압록강 다음가는 한국 제2의 강이다. 강원 태백 함백산(咸白山:1,573m)에서 발원하여 상류부에서는 안동을 중심으로 반변천(半邊川)을 비롯한 여러 지류를 합치면서 서쪽으로 곡류하다가 함창(咸昌) 부근에서 다시 내성천(乃城川) · 영강(嶺江) 등 여러 지류를 구심상(求心狀)으로 받아들이고, 유로(流路)를 남쪽으로 돌려 상주(尙州) 남쪽에서 위천(渭川)을, 선산(善山) 부근에서 감천(甘川), 대구(大邱) 부근에서 금호강(琴湖江), 남지(南旨) 부근에서 남강(南江)을 합친 뒤 동쪽으로 유로를 바꾸어 삼랑진(三浪津) 부근에서 밀양강(密陽江)을 합치고 나서 다시 남쪽으로 흘러 남해로 들어간다.
  •  

낙동강의 원래 이름은 삼국시대엔 '황산강(黃山江)' 또는 '황산진(黃山津)'이었다. 고려-조선 시대에 와서 '낙수(洛水)', '가야진(伽倻津)', '낙동강'이라 하였다. '황산'이란 이름은 '황산나루' 때문에 나온 것인데, 이 나루는 지금의 양산군 물금면 물금리에 있던 나루로, 삼국시대에 신라의 수도 경주와 가락의 중심지 김해 사이에 교류가 성했던 곳이다. 낙동(락동)'이라는 이름은 가락의 동쪽?이란 뜻인데,가락'은삼국시대에 가락국의 땅이었던 지금의 경상도 상주 땅을 가리킨다. 즉, 상주(가락) 동쪽으로 흐르는 강이란 뜻으로 '락동'이란 이름이나왔다. 조선시대 이긍익(李肯翊. 1736~1806)이 지은 <연려실기술> '지리전고(地理典故)'편에도 이렇게 적혀 있다. "낙동(洛東)은 상주의 동쪽을 말함이다."

 

낙동강지역에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으며, 경북 칠곡군 석적면 중동일대에서 돌망치등 구석기 유물과 울산시 울주군 서생의 빗살무늬토기, 부산 영도 동삼동, 조도, 다대포 등지의 패총등 다양한 신석기 유물이 발견되고 있는 곳이다. 또한, 역사시대에는 청동기 및 철기문화의 꽃을 피운 지역으로 수십개의 부족국가들로 이루어진 가야와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천년고도 신라가 자리잡았던 역사적으로 중요한 곳이며, 고려, 조선시대에는 일본과의 교통무역 요충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던 지역으로 임진왜란과 6.25의 비극을 간직한 가슴아픈 사연이 깃든 지역이기도 하다. 특히, 근래에 들어와서는 우리나라 산업발전의 대동맥 역할을 담당하여 경제발전의 기틀을 마련한 지역이다.

 

 

지형및 지질

  • 낙동강은 상류부에서는 편마암(片麻岩)과 중생층(中生層) 사이의 구조선을 따라 유로를 취하다가 중류부에서는 중생층, 하류부에서는 분암(훅岩)지대를 흐른다. 낙동강은 경사도가 매우 완만하여, 400km 상류의 안동에서도 해발고도 100m에 달하지 못하고 퇴적이 심한 하류부에서는 천정천(天井川)을 이루는 데다가 삼랑진에서 물금(勿禁) 사이의 약 19km 구간은 홍수 때에 강물의 소통이 잘 안되는 협착부(狹搾部)를 이루므로, 지류 남강에 댐이 건설되기 전까지는 범람이 심하였다. 한편 낙동강은 저산성 산지(低山性山地) 또는 구릉지를 흐르기 때문에 범람원(氾濫原)의 발달이 없고, 따라서 김해삼각주(김해평야)를 제외하고는 강 연안을 따라 소규모의 평야가 펼쳐져 있을 뿐, 넓은 충적지는 비교적 적다.

주요평야는 상류부의 안동분지, 중류부의 대구분지, 하류부의 경남평야로 나뉘는데, 안동분지는 여러 지류 연안의 침식분지들이 연결된 규모가 큰 평지이고, 대구분지는 본류와 금호강·감천 외 여러 지류 연안에 수지상(樹枝狀)으로 분포하는 평야이며, 경남평야는 창녕(昌寧) 이남의 본류 연안과 남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평지 및 김해삼각주를 포함한다. 낙동강 하구부에 형성된 김해삼각주는 남북 18km, 동서 16km의 대삼각주로 전국적으로 보기 드문 대충적평야를 이루는데, 낙동강은 구포(龜浦) 상류 2km 지점에서 2대분류(二大分流)하면서 거대한 삼각주 하중도(河中島)를 형성하고, 다시 망상 분류(網狀分流)를 하면서 여러 작은 하중도를 분리시키고 있다.

낙동강은 유역의 논 약 86만ha의 농업용수와 여러 시읍(市邑)의 상수도용수 및 공업용수원이 되고 있는데, 특히 1969년 남강에 건설된 남강댐과 1976년 건설된 안동댐은 수자원의 효과적인 이용에 기여하는 한편, 각각 1만 2600kw, 9만kw의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유역의 농업ㆍ공업 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있다. 옛날에는 내륙지방의 교통동맥이 되어 조운(漕運) 등에 크게 이용되면서 강기슭에 하단(下端)ㆍ구포ㆍ삼랑진ㆍ수산(守山)ㆍ풍산(豊山)ㆍ안동 등의 선착장이 번창하였고, 또 6 .25전쟁 당시에는 유엔군의 최후 방어선이 된 바 있다. 한편, 김해삼각주 말단부에 있는 을숙도(乙淑島) 일대는 세계적으로 알려진 철새도래지이다.

 

 

낙동강 현황

 

  • 낙동강 수계 : 유역면적 23,647㎢, 유로연장 510.4km
  • 연평균 강수량 : 1,253mm(‘10~’19년 평균)
  • 하천 : 781개소(국가 11, 지방 770)

직원연락처구 분개소 수중류권역유로연장(㎞)유역면적(㎢)계국가지방계국가지방

낙동강수계 781 11 770 7,305 835 6,470 510.4 23,647
낙동강권역 1,185 17 1,168 9,627 932 8,695 - 31,315

※ 자료출처 : 낙동강 대권역 물환경관리계획 수립 연구(안)(‘16~’25), 한국하천일람(‘14.12.31.기준, 국토교통부)

  • 인구 : 13,394천명(전국대비 약 25.3%)
  • 연평균 강수량 : 1,253mm(‘10~’19년 평균토지이용 : 임야 21,533㎢(68.4%), 전·답 5,260㎢(16.7%), 대지 2,327㎢(7.4%), 기타 2,382㎢(7.5%))

  • 수자원 이용량 78.6억㎥ (수자원총량 268.4억㎥의 29.3%)

(2017년 기준, 단위 : 억㎥, %)

수자원 환경구분계생활용수공업용수농업용수

낙동강권역 78.6 18.7(23.8) 12.5(15.9) 47.4(60.3)
전국 268.4 75.3(28.1) 24.7(9.2) 168.4(62.7)

※ 자료출처 : 국가수자원종합정보관리시스템

출처; www.me.go.kr/ndg/web/index.do?menuId=3553

 

낙동강 현황

 

www.m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