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채널(k Heritage tv)에서 제작한 "겨울에도 얼지 않는 철새 공화국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영상을 소개합니다.
낙동강 하구는 동쪽의 부산과 김해평야 사이에 있는 넓은 하구 지역으로 하천의 퇴적작용과 해수의 간만작용에 의해 명지도, 대마등, 장자등, 백합등 등의 크고 작은 사구와 그 주변으로 형성된 넓은 갯벌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갯벌에 사는 크고 작은 해양 동·식물이 살고 있다. 겨울철에 강물이 얼지 않아 철새들의 먹이 사냥이 가능한 것도 다른 철새도래지와 다른 점이다. 또 개간되지 않은 땅에는 갈대가 군락을 이루고 있어 물새들의 좋은 안식처가 된다.
이러한 입지조건으로 낙동강 하구는 1980년대 까지만 해도 "동양최대의 철새도래지"란 명성을 얻었바가 있었다. 비록 낙동강하굿둑 건설, 명지주거타운 건설 등 많은 주변의 환경변화가 있었지만 우리나라 대표적인 철새도래지로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봄과 가을에는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도요새류와 물떼새류의 대집단이 이곳을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며, 겨울에는 월동을 위해 규칙적으로 도래하는 고니류를 비롯하여 오리류·기러기류·가마우지 등의 철새집단이 겨울을 보낸다. 특히 백조라고 부르는 고니류는 이곳을 찾는 물새들 중 그 자태가 아름다운 새로 국제적으로도 진귀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제작기관 : 한국문화재재단
제작년도 : 2015년 ~ 2016년
프로그램 소개 : 한국의 아름다운 자연을 배경으로 천연기념물 동물의 서식지와 생태를 소개하는 생태 다큐
멘터리 프로그램
영상 대본
00:36 겨울철새 공화국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00:54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천연기념물 제179호
01:08 부산과 김해평야에 사이의 넓은 하구지역으로 수많은 삼각주와 모래언덕이 만들어져 있다
01:38 겨울에도 얼지 않아 11월부터 3월까지 겨울철새들의 안식처 역할을 한다.
01:52 혹부리오리
01:56 청둥오리
02:05 알락꼬리마도요
02:39 물수리
02:47 잿빛개구리매 천연기념물 제323-6호
03:22 노랑부리저어새 천연기념물 제205-2호
03:38 주걱모양의 부리를 저어 새우나 물고기 등을 잡는다
04:01 큰고니 천연기념물 제201-2호
<인터뷰>
박진영 박사 / 국립생물자원관
04:16 낙동강하구가 철새도래지로서 예전부터 아주 유명했고 굉장히 다양한 종과 많은 수의 철새들이 찾아 왔습니다
04:26 철새들이 낙동강하구를 많이 찾아오는 이유는 다른 하구에는 없는 넓게 펼쳐진 섬이 있는 것이 큰 역할을 하는 것 같고요
04:38 섬 주변에 굉장히 넓은 갯벌들이 펼쳐져 있습니다
04:42 갯벌은 다양한 철새들의 먹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고요 섬은 휴식장소를 제공해줍니다.
05:25 겨울에도 얼지 않는 철새 공화국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낙동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상구 하천 (0) | 2021.04.14 |
---|---|
낙동강의 유래 및 역사적 의의 (0) | 2020.12.29 |
낙동장교(洛東長橋) 이야기 (0) | 2020.06.07 |
바로 알아야 할 지명/소요리 유도리, 유두강 (0) | 2016.04.07 |
김상화의 낙동강 江心 (0) | 2015.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