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선의 역과 명승지
서울과 부산을 잇는 경부선이98) 1905년(광무 9) 1월에 개통되면서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경부선 개통 당시 두 편의 열차가 운행되었는데, 야간 운행의 위험성으로 소요 시간은 약 30시간이었으나 실제 주행 시간은 17시간 4분이었다. 그러다가 그 해 5월 운전 시간을 조정하여 직통 급행열차(急行列車)가 14시간 만에 주파하였다. 그 후 혼합 열차(混合列車)가 서울과 부산을 하루 2회 운행하였고, 서울과 대구 및 대전과 부산을 각각 1회 운행하였다. 개통 이듬해인 1906년 4월 급행열차 융희호가 서울에서 부산을 11시간 만에 갔고, 1908년(융희 2) 4월부터 야간열차(夜間列車)를, 1912년 8월부터 1등실 침대칸을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36년 12월에 운행 시간이 개정되면서 서울 부산 간 특별 급행열차가 신설되어 여행 시간은 6시간 45분으로 줄어들었으며, 1940년에는 6시간 30분으로 단축되었다.99)
경부선의 시발지(始發地)인 부산은 1876년(고종 13) 개항(開港) 이래 여객과 화물의 집산으로 나날이 번성하고 있었으며, 일본 거류민이 1만여 명 에 이르러 완연한 일본의 도시라고 밝힌 경우도 있다. 주요 관광지를 살펴보면, 부산역은 용두산을 비롯하여 용미산·절영도·동래 온천을, 초량역은 진강성태군 초혼비(津江成太君招魂碑)를, 부산진역은 부산진성·소서성지(小西城趾)·영가대(永嘉臺)·동래부·범어사·부산 수원지(釜山水源池)를, 구포역은 김해·낙동강·서봉산(鼠峰山) 폭포를, 원동역은 용산(龍山)을, 물금역은 통도사를, 삼랑진역은 작원관(鵲院關)을 각각 소개하고 있다. 이들 관광지 중에서 진강성태군 초혼비와 소서성지는 임진왜란 때 왜군(倭軍)과 관련된 곳으로, 일본인을 위한 관광지를 소개하고 있음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고 있다.
부산권을 지나 밀양역에 이르면 영남을 상징하는 영남루(嶺南樓), 밀양강 일대 향어 산지, 그리고 역 부근의 풍광 좋은 곳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100) 유천역은 역에서 남쪽으로 2리 정도 떨어져 있는 적천사(磧川寺)와101) 매기로 유명한 유천천(楡川川)을, 청도역은 청도성(淸道城)·약수롱(藥水瀧)·문묘(文廟)를 각각 소개하고 있다.
대구로 들어가는 초입에 있는 경산역은 경흥사(慶興寺)·고산서재(孤 山書齋), 풍광이 좋은 금호강(琴湖江), 성암(聖岩)을 소개하고 있으며, 대구역은 대구 시내의 달성 공원(達城公園)·공자묘(孔子廟)·영귀정(詠歸亭)·칠성석(七星石)·팔공산(八公山), 그리고 신라 고도의 경주(慶州) 유적지와 아기자기한 맛을 간직한 해안선으로 이어진 포항의 영일만을 곁들이고 있다. 왜관역에서는 마성산(磨城山), 인동부(仁洞府), 역에서 동쪽으로 1리 정도 떨어져 있으며 수백 년의 노송이 우거진 매원(梅院), 경남 서로의 요충지인 성주 대석탑(大石塔)을 안내하고 있다. 김천에 조금 못 미쳐 있는 금오산역은 금오산(金烏山)을, 김천역은 지금도 널리 알려진 직지사를, 추풍령역은 덕대산(德大山)·장지현비(張智賢碑)·도기 제조갱(陶器製造坑)을, 황간역은 한천 팔경(寒泉八景)·교촌(校村)을 각각 소개하고 있다.
충청 지역에서 첫 번째 맞는 영동역은 서금산성(西錦城山)의 낙화대(落花臺)를, 심천역은 옥길 폭포(玉吉瀑布)·금강(錦江)을, 이원역은 은행나무로 유명한 영국사(寧國寺)를, 옥천역은 용암사(龍岩寺)·이지당(二止堂)·마니산성(摩尼山城), 신라와 백제의 전투 현장이 있는 양산(陽山), ‘만산기암(滿山奇巖) 괴석돌올(怪石突兀)’이라는 속리산과 속리사를 소개하고 있다. 특히 속리산은 벚나무로 유명해 벚꽃 관광으로도 널리 알려진 곳이었다.
경부선이 개통되면서 교통의 요지로 성장한 대전역은 유성 온천, 계룡사(갑사), 호남 3대 거물의 하나인 철부(鐵釜), 관촉사의 은진 미륵, 염전과 해산물로 풍부한 강경을 소개하고 있다. 대전을 지나 신탄진역은 계족산(鷄足山) 정상의 옛 성지(古城趾)와 입암(立岩)을, 공주-연기-문의를 잇는 부강역은 관월(觀月)과 관설(觀雪)로 유명한 부용산(芙蓉山)과 부용사(芙蓉寺), 금강 하류의 조망권이 좋은 독락정(獨樂亭), 금광으로 유명한 광죽암(廣竹 岩), 대가람으로 문의군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현사(懸寺), 백제의 고도 공주, 강경을 소개하고 있다.
조치원역은 보살사(菩薩寺)와 미륵 부처를 모시고 있는 용화사(龍華寺), 당산 신당(堂山神堂)으로 널리 알려진 청주와 조헌 사적비(趙憲事蹟碑), 청주 객사의 은행나무, 상당산성(上黨山城), 속리산 북쪽 언덕 만산송수(滿山松樹)의 낙영산(落影山)과 화양동(華陽洞)을 소개하고 있다. 연기군의 끝자락에 위치한 소정리역은 충남 제일의 고찰로 불리는 광덕사(廣德寺)를, 천안역은 온천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온양 온천(溫陽溫泉)을, 성환역은 청일 전쟁과 관련된 월봉산(月峰山)과 안성(安城) 나루, 임진왜란과 관련이 있는 직산(稷山)을 소개하고 있다.
경기도로 들어가는 초입의 평택역은 청일 전쟁의 현장이었던 고전장(古戰場), 곡물 시장으로 유명한 안촌(安村), 쌀과 소금으로 알려진 둔포(屯浦)를 소개하고 있다. 병점역은 임진왜란 때 적을 속이기 위해 쌀로 말을 씻겼다는 세마대(洗馬臺)와 독산성지(禿山城趾)를, 수원역은 팔달산을 중심으로 용화전(龍華殿)·화성 장대(華城將臺)·화양루(華陽樓)·문묘(文廟)·미로문정(未老聞亭)·병암간수(屛岩澗水)·화성 행궁(華城行宮)·낙남헌(洛南軒)·화령전(華寧殿)·강무당(講武堂)·칠간수(七澗水)·방화수류정(訪花隨 柳亭)·용연(龍淵)·연무대(練武臺)·매향교(梅香橋)·구간수(九澗水)·구산(龜山)·봉녕사(奉寧寺), 광교산(廣橋山)의 청련암(靑蓮庵)과 백운사(白雲寺) 등 다양한 볼거리를 소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수원 팔경도102) 함께 안내하고 있다. 이 밖에도 근대 농업 시설인 권업 모범장(勸業模範場)·농림학교(農林學校), 농상공부 임업과 종묘원(農商工部林業科種苗院)도 포함하고 있다. 군포장역은 정조가 거닐었던 지지대(遲遲臺)를, 시흥역은 관악산과 산 정상에 있는 호압사(虎壓寺)를 각각 소개하고 있다.
한강을 건너 맞이하는 노량진역은 한강·남한산·삼막사(三幕寺)·월파정(月波亭)·사충 서원(四忠書院)을, 용산역은 공덕리 흥선 대원군(興宣大院君) 구릉(舊陵)·용산 공원으로 불리는 만리창(萬里倉)·동작 나루와 용 나루를 보여 주고 있다. 경부선의 종착역인 남대문역과 서대문역은 조선의 수부(首府) 경성의 중심지로 왕궁인 창경궁을 비롯하여 창덕궁, 경복궁, 경희궁, 경운궁, 탑골 공원과 13층 석탑 및 구비(龜碑) 등을 소개하고 있다. 이들 경부선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는 명승지를 정리하면 표 ‘경부선의 주요 역과 명승지’와 같다. 그러나 이들 관광지 중에서 없어지거나 관리 부실로 인해 현재 찾아볼 수 없는 곳도 적지 않다.
역명 | 명승지 | 역명 | 명승지 |
부산역 | 용두산, 용미산, 절영도, 동래(온천) | 초량역 | 진강성태군 초혼비 |
부산진역 | 부산진성, 소서성지, 영가대, 동래부, 범어사, 부산 수원지 | 구포역 | 김해(가야), 낙동강, 폭포(서봉산) |
물금역 | 통도사 | ||
원동역 | 용산 | 삼랑진역 | 작원관 |
밀양역 | 영남루 | 유천역 | 적천사, 유천천 |
청도역 | 청도성, 약수롱, 문묘 | 경산역 | 경흥사, 고산서재, 금호강, 성암 |
대구역 | 달성 공원, 팔공산, 공자묘, 영귀정, 칠성석, 경주, 영일만 | 왜관역 | 마성산, 인동부, 매원, 성주(대석탑) |
금오산역 | 금오산 | ||
김천역 | 직지사 | 추풍령역 | 덕대산, 장지현비, 도기 제조갱 |
황간역 | 한천 팔경, 교촌(공자묘, 가학루) | 영동역 | 낙화대 |
심천역 | 옥길 폭포, 금강 | 이원역 | 영국사 |
옥천역 | 용암사, 이지당, 마니산성, 양산, 속리산, 속리사 | 대전역 | 유성 온천, 계룡사, 철부, 은진 미륵, 강경 |
신탄진역 | 고성지, 입암 | 부강역 | 부용산, 부용사, 광죽암, 현사, 공주, 강경 |
조치원역 | 청주, 조헌사적비, 압각수, 상당산성, 낙영산, 화양동 | 소정리역 | 광덕사 |
천안역 | 온양 온천 | 성환역 | 월봉산, 안성도, 직산 |
평택역 | 고전장(소사), 안촌, 둔포 | 병점역 | 세마대, 보적사, 독산성지 |
군포장역 | 지지대 | 시흥역 | 관악산 |
노량진역 | 한강, 남한산, 삼막사, 월파정, 사충 서원 | 용산역 | 공덕리 흥선 대원군 구릉, 만리창, 동작진, 용진 |
수원역 | 용화전, 화성 장대, 화양루, 문묘, 미노각정, 병암간수, 화성 행궁, 낙남헌, 화령전, 강무대, 칠간수, 방화수류정, 용연, 연무대, 매향교, 구간수, 구산, 봉녕사, 청련암, 백운사, 수원 팔경, 권업 모범장, 농림학교, 농상공부 임업과 종묘원 | 남대문역 서대문역 |
창경궁, 창경궁, 경복궁, 경희궁, 경운궁, 13층 석탑( 원각사 13층탑), 구비(탑골 공원 내), 탑골 공원, 보신각, 만세문, 훈련원, 동묘, 북묘, 문묘, 장충단, 청량리, 각산, 북한산성, 태고사, 문수암, 승가사, 천연정, 독립문, 독립관, 벽제관, 석파정, 세검정, 탕대성, 제천정, 이태원, 남묘, 시위연대적, 원구단, 왜성대, 남산 |
98) | 경부선의 역과 관련된 관광지는 統監府 鐵道管理局, 「京釜線の部」, 『韓國鐵道路線案內』, 1908, 1∼106쪽에서 정리하였다. |
---|---|
99) | 김영성, 「국토의 시공간 수렴 : 1890년대∼1990년대」, 『지리학 연구』 27, 국토 지리 학회, 1996, 45∼46쪽. |
100) | 제1월 연추도(淵墜道), 제2월 연추도, 제1 방천추도(防川墜道), 제2 방천추도, 밀양강 철도 가교 등이다. |
101) | 적천사(磧川寺)는 현재 청도군에 있으며 보조 국사(普照國師)가 심은 800년의 수령의 은행나무와 원효 대사가 공부한 토굴로 유명하다. |
102) | 수원 팔경은 팔달무경(八達霧景), 서호낙조(西湖落照), 화산두견(花山杜鵑), 화홍관창(華虹觀漲), 광교적설(光敎積雪), 북지상련(北池賞蓮), 남제장류(南堤長柳), 나각대월(螺閣待月)이다.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print.do?levelId=km_022_0040_0020_0010&whereStr=
.
'사랑방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19.3.1. 파고다 공원, 독립선언서는 누가 읽었나? (0) | 2019.03.23 |
---|---|
[3.1운동 100년] 3.1운동 ‘만세 지도’ 만들었다 (0) | 2019.03.23 |
"한국이 모르는 일본" 기사 모음 (0) | 2019.03.05 |
"해양문화의 명장면" 기사모음 (0) | 2019.02.22 |
신발은 어떻게 진화했나 (0) | 2018.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