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상의 토박이

함안조씨재실 - 사천재(沙川齎)

함안조씨재실 - 사천재(沙川齎)

 

 

함안 조씨 동은공파 재실-사천재


함안 조씨 가승(家乘)에 의하면 조선조 단묘(端廟) 때 생육신의 한분이던 어계 조여 선생의 현손인 조 근(趙 瑾)이 밀양 으로 왔다가 임진왜란 전 양주고을 사천 땅에 이거하여 큰 아들은 괘내리(甘洞)에, 둘째 아들은 주례리에 각 각 터전을 마련하고 정착하였다

이 집안에서는 사상 향안에 85명 이 수록되어 있고 두명의 선무원종 공신과 무과급제 1명과 무과초시 입격자 두 사람을 내고 두 명의 풍헌과 면장 1명을 내고 동래향청의 무임(武任)으로 천총(千摠) 1명과 파총(把摠)1명을 맡았고 동래성 축성(동래성 축성) 때 세 명의 감(監)을 담당하였된 집안으로 15대를 이어오고 있다. 현재 후손들은 김해 기장 양산 밀양 등지에 흩어져 살고 있다.

천총(千摠) ; 조선 시대에, 각 군영에 속한 정삼품 무관 벼슬
파총(把摠) ; 조선 선조 27년(1594)에 각 군영에 둔 종사품 무관 벼슬.

최근에 와서 사상지역의 도시 개발로 인해 조상의 분묘가 훼손되어 주례동에 있던 재실을 감전동 253ㅡ1번지에 옮겨 사천재를 건립하였다. 이곳 재실에는 입향조 이하 여러 조상을 한 곳에 모시고 매년 음력 10월에 합사로 향제를 지내고있다

함안 조씨문중 입향조 조 근의 큰아들 국도(國道)ㅡ손자 ( 英信. 英連. 英千)
둘째아들 진도(璡道)

5인은 임진왜란에 참전하였으며 이중 두 분만 살아 돌아오시고 세분은 전사하였다. 그중 영련(英連)은 목없는 시신으로 돌아 온 상태로 묘를 고석등에 모셨다고 한다.
입향조 조 근의 아들인 국도 할아버지는 당시 42세로 나이에도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일가족 5명과 함께 전란에 참전 하였다는것이 높은 벼슬을 한 조상을 둔 것보다 훨씬 자랑스럽다고 종손인 조현일씨는 할아버지의 애국심을 높이 평가 한다고 말하였다.

 

재실현판-사천재

 

파조 조 근을 비롯 조상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공간

 

한편  사상문화원의 이사로 사상지역의 민요와 전설에 대한 관심이 남달랐던 조정래(1924-2010)선생의 향토사랑은 남달리 높았기로 소문났을 정도다. 사천재에 보관하고 있는 조선시대 고문서는 집안과 조정래선생의 높은 관심을 충분히 읽을 수 있다. 다수의 고문서를 보관하고 있는 것을 보면서 사상지역의 뿌리 깊은 가문임을 말해주고 있다. 선생의 타계는 향토사를 사랑하는 입장에서 못내 아쉬운 마음이다. 

 


     2000년 사상문예지와 인터뷰 할 때 찍은 사진1-

2000년 사상문예지와 인터뷰 할 때 찍은 사진2-집안에 보유하고 있는 고문서를 펼쳐보이고 있다.

 

사천재 1층에서 종손으로부터 설명을 듣고있는 모습

 

집안 내력을 설명하고 있는 종손 조헌일씨

사상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고있는 '사상지역의 금석학' 시간에 6월 7일의 교육은 사천재 현장답사로 실시하였다. 사천재 1층에서 조헌일 종손의 친절한 배려로 집안의 내력과 보관하고 있는 고문서와 유물을 하나씩 꺼내 보여 주면서 그 배경을 설명하여 주었다.

 

덕분에 임란 이전에 사상지역에도 뿌리를 내린 함안조씨 집안이 무관으로 명성을 날린 집안임을 알게 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명성에 걸맞게 보유하고 있는 교지와  집안의 계 모임기록 과 조선말의 "사상면 호적 중초", "사상면 감동리 남정책" 등 조선시대 사상지역의 내력을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였다. 특히 비록 훼손되었지만 임금의 도장이 찍힌 '임란 공신록권'은 함안조씨 집안의 선조들이 임란 때 참전하였음을 증명해 주고 있었다. 이 자료를 통해 임란에 참전하고 귀환한 沙上9人義士가 사실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