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산의 이야기

화지산의 정묘(鄭墓

 

주영택이 발로 찾은 부산의 전설 보따리 <22>

-화지산의 정묘(鄭墓)

고관대작이 묻힐 명당에 밀짚으로 관을 싸니…

  • 국제신문
  • 디지털뉴스부 inews@kookje.co.kr
  • 2012-05-16 19:37:36
  • / 본지 28면
   

부산 부산진구 양정동 화지산에 위치한 정묘 전경.

 

- 장소: 부산진구 양정동
- 화지산 명당혈이나 역적 날 자리
- 동래 정씨 시조 이방 정문도 매장
- 보기 드문 향호세족으로 성장
- 승마자 하차로 '하마정'으로 불려

지금으로부터 900여년 전 동래현에 고공익 현령이 부임했을 당시 정문도(鄭文道)는 이방으로서 현령을 보좌하고 있었다.

고 현령은 풍수지리학에 밝아 공무가 끝나면 이방을 대동하고 동래 전역을 답사하다가 마지막에는 화지산에 올라 명당혈을 찾다가 사방을 둘러보면서 혼잣말로 "참 좋은 명당인데, 앞에 보이는 절영도 봉래산에 괴암(怪岩)이 보여서 역적이 날 자리야"라는 장탄식을 정 이방이 엿듣고 집으로 돌아와 아들에게 일러두었다.

얼마 후 고 현령은 개경의 내직으로 영전하였고, 정 이방은 퇴임하고 안일호장(安逸戶長· 고려 때 나이가 일흔 살이 돼 퇴직한 호장. 퇴직 후 봉록을 주어 안일하게 살도록 하였음)이 되었다가 죽었다.

   
동래 정씨 시조호장문도묘비.
아들들은 흠(봉래산의 괴암)이 있음을 알면서도 장지를 화지산(華池山·199m)으로 정했다. 운구를 할 때 기이한 일이 생겼다. 백설이 뒤덮인 가운데 호랑이가 누웠다가 상여꾼 소리에 떠나갔다. 그 자리에는 눈이 없어 그 곳을 파고 장례를 마쳤다. 삼우제 때 가 보았더니 기괴한 일이 또 생겼다. 시신을 누가 파냈던 것이다. 두 번째 다시 매장하였으나 또 시신이 무덤 구덩이 밖으로 나와 있었다.

아들들은 사람의 짓이 아님을 깨닫고 그 연유를 알고자 논의할 때, 백발 노인이 나타나 "그 자리는 고관대작이 묻힐 명당이다. 아전이 묻힐 자리가 아니다"라고 하였다. 괴변을 당한 아들들이 애원하면서 "괴변이 난 것을 아시니 고치는 방도도 알고 있으리라 믿습니다. 제발 불쌍하게 생각하여 그 방도를 가르쳐 주소서"라고 호소했다. 백발 노인이 "영정에 고관대작의 명칭을 붙여도 역적 행위이고 금관조복을 시신에 입혀도 역적이 되는 것이니 밀짚을 엮어 관을 싸 묻어보게나"라고 충고했다. 그제서야 아들들은 백발 노인에게 감사의 뜻을 말하고자 하는데 일순간 노인은 간 곳 없이 사라졌다.

아들들은 노인이 시키는 대로 관을 밀짚으로 싸서 묻고 밤을 지새우며 숲속에 숨어 아버지의 무덤을 지켜보았다. 보름날 삼경 때 여기저기에서 도깨비가 나타나더니 "또 묻었구나"하면서 봉분을 헤치고 관이 드러날 때 달빛에 밀짚이 황금빛으로 보이니 도깨비들이 속아 "이제서야 주인이 들었구먼, 우리가 할 일은 다하였다. 빨리 원상복구하고 가자"라고 하더니 재빨리 원상복구하고 사라졌다.

그 이듬해 늦봄에 구름 한 점 없던 밤하늘에 난데없이 먹구름이 끼고 비가 쏟아지면서 거대한 뇌성벽력이 절영도 봉래산의 괴암(역적암)을 부숴버렸다. 이후 정문도의 후손들은 잘 돼 정승이 17명, 대제학이 2명, 문과급제자가 198명이 난 보기 드문 향호세족이 되었다.

현재 동래 정씨의 시조 정문도의 무덤인 정묘가 화지산 경내에 있다. 이 앞을 지나갈 때 승마자는 반드시 말에서 내려 배례한 후 경내를 벗어나 말을 탔다. 해서, 지금까지 이곳은 하마정(下馬停)으로 불리고 있다. 

가마골향토역사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