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무량수전의 아름다움’ 일깨워준 ‘최순우’ 컬처 스토리‘무량수전의 아름다움’ 일깨워준 ‘최순우’입력 2016.05.14 (09:02)수정 2016.05.14 (09:25) ■ ‘무량수전의 아름다움’ 일깨워준 고마운 사람 ‘최순우’"소백산 기슭 부석사의 한낮, 스님도 마을 사람도 인기척이 끊어진 마당에는 오색 낙엽이 그림처럼 깔려 초겨울 안개비에 촉촉이 젖고 있다. 무량수전, 안양문, 조사당, 응향각들이 마치 그리움에 지친 듯 해쓱한 얼굴로 나를 반기고, 호젓하고도 스산스러운 희한한 아름다움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다. 나는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사무치는 고마움으로 이 아름다움의 뜻을 몇 번이고 자문자답했다."2010년 어느 가을날이었지요. 단풍 곱게 물든 계절 탓도 있었는지 그날따라 부석사는 초입부터 사람들로 북적거렸습니다. 위 글쓴이처럼.. 더보기
광목(廣木) 광목(廣木)  URL 복사현재 페이지 출력하기집필자박윤미(朴允美)연관 표제어 볼끼뺨과 턱을 싸서 정수리에 묶는 간단한 추위막이.주중간 정도 품질의 견사絹絲를 사용하여 평직으로 직조한 견직물의 일종.말액맨머리나 복두에 둘러쓰는 건巾 형태의 포백제布帛製 쓰개.사군자무늬매화·난초·국화·대나무의 의미를 군자의 인품에 비유하여 도안화한 무늬.한복전통과 문화가 담긴 우리 옷의 총칭.연지적색계 염료의 일종, 또는 그 색명, 화장할 때 볼에 바르는 붉은 빛깔의 안료.감발먼 길을 떠나거나 추위로부터 발을 보호하고자 발에 감는 천.과대포대布帶나 혁대革帶에 과銙, 교구鉸具, 대선금구帶先金具들을 못으로 고정하고, 아래에 요패류佩飾類를 수하垂下시킨 띠.족두리조선시대 예복에 착용한 여성의 관모冠帽.궁녀복내명부라는 위계질서 속에서.. 더보기
最古 한글 금속활자…600년간 묻혀있던 '세종의 꿈' 깨어났다 最古 한글 금속활자…600년간 묻혀있던 '세종의 꿈' 깨어났다성수영 기자기자 구독입력2021.06.29 18:23 수정2022.10.10 16:26 지면A29글자크기 조절 국보·보물급 1600여점 서울 인사동서 발굴훈민정음 창제당시 사용 '동국정운式 활자' 실물 첫 확인천문시계·총통까지…학계 놀라게한 땅 속 '과학박물관'문화재청 관계자가 29일 열린 언론공개회에서 1455~1461년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글 금속활자를 들어보이고 있다. 김범준 기자ㅸ(순경음 비읍), ㆆ(여린히읗), ㅭ(리을여린히읗)…. 훈민정음 창제 당시 표기법으로 만들어진 한글 금속활자 600여 점을 비롯한 금속 유물들이 서울 도심에서 무더기로 출토됐다. 세종이 직접 제작을 지시한 ‘갑인자’로 추정되는 금속활자, 자동 물시계 부품.. 더보기
부산지역의 효열비 부산지역에 남아 있는 효자, 열녀비는 몇 기가 남아 있을까?향토문화대전에 기록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향토문화전자대전효열비[ 孝烈碑 ]분야유형지역시대출처종교/유교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부산광역시조선/조선디지털부산문화대전-효열비목차정의개설내용정의조선 시대 부산 지역에서 효행과 열행을 기리어 세운 비.개설효열비는 부산 지역에 살았던 효자(孝子)·열녀(烈女)·열부(烈婦) 등을 표창하기 위하여 글을 새기어 세워 놓은 비석이다. 이를 ‘정려비’라고도 한다. 효자는 부모를 극진하게 섬기는 아들을 말한다. 효는 부모가 살아 계실 때 정성을 다하고, 돌아가신 뒤에도 공경하는 마음으로 제사를 태만히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효는 유교의 핵심적 도덕규범인데, 효에 대한 본질적인 개념은 공자(孔子)에서 형성되었다.이러.. 더보기
항공사진으로 보는 부산 [부산광역시 시리즈 - (12) 부산 주요 장소들의 변천사2] 항공사진으로 보는 부산 [부산광역시 시리즈 - (12) 부산 주요 장소들의 변천사2]비갈맥끼룩조회 수 45180 추천 수 107 댓글 127 https://www.fmkorea.com/3593833108 복사 -전편 : https://www.fmkorea.com/3588596937*약간의 각색과 시점 차이가 존재합니다*  항공사진으로 보는 부산 [부산광역시 시리즈 - (11) 부산 주요 장소들의 변천사 2]  부산 풀코스의 진실을 알아가는 시간.부산의 모든 것을 알아가는 시간. 이번 편에서는 부산 주요 장소들이 어떻게 바뀌었는지항공사진과 옛사진으로 알아보자. ??? : 야, 저번편이랑 같잖아? 저번 편은 버렸냐??장소가 다르다. ??? : 골때리네... 인트로는 첫글인거처럼 코스프레하더니그러니 많이들 읽.. 더보기
3.1독립운동에 관한 사상출신 인물의 기록 3.1독립운동에 관한 사상출신 인물의 기록1919년 3월1일 서울 탑골공원에서 펼쳐졌던 3.1독립운동에 관련 인물들 중 사상출신 인물 명단과 신문조서와 공판시말서를 소개한다. 1조선독립선언서 및 청원서에 관계된 출판법 및 보안법 위반사건 관련인 명단(孫秉熙 외 361명) 三一運動 I  三ㆍ一 獨立宣言 關聯者 訊問調書(京城地方法院)(國漢文) 조선독립선언서 및 청원서에 관계된 출판법 및 보안법 위반사건 관련인 명단(孫秉熙 외 361명) 조선독립선언서 및 청원서에 관계된 출판법 및 보안법 위반사건 관련인 명단(孫秉熙 외 361명) 성명 연령 직업 본적...2金炯璣 신문조서 三一運動 III  三ㆍ一 獨立宣言 關聯者 訊問調書(檢事調書)(國漢文) 金炯璣 신문조서 피고인 金炯璣 위 피고인에 대한 보안법 위반 사건에 .. 더보기
냉정고개 이용객 목마름 풀어주던 <냉정샘> 냉정고개 이용객 목마름 풀어주던 내용부산 사상구 주례2동에 ‘냉정(冷井)’이란 지명이 있습니다. 냉정은 냉정우물, 냉정샘터등으로 불리는데 부산 사상구의 역사적인 명소 가운데 하나입니다.  부산 사상구 주례2동에 자리한 냉정샘. 냉정에 관한 역사와 유래를 자세히 알려주는 문헌상의 기록이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통상 소문을 통해서 전해오는 냉정에 관한 내용을 보면 냉정은 가야에서 주례로 넘어오는 엄광산 산등성이의 고개 아래 자리 잡고 있는 자연샘입니다. 이 때문에 샘물 뒤쪽에 자리한 가야와 주례 사이의 교통로에 해당하는 고개를 냉정치, 즉 냉정고개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앞쪽의 마을은 냉정동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깨끗아 단장한 냉정샘터. 이 냉정샘물은 예로부터 냉정고개를 오가는 행인들의 목마름을 풀어.. 더보기
부산 사상구의 교통 분류:부산 사상구의 교통언어 추가분류토론읽기편집역사 보기 도움말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위 분류이 분류에는 하위 분류 1개만이 속해 있습니다.ㅈ 부산 사상구의 전철역 (8 P)"부산 사상구의 교통" 분류에 속하는 문서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문서 37개 가운데 37개입니다.ㄱ가야대로강변대로관문대로광장로 (부산)구덕터널국도 제14호선ㄴ낙동대로 (부산)남해고속도로제2지선녹산버스ㄷ대도운수동서고가도로동서교통 (부산)동주교통ㅂ백양대로백양터널보수대로부경버스부산광역시도 제12호선부산광역시도 제14호선부산광역시도 제34호선부산광역시도 제41호선부산광역시도 제51호선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ㅅ사상 나들목사상로사상역 (한국철도공사)삼락 나들목성우교통 (부산)성원여객 (부산)신라버스ㅈ중앙고속도로ㅊ..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