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알아야 할 지명/소요리
물길 갈라지는 요지에 있던 섬마을
낙동강 제방 쌓으면서 둔치지역으로 바뀌어
소요리(所要里)라는 마을이름은 소요저도(所要渚島)에서 비롯되었다. 소요저도는 조선시대 낙동강 삼차수(三叉水)의 한 줄기인 유두강이 구포 쪽에서 소요저도의 동쪽, 즉 사상 쪽으로 흘렀다는 기록에서 물길이 갈라지는[渚] 중요한 요지라는 의미로 쓰인 지명으로 보고 있다.
소요리는 하중도(河中島)인 소요저도에 있던 섬마을이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양산군편에 “소요저도는 대저도(大渚島)의 동쪽에 있으며, 밭 수백여 두락이 있는데 땅이 몹시 기름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조선 전기부터 형성된 마을로 보인다.
소요리는 조선시대 구포권에 소속되었는데 <양산군읍지(梁山郡邑誌>(1786)에는 양산군 좌이면 소요리로,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1832)에는 좌이전방(左耳田坊) 소요리로 나타난다. 그리고 1869년 동래부 구포면 소요리가 되었다가 1875년 양산쪽으로 되돌아 온 역사를 안고 있다. 옛 동래 지역의 고지도에도 유포리와 함께 소요리가 나타난다.
또 1910년 양산군 좌이면에서 부산부로 편입되며 소요리를 삼락리로 개칭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동래군 사상면 삼락동이 되었다. 1930년대 낙동강 제방을 쌓으면서 소요리 마을이 속한 섬의 3/4 이상이 강 쪽으로 유입되어 둔치 지역으로 남게 되었다.
소요리 마을이 있던 소요저도는 소요도, 솔섬, 소래섬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소요저도에 대한 또 다른 기록을 보면, 삼차수 물길을 사이에 두고 사상의 덕포리 주민들이 배를 타고 건너 와 농사를 지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1910년경 일제가 조사한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 소요리에 있던 옛 지명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곳에 있던 나루터는 소요진(所要津), 강변에 주민들이 쌓았던 제방은 소요제(所要提), 제일 큰 들판은 대평(大坪), 작은 들판은 소평(小坪), 절골 운수천 쪽과 마주 보는 곳은 사곡평(寺谷坪), 모라리에 있던 사천원(沙川院), 역원의 둔전답은 사천평으로 기록되어 있다.
백이성 / 낙동문화원 원장
김녕김씨 문중에서 개간했던 섬마을제방공사로 잘려 둔치로 편입…현재 삼락생태공원 자리낙동강 하구 지역의 섬마을이었던 유도리(柳島里)는 조선시대 양산군 좌이면(구포면)에 속했을 때의 공식 지명이다. 낙동강 하구에 수많은 모래톱이 형성되면서 하중도(河中島)가 생겨났다. 그 중 제일 먼저 형성된 대저도를 중심으로 강물이 갈라지면서 다시 하중도를 만들고, 홍수 등으로 인해 수로와 모래톱이 이리저리 바뀌면서 삼차수(三叉水) 세 물길로 크게 갈라지게 되었다...
'낙동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물고기 영상보고 한국 漁 1부 - 江 그리고 漁 (0) | 2014.11.26 |
---|---|
에코델타시티에 부산 미래 (0) | 2014.11.19 |
낙동강 삼각주 이야기- 서낙동강 나루의 추억 (0) | 2014.11.11 |
낙동강과 속삭이며 떠나는 뱃길 여행 (0) | 2014.10.23 |
인문학과 함께 낙동강 물길 걷다 (0) | 2014.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