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 이야기

신라문화특강 목록

신라문화특강 목록

 

 

신라문화권의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유적을 조사·연구하여 문화재 보호와 그 활용을 통하여 민족문화유산에 대한 새로운 가치창조를 그 목적으로 하는 성림문화재연구원에서 개최한 신라문화특강편의 제목을 소개한다.

    • 제20회 월성과 왕경의 배치 구도(박광열)
    • ◇ 주제 : 월성과 왕경의 배치 구도 ◇ 강사 : 박광열(성림문화재연구원) ◇ 일시 : 2014년 4월 24일(목)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신라는 기원전 57년에 건국하여 935년에 멸망할 때까지 천 여 년을 이어온 세계에서 거의 유례가 없는 왕조국가이다. 경주분지를 중심으로 사료육촌을 통합하여 소국을 형성한 사로소국은 박혁거세왕 26년(기원전 32)에 축조한 금성을 중심으로…
  • 20
    • 제19회 중국의 궁성 변화와 월성(박순발)
    • ◇ 주제 : 중국의 궁성 변화와 월성 ◇ 강사 : 박순발(충남대학교 고고학과) ◇ 일시 : 2014년 2월 27일(목)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도성이란 국가 단계에 도달한 정치체의 중심취락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아시아 도성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면 국가 성립기와 거의 병행하여 중심취락은 성벽 형태의 원장(垣墻)을 구비하기 시작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원장…
  • 19
  • 18
    • 제18회 신라 능원의 의의(김용성)
    • ◇ 주제 : 신라 능원의 의의 ◇ 강사 : 김용성(한빛문화재연구원)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신라의 능원은 배례공간이 성립되지 않은 마립간릉형, 복수 왕릉에 대한 배례공간이 성립된 법흥왕릉형, 단독능원으로 배례공간이 있는 선덕여왕릉형, 능전에 상석이 배치되는 무열왕릉형과 전민애왕릉형, 상석 외에 석사자, 관검석인, 호인상 등의 석상과 화표석이 …
  • 17
    • 제17회 신라 왕경의 복원(이은석)
    • ◇ 주제 : 신라 왕경의 복원 ◇ 강사 : 이은석(문화재청 발굴제도과)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경주 신라 왕경의 복원은 여러 연구자가 각각의 생각을 가지고 진행하기 때문에 모두 통일되게 진행되지 않는다. 1,000년의 역사가 한 자리에서 운영된 경주는 시대상의 중복과 유적상의 중복, 그리고 문헌기록의 부재로 연구가 힘들 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 16
    • 제16회 신라 적석목곽분 구조의 재검토(김두철)
    • ◇ 주제 : 신라 적석목곽분 구조의 재검토 ◇ 강사 : 김두철(부산대학교 고고학과)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삼국시대 경주의 대표 묘제인 적석목곽묘는 그 기원을 둘러싸고 자생설과 외래 기원설이 있다. 최근에는 자생설을 주장하는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소위‘사방식 적석목곽묘’라는 새로운 개념이 적용되고, 경주식…
  • 15
    • 제15회 신라토기 생산기술(이상준)
    • ◇ 주제 : 신라토기 생산기술 ◇ 강사 : 이상준(국립문화재연구소)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신라토기의 생산에 있어 기술적 혁신을 이룬 가장 중요한 변수는 토기의 수요이다. 이전 시기에 장제에 비해 다량의 토기부장을 특징으로 하는 고총고분의 등장은 토기생산기술의 급격한 변화를 가져 왔다. 전업화에 따른 시스템의 변화는 요장을 집단화하였고, 고속회전을 이룩하기 위한 회전축의 발달은 태…
  • 14
    • 제14회 신라토기의 발생과 전개(박광열)
    • ◇ 주제 : 신라토기의 발생과 전개 ◇ 강사 : 박광열(성림문화재연구원)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신라토기의 시공적 범위는 신라가 건국되어 멸망할 때까지 영역에서 생산된 토기를 말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의를 할 경우 신라라는 국가가 천여 년이 지속되면서 강역의 변화가 심하고 또한 B.C 1세기부터 A.D 3세기말까지는 『삼국지』「위서」동이전에 진변한이라는 소국으로 기록되어 있어 …
  • 13
    • 제13회 통일신라토기의 제문제(홍보식)
    • ◇ 주제 : 통일신라토기의 諸問題-樣式․문양․編年과 隋唐 도자기 및 金屬用器와의 關係- ◇ 강사 : 홍보식(부산박물관)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통일신라토기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의 토기문화를 말하며, 우리나라 토기문화의 최 정점이자 토기에서 자기와 도기문화로 넘어가는 토기문화의 쇠퇴기이기도 하다. 10세기 초 후삼국이 정립되었지만, 토기는 통일신라토기가…
  • 12
    • 제12회 경주에서 횡혈식 석실분의 등장에 대하여(강현숙)
    • ◇ 주제 : 경주에서 횡혈식 석실분의 등장에 대하여 ◇ 강사 : 강현숙(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6세기 전기 후반이 되면 경주에서는 횡혈식 석실이 적석목곽분을 대체하게 되며, 그 과정은 점진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횡혈식 장법이라는 관념의 유입이 횡혈식 석실을 축조하게 된 것이 아니라 석실봉토분이라는 완성된 건축물과 함께 횡…
  • 11
    • 제11회 신라 적석목곽분에서 출토된 관 연구의 현황과 과제(박보현)
    • ◇ 주제 : 신라 적석목곽분에서 출토된 관 연구의 현황과 과제 ◇ 강사 : 박보현(대전보건대학교 문화재과)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이상에서 수지형입화식관은 5세기후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중앙과 지방을 연결하는 하나의 고리를 만들어가고 있어서 관등조직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곧 경위와 외위로 이루어진 17관등조직에서 지방을 하나의…
  • 10
    • 제10회 신라사 연구에 있어서 ‘기마민족 이론’의 재고(강봉원)
    • ◇ 주제 : 신라사 연구에 있어서 ‘기마민족 이론’의 재고: 등자, 재갈 및 장신구를 중심으로 ◇ 강사 : 강봉원(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1948년 일인 선사학자 에가미 나미오(江上波夫 1967)가 기마민족 이론을 수립한지 60년이라는 세월이 지났다. 그 사이 일본은 두 말할 것도 없고 한국에서도 한국학 분야에서 많은 발전이 있어왔다. 기마민족 이…
  • 9
    • 제9회 신라의 목곽묘(이재현)
    • ◇ 주제 : 신라의 목곽묘 ◇ 강사 : 이재현(신라문화유산연구원)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영남지역 또는 신라 목곽묘에 대한 연구는 개별 유구나 유적을 대상으로 한 구조의 복원이나 변화과정, 그리고 원류나 낙랑 목곽묘와의 비교, 출현배경, 지역적 특성 등에 대해서는 일정한 성과가 있다. 그러나 목관의 존재여부나 등장 배경 또는 낙랑과의 관…
  • 8
    • 제8회 신라의 능묘제도(박광열)
    • ◇ 주제 : 신라의 능묘제도 ◇ 강사 : 박 광 열(성림문화재연구원 원장)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신라의 능묘제도는 학문적으로 굉장히 흥미가 있는 분야이기는 하지만, 사료의 한계와 고고학적 실증자료의 미비 및 발표자의 능력 부족으로 선학들의 연구 성과를 넘어서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현재 상고기의 능묘는 다수의 발굴조사와 신라고고학 전공자들의 왕성한 연구활동으로 그리 …
  • 7
    • 제7회 신라 후기양식토기의 편년(최병현)
    • ◇ 주제 : 신라 후기양식토기의 편년 ◇ 강사 : 최병현(숭실대학교 사학과)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 6세기 전반기 중에 신라토기는 전기양식에서 후기양식으로 전환 - 굽이 낮은 중국 도자기나 금속 불기의 영향으로 신라토기의 대족이 단각화하고 단각고배도 출현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본고의 1․2기와 3․4기를 분리하여 각각 중기양식과 후기…
  • 6
    • 제6회 사로고고학 연구 방법론(이희준)
    • ◇ 주제 : 사로고고학 연구 방법론 ◇ 강사 : 이희준(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머리말 : 고고학에서는 신라라 하면 흔히 삼국시대에 해당하는 시기의 신라를 가리킨다. 그래서 신라고고학이라 하면 자연히 그 시기만을 대상으로 하는 듯이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신라사는 대략 서기전 1세기의 사로국 단계부터 통일신라 말까지를 포괄하므로 신라고고학은…
  • 5
    • 제5회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의 이해(김용성)
    • ◇ 주제 :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의 이해 ◇ 강사 : 김용성(중원문화재연구원)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분묘를 분과 묘로 구성된 것으로 파악하고 이를 나누어 고려하면 적석목곽묘는 크게 네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즉 묘는 모두 적석목곽묘이나 분은 봉토분과 적석봉토분으로 나누어지고, 봉토분의 경우 지하식과 지상식으로 구분되나 대부분 지하식 적석목곽묘이고,…
  • 4
    • 제4회 신라적석목과묘 출토 외래계 유물(이한상)
    • ◇ 주제 : 신라적석목과묘 출토 외래계 유물 ◇ 강사 : 이한상(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과)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이상에서 간략히 설명한 것처럼 신라고분 속에서는 고구려, 백제, 가야, 왜의 물품뿐만 아니라 중국 남조와 멀리 서역으로부터 전해진 물품이 출토되었다. 경주시내에 대규모의 적석목곽분을 축조하던 시기의 신라는 1차적으로 고구려와 …
  • 3
    • 제3회 황남대총을 둘러싼 논쟁, 또 하나의 가능성(함순섭)
    • ◇ 주제 : 황남대총을 둘러싼 논쟁, 또 하나의 가능성 ◇ 강사 : 함순섭(국립대구박물관 관장)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또 하나의 가능성- 이상에서 신라 마립간시기 왕릉의 대략적인 분별 및 추이, 정치적 상황과 대외교섭의 양상에 따른 시기구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황남대총에 대입시켜 새로운 가능성은 없는지를 살펴보는 것으로 맺음말을 대…
  • 2
    • 제2회 신라적석목곽묘 출토 황금유물과 초전불교(박광열)
    • ◇ 주제 : 신라적석목곽묘 출토 황금유물과 초전불교(박광열) ◇ 강사 : 박광열(성림문화재연구원)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신라의 고유한 묘제인 적석목곽분은 그 기원을 보면 청동기시대부터 재지적 묘제로 사용하여 온 위석묘가 원삼국시대에 이르러 한나라의 목곽묘와 결합하여 장방형 위석목곽묘로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이것은 4세기 후반에 지속적으로 …
  •  

    • 제1회 4~5세기 신라토기에 대하여(이성주)
    • ◇ 주제 : 4~5세기 신라토기에 대하여 ◇ 강사 : 이성주(강릉원주대학교 사학과) ◇ 일시 : ◇ 장소 : (재)성림문화재연구원 강당 ◇ 요약 : 1. BC1세기-AD2세기: 1) 신 제도기술의 수용, 2) 부장용토기 기종구성(토기제사법의 시작) 3) 2세기 경 생산의 전문화 2. AD 3-4세기: …

    '사랑방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덕노의 음식이야기]<59>밴댕이회무침  (0) 2014.05.19
    한국 석유산업의 역사   (0) 2014.05.09
    바람님 오는날과 가는날   (0) 2014.04.30
    10 Reasons To Like Italy  (0) 2014.04.24
    노란 손수건  (0) 201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