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곤충과 동물 이야기

습지의 정의와 가치및 기능

 

습지의 정의와 가치및 기능

1. 습지의 정의

습지보전법에 의하면 "습지" 란 담수·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 및 연안습지를 말한다. "내륙습지" 는 육지 또는 섬안에 있는 호 또는 소와 하구등의 지역, "연안습지"는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으로 정의한다.

람사르(Ramsar)협약에서의 습지는 자연적이든/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임시적이든, 물이 정체되어 있든/흐르고 있든, 담수이든/기수이든/염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원, 이탄지 또는 물로 된 지역을 말하며 여기에서 간조시에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을 포함한다. 즉 갯벌, 호수, 하천, 양식장, 해안은 물론 논도 포함된다.

 

 

2. 습지의 가치

 2.1 생태학적 가치
습지가 지닌 주요한 생태적 기능을 살펴보면, 습지는 조류, 어류,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 등의 각종 야생 동물의 서식처를 제공되고, 유수 속의 침전물과 유기물을 제거하며, 지표수와 지하수의 저장 및 충전을 통해 유량을 조절하는 동시에 수변과 연계된 레크리에이션의 이용 가능성등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2.2 수문학적 가치

습지의 토양은 단위 부피당 보유할 수 있는 물의 양이 많고 자연적으로 형성된 배수관개로가 복잡하며 조직적이어서 우기나 가뭄에 훌륭한 자연 댐의 역할을 한다. 우기나 홍수 때의 과다한 수분은 습지토양 속에 저장되었다가 건기에 지속적으로 주위에 공급함으로써 수분을 조절한다. 우기나 홍수 때의 과다한 수분은 습지 토양 속에 저장되었다가 건기에 지속적으로 주위로 공급된다. 이때 토양은 표면 유출수를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토양 침식을 방지하기도 한다.

2.3 경제적 가치
 습지가 제공해 주는 경제적인 가치를 정확히 평가할 수는 없는 단계이지만, 수자원의 확보와 적정 유지에 기여해 주는 수자원 개발 및 관리와 관련된 비용을 절감시켜 주며, 수질을 정화해 환경오염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켜 주고, 어업 및 수산업의 산실로서 전세계 어획고의 2/3을 차지하여 막대한 수입원이 된다.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서 농업, 목재 생산, 이탄과 식물자원 등의 에너지 자원, 야생동물 자원, 교통수단, 휴양 및 생태관광의 기회 제공 등으로 매우 높은 경제적 가치가 있다.

 

2.4 경관적 가치
 습지는 물과 함께 독특한 경관을 만들어내고, 문화적 가치와 함께 생명력이 넘치는 역동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자연교육 및 체험장소로 활용되어진다

 

 

 

3. 습지의 기능

3.1 다양한 서식 환경을 제공

습지는 다양한 생물들이 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습지의 얕은 물과 수초지대는 물고기들이 알을 낳고 어린 물고기들이 살기에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새들에게도 쉬거나 먹이를 구할 수 있는 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육상동물들에게도 물의 공급과 쉴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된다. 그래서 여러 종류의 생물들이 습지에 모여서 생물다양성이 높다.

3.2 습지내 먹이사슬

습지내의 풍부한 플랑크톤이나 유기성 분해물질은 수서 곤충이나 어패류에게 먹이를 제공하고 수서 곤충이나 어패류는 온갖 물새나 양서류, 소형 포유동물의 먹이가 된다. 이들은 뱀, 악어 등의 파충류나 물소, 사슴, 야생말 등의 동물들을 불러들여 거대한 생태적 단계를 이룬다. 습지는 지구상의 그 어느 지역보다 생물학적 생산성이 높은 곳이며 \'지구 생명의 신비와 질서를 잘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3.3 생산력의 보고
지구상에 있는 습지 생태계의 생산력은 평균 3000g/㎡ ·yr 이상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열대우림 생태계와 비슷하다. 해양 생태계 중에서 1차 생산력의 연평균 생산율을 보면 하구역1)이나 해조숲-산호초2)생태계의 생산력이 대륙붕3)이나 용승4)해역보다 4배 정도 높고, 외해역5)보다는 거의 10배 이상 차이가 나서, 습지 생태계는 대륙붕보다 약 10배, 외해역보다는 거의 30배 이상 높은 생산력을 보인다.(홍재상, 1999)

 3.4 수문학 및 수리학적 기능
습지의 토양은 단위 부피당 보유할 수 있는 물의 양이 많고 자연적으로 형성된 배수관개로가 복잡하며 조직적이어서 우기나 가뭄에 훌륭한 자연 댐의 역할을 한다. 우기나 홍수 때의 과다한 수분은 습지토양 속에 저장되었다가 건기에 지속적으로 주위에 공급함으로써 수분을 조절한다. 이때 토양은 표면유출수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토양 침식을 방지하기도 한다. 낙동강변의 수많은 하천변 습지는 홍수시 스폰지와 같이 많은 물을 머금어 천천히 하류로 방출함으로써 수문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3.5 기후 조절 기능
지표면의 약 6%를 차지하는 습지는 거시적인 기후 조절 측면에서는 대기 중으로의 탄소 유입을 차단하여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양을 적절히 조절해주며, 미시적 측면에서는 한 지역의 대기온도 및 습도 등을 조절하는 국지적 기후조절기능을 가진다.

3.6 수질오염물질 제거
 습지에 서식하는 동식물, 미생물과 습지를 구성하는 토양 등은 주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각종 오염된 물을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고 깨끗한 물을 흘려보낸다. 습지의 이러한 자정능력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에게 매우 중요한 역할이다. 이러한 습지의 수질정화 원리를 이용하여 인공습지를 조성하여 수질을 정화하려는 노력이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효과가 매우 크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부들, 갈대 등이 수질정화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습지의 지정현황


 

 
 


'곤충과 동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새 모음  (0) 2013.10.10
람사협약  (0) 2013.10.10
새의 각 부분 명칭과 ㅅㅅㅐ의 관찰 수칙  (0) 2013.10.10
한국의 메뚜기  (0) 2013.09.21
수서곤충이란?   (0) 2013.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