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곤충과 동물 이야기

조류의 먹이

고니류
고니(Whooper Swan, Cygnus cygnus)
번식지에서는 조류(藻類, algae)를 포함한 수생식물의 잎, 줄기, 뿌리,. 가래속의 수초(pondweed) 같은 수생식물과 표면에 잎이 많은 거머리말류(Zostera), 줄말류(Ruppia) 등을 채식하며, 겨울철에는 방목지의 밀, 낟알, 순무(turnips), 감자 등을 먹는다.
큰고니(Whistling Swan, Cygnus columbianus)
주로 야생셀러리(Vallisneria), 줄말류(나사줄말 ; wigeon grass), 큰고랭이, 애기부들(bulrushes), 가래속의 수초 같은 수생식물 등이며, 기수역의 새는 연체동물(Mollusks) 중 특히 대합조개(clams), 농경지에서는 낟알과 버려진 감자 등을 먹는다.
기러기류
큰기러기(Bean Goose, Anser fabalis)
주로 채식주의(초식동물), 풀, 사초속의 각종 식물(sedge), 이끼 같은 지의(mosses), 초본(herbs), 몇몇의 관목류 등을 먹고, 겨울철에는 떨어진 낟알, 버려진 감자, 옥수수, 콩 등 여러 가지의 농작물을 먹는다.
쇠기러기(White-fronted Goose, Anser albifrons)
연중 채식주의(초식동물 ; vegetarian=herbivore)로 여름에는 초식동물 중 속새(horsetail), 사초과인 황새풀류(cotton grass, Eriophorum), 가을과 겨울철에는 풀과 사초속의 각종 식물(sedge), 밀이나 쌀 등의 농작물, 드물게는 야생종인 큰고랭이(Bulrushes), 부들(cattail)의 뿌리줄기(근경) 등을 먹는다.
오리류
혹부리오리(Common Shelduck, Tadorna tadorna)
작은 연체동물(mollusk), 특히 하구에 서식하는 달팽이(Hydrobia, estuarine snail)를 좋아하며 작은 물고기, 고기의 알(fish spawn), 곤충 또는 곤충의 유충(insect larvae), 매우 작은 조류(algae) 등을 먹는다.
청둥오리(Mallard, Anas platyrhynchos)
주로 벌레류를 먹는 동물(식충동물 ; insectivorous), 채소류, 연체동물, 단각류(Amphipod) 등을 먹는다.
홍머리오리(Eurasian Wigeon, Anas penelope)
채식동물로서 풀, 거머리말류(eelgrass ; Zostera), 조류(algae ; Chara and Enteromorpha), 가래속의 수초(pondweed), 줄말류(나사줄말, wigeon grass) 등을 먹는다.
알락오리(Gadwall, Anas strepera)
여러 수생식물의 씨앗이나 식물의 부위, 특히 수중에 있는 종을 좋아한다. 겨울에도 본질적으로 채식주의자로 wigeon grass, 사향냄새가 나는 여러가지 식물(muskgrass), (거머리말류;eelgrass Zostera), 가래속의 수초(pondweeds) 등을 먹는다.
고방오리(Pintail, Anas acuta)
여름과 가을은 가래속의 수초(pondweeds)와 wigeon grass 등의 씨앗이나 식물의 부위, 큰고랭이나 애기부들(bulrushes) 그리고 버들여뀌류(smartweed ; Polygonum)의 씨앗 등 근원적으로 탁월하게 식물성을 섭취한다. 산란 전이나 산란기간에 있는 암컷은 냇가나 습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무척추동물을 많이 섭취한다. 겨울철에는 드문드문 흩어져 있는 저수지 부근의 농경지의 옥수수, 낟알 등을 먹는다.
잠수성오리류
흰죽지(Eurasian Pochard, Aythya ferina)
가래속의 수초(pondweeds)나 사향냄새가 나는 여러가지 식물(muskgrass)의 잎이나 줄기를 주로 채식하며, 또한 이 종들의 씨앗이나 다른 수생식물 혹은 해안선이나 물가에 있는 종(shoreline Species)도 채식하고 여름에는 꽤 많은 양의 곤충을 섭취하는데 새끼오리나 어미도 날도래 유충(caddis fly larvae), 모기, 각다귀 등의 작은 유충이 중요한 먹이가 된다. 겨울에는 동물질로서 시조개(cockle ; Cardium)와 다른 연체동물(mollusks) 등을 채식한다.
댕기흰죽지(Tufted Duck, Aythya fuligula)
번식지에서는 많은 양의 무척추동물이 필요하며, 연체동물(mollusks), 갑각류동물 (crustaceans), 곤충의 애벌레 등을 먹는다.
검은머리흰죽지(Greater Scaup, Aythya marila)
단각류의 동물(amphipod)과 수생 곤충의 유생과 같은 무척추동물을 먹고, 가을과 겨울에는 쌍각류의 조개(bivalve)나 쌍각류가 아닌 다른 연체동물인 담치(Mytilus), Mulinia, 총알고둥(Littorina) 그리고 갑각류동물(crustaceans) 등을 먹는다.
검둥오리(Black Scoter, Melanitta nigra)
번식지에서는 갑각류동물(crustaceans), 연체동물(mollusks), 날도래(caddis fly), 모기, 각다귀 등 작은 곤충, 가래속의 수초(pondweed)를 포함한 식용의 수생식물을 채식하며, 가을과 겨울에는 경단고둥 종류(periwinkle)와 같은 다른 연체동물, 조개삿갓이나 굴(barnacles)과 새우류(shrimp) 같은 갑각류 동물, 성게, 불가사리 같은 극피동물(echinoderm)과 물고기(fish) 등을 먹는다.
흰뺨오리(Common Goldeneye, Bucephala clangula)
새끼일 때에는 무척추동물인 잠자리(dragonflies), 실잠자리(damselflies), 하루살이의 일종(Mayflies)인 유생과 수생곤충의 성충을 채식하며, 동물질로서 갑각류동물(crustaceans), 연체동물(mollusks), 물고기, 개구리, 올챙이(tadpoles), 벌레 등을 먹는다.
흰비오리(Smew, Mergus albellus)
비오리류는 대체로 작은 물고기를 먹으며, 갑각류동물(crustaceans), 연체동물(mollusks)로 수생동물 즉 딱정벌레(beetle), 잠자리(dragonflies), 날도래(caddis fly)의 유충, 고기류에는 잉어과 물고기(Rutilus, roach), 황어(minow), 잉어(Cyprinus, carp), 송어 및 연어 등을 먹는다.
바다비오리(Red-breasted Merganser, Mergus serrator)

어미는 대개 물고기를 먹고, 새끼는 물 속에서 생활하는 딱정벌레, 하루살이류의 유생과 작은 물고기와 새우류를 먹는다. 가을과 겨울에는 물고기 이외에 새우류, 가재 또는 대하(crayfish), 다른 연체동물 등을 먹는다.

 

 

'곤충과 동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2  (0) 2013.01.23
멸종위기 야생동식물-1  (0) 2013.01.23
생태계교란 동,식물  (0) 2013.01.23
수달  (0) 2013.01.23
누에와 누에고치  (0) 201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