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문화 이야기

한국의 괘불

한국의 괘불

개요

 

인문학적 조사

우리 나라의 역사상(歷史上) 불교문화(佛敎文化)는 우리 민족(民族) 문화(文化)를 꽃피우고 발전(發展)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하여 오늘날 이와 관련된 많은 문화재(文化財)를 남기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는 불교(佛敎) 의식(儀式)의 내용(內容)과 교리(敎理) 등을 연구(硏究)하는데 가장 중요하고 일반적(一般的)으로는 그 연구(硏究)와 보존(保存)에 소외되기 쉬운 유산(遺産)이 사찰(寺刹)에 소장(所藏)되어 있는 불화(佛畵)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괘불(掛佛)는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 영산제(靈山齊), 예수제(預修齊), 수륙제(水陸齊) 등의 많은 대중(大衆)이 모여 법당(法堂)에서 법회(法會)를 가질 수 없는 특수한 경우에 야외(野外) 법회(法會)에 모셔 성대하게 불교(佛敎) 의식(儀式)을 거행(擧行)하게 한 것입니다. 이러한 법회(法會)와 관련해서 현괘(懸掛)하여 괘불(掛佛) 자체(自體)가 신앙(信仰)의 대상(對象)으로서 더욱 숭상(崇尙)되어 오기도 한 것입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에서 전국의 사찰 소장 괘불에 대한 조사기간은 1976년~2001년 까지 이며, 전국의 사찰 소장 괘불 483건의 조사자료는 사찰소장불화조사(Ⅰ,Ⅱ), 괘불조사보고서 (Ⅰ,Ⅱ,Ⅲ)을 발간하여 수록하였다.



과학적 분석조사

괘불화면(掛佛畵面)에 사용하는 재질(材質)은 주로 비단이나 삼베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여기에 괘불(掛佛)을 괘불대(掛佛臺)나 당간지주(幢竿支柱)에 걸었을 때 괘불자체(掛佛自體)의 하중(荷重)을 지탱하기 위해 한지(韓紙)를 수회 배접을 하거나 인피섬유를 넣어 보강(補强)하기도 한다.

이러한 괘불(掛佛)의 상태조사(狀態調査) 및 표구기법(表\具技法)에 관한 조사(調査)는 현존(現存)하는 괘불(掛佛)의 상태(狀態) 뿐만 아니라 점차 소멸(消滅)되고 있는 괘불(掛佛)에 대한 수리 보수시(修理補修時) 기초자료(基礎資料)로서도 사용(使用)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使料)된다.

※ 2015년 정보화추진사업으로 DB구축 사업으로 보고서 자료를 기반으로 DB화하여 서비스하게 되었으며, 일반인 또는 불화를 연구하시는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괘불의 조사 작업광경(2001년)

운흥사 괘불 비계목 설치 공사

운흥사 괘불 비계목 및 사진촬영대 설치

운흥사 괘불 이운

운흥사 괘불 현괘

운흥사 괘불 현괘된 장면

운흥사 괘불 화기 조사

운흥사 괘불궤함

운흥사 괘불궤함 장식

 

  • 정보제공부서 : 미술문화재연구실
  • 담당자 : 박지영
  • 문의 : 042-860-9194

괘불 목록

  연번                             문화재명               지정사항시도       사찰명

950 흥국사 제석탱(興國寺 帝釋幀) 전라남도 흥국사
949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 시도유형문화재 제 299 호 전라남도 흥국사
948 천은사 극락보전 삼장탱(泉隱寺 極樂寶殿 三藏幀) 비지정 유물 전라남도 천은사
947 흥국사 팔상전 석가모니후불탱(興國寺 八相殿 釋迦牟尼後佛幀) 비지정 유물 전라남도 흥국사
946 흥국사 천룡탱(興國寺 天龍幀) 비지정 유물 전라남도 흥국사
945 흥국사 보광전 아미타후불탱(興國寺 普光殿 阿彌陀後佛幀) 비지정 유물 전라남도 흥국사
944 흥국사 원통전 신중탱(興國寺 圓通殿 神衆幀) 비지정 유물 전라남도 흥국사
943 흥국사 삼세불홍탱(興國寺 三世佛紅幀) 비지정 유물 전라남도 흥국사
942 흥국사 오십전 산신탱(興國寺 五十殿 山神幀) 비지정 유물 전라남도 흥국사
941 흥국사 대웅전 삼장탱(興國寺 大雄殿三藏幀) 비지정 유물 전라남도 흥국사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출처ㅣ 국립문화재연구소

portal.nrich.go.kr/kor/page.do?menuIdx=709

 

개요 -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portal.nrich.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