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이슈팀 홍연 기자 ]
한국천문연구원은 오는 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최대로 떨어질 것이라고 4일 예보했다. 유성우는 다수의 유성이 비처럼 떨어지는 것으로 '별똥별 비'라고도 불린다.
보통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12월4일부터 17일 사이에 발생하지만, 올해는 14일이 극대일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적인 조건에서는 시간당 120개 정도의 유성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성우는 주변이 넓고 인공 불빛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관측하기 가장 좋으며,주변이 어두울수록 더 많은 유성우를 볼 수 있다. 천문연 관계자는 "유성우는 넓은 시야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맨눈으로 보는 것이 가장 좋은 관측 방법"이라고 말했다.
쌍둥이자리를 중심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쌍둥이자리 유성우라고 이름 붙여진 이번 유성우는 소행성 3200페톤 (3200Phaethon) 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부서지고 그 잔해가 남은 지역을 지구가 통과하면서 나타난다.
쌍둥이자리는 대표적인 겨울철 별자리 중의 하나로 오리온자리 북동쪽에 위치한다. 해가 지면서 남동쪽으로 밝은 목성이 눈에 띄며 목성을 기준으로 약간 아래쪽으로 오리온자리를 찾을 수 있다. 쌍둥이자리는 목성보다 왼쪽 아래의 두 개의 밝은 별을 중심으로 위치한다.
![]() |
ⓒ천문연 제공 |
한국천문연구원은 오는 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최대로 떨어질 것이라고 4일 예보했다. 유성우는 다수의 유성이 비처럼 떨어지는 것으로 '별똥별 비'라고도 불린다.
보통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12월4일부터 17일 사이에 발생하지만, 올해는 14일이 극대일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적인 조건에서는 시간당 120개 정도의 유성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성우는 주변이 넓고 인공 불빛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관측하기 가장 좋으며,주변이 어두울수록 더 많은 유성우를 볼 수 있다. 천문연 관계자는 "유성우는 넓은 시야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맨눈으로 보는 것이 가장 좋은 관측 방법"이라고 말했다.
쌍둥이자리를 중심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쌍둥이자리 유성우라고 이름 붙여진 이번 유성우는 소행성 3200페톤 (3200Phaethon) 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부서지고 그 잔해가 남은 지역을 지구가 통과하면서 나타난다.
쌍둥이자리는 대표적인 겨울철 별자리 중의 하나로 오리온자리 북동쪽에 위치한다. 해가 지면서 남동쪽으로 밝은 목성이 눈에 띄며 목성을 기준으로 약간 아래쪽으로 오리온자리를 찾을 수 있다. 쌍둥이자리는 목성보다 왼쪽 아래의 두 개의 밝은 별을 중심으로 위치한다.
천문연제공
'사랑방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려인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과정 및 정착과정.2 (0) | 2014.12.18 |
---|---|
후쿠시마 사고 조사위원장들, 日원전에 우려 표명 (0) | 2014.12.17 |
화봉문고 창립 50주년 기념전시 오프닝 (0) | 2014.12.12 |
[스크랩] USB나 외장하드 폴더바로가기 바이러스 치료 방법 (0) | 2014.11.24 |
1948년 국내 주요뉴스 (0) | 201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