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이야기

[스크랩] 월별,계절별 효소 재료|****♣약초효소/만들기♣

월별,계절별 효소 재료
 

 

1월달 푹쉬고

 

2월 : 돌미나리

 

3월 : 찔래순  고소나물  돌나물  쑥부쟁이

 

4월 : 동백꽃  진달래꽃  으름꽃  질경이  참쥐  벚꽃  다래순  인동줄기  

        망개순    녹차순  둥굴래순  토끼풀꽃  자운영

 

5월 : 칡넝쿨새순  물앵두  금은화꽃  구지뽕잎  머위  당귀잎  민들레순 

       소루쟁이  쑥  침빗살나무  아카시아꽃  불도화  참나물  부추  달래  

       달맞이꽃   두릎  뽕잎  감잎순  으름꽃  도꼬마리순  달래

 

6월 : 청매  오디  산딸기  시금치  쑥갓  꿀풀  뱀딸기  죽순  큰보리똥  창포 

        참앵두  쇠비름  당귀  감꽃  하늘수박넝쿨  마줄기

 

7월 : 뫼뿌리  인진쑥  달맞이꽃  고삼  꿀풀  박하  방아  솔방울  달맞이꽃  

        돌복숭아  푸픈은행잎  산수국

 

8월 : 오동열매  푸른머루  칡꽃  메조푸른것  애기사과  깻잎대까지  꽃향유

        부추꽃  가지  애호박  금마타리  하늘수박푸른것  차조기  물봉선화 

        오이   수세미  연잎

 

9월 : 개비자열매  오배자  얼음  개다래  다래  천문등  망개  박  담쟁이열매  

        제비꽃전초  망개  더덕순  작은보리똥  도라지  석류  고구마  감자  양파

 

10월 : 고구마줄기  민들레뿌리  구지뽕열매  늙은호박  당귀뿌리  대추  탱자 

         배  석류  국화  기바방때  둥굴래뿌리  작약뿌리  더덕  마가목열매 

         하늘수박노란것

 

11월 : 쑥뿌리  우슬뿌리  칡뿌리  가을무우  배추  생강  오가피열매  야생갓

         케일

 

12월 : 생지황  유자  겨우살이  고욤  돼지감자

 

 

② 계절별 효소재료 

 

1. 대체로 20가지 내에서 재료를 꾸미는것이 좋다

만일 30~40가지로 한다해도 괜찮겠지만 시간만 더디걸리고 힘만 든다.

한방에서도 명의는 장중경의 상한론이나 금궤요락에서의 처방처럼 5~6가지의 약재만 가지고 처방을 꾸며 효과를 보지만 보통 한의사는 15~20가지의 재료로 두루뭉실 약을 꾸민다.

이정도의 숫자가 되면 보통 누구나 먹을수있는 안정된 발효액을 만들수있다.

 

2. 봄이라면

산달래. 삽주싹. 잔대싹. 더덕싹. 참나물. 개미취. 참취. 당귀싹. 얼레지 등을 채취하여 오다가 시장에 들러 생인삼 한뿌리. 감자. 당근이나 겨우을 지낸 사과. 배. 귤도 좋고 재배한 딸기도 좋고 바다냄새 풍기는 햇미역. 다시마가 있으면 더욱 좋다.

여기에 마늘. 생강. 양파도 함께하자.

종류가 많을 때는 한가지만 많이 넣지말고 그저 잔치상 차리는 기분으로 이것저것 넣는다.

사과. 배. 귤은 잘 씻어 껍질채 사용하고 미역. 다시마는 소금기를 빼고 쓴다.

과일과 해조류의 수분을 감안해 흑설탕은 1/3 정도를 넣는다.

장소는 한여름을 지내야 하기 때문에 땅속에 묻는것이 좋고 강한 햇빛은 가릴수 있어야한다.

실내라면 그늘지고 시원한 곳을 택한다.

6~10개월 정도의 기간을 발효시킨다.

 

3. 가을이라면

산에는 바야흐로 머루. 다래. 어름이 한창이고 시장엔 사과. 배. 귤. 감. 포도. 복숭아 등을 구할수있다.

항아리에 넣을땐 단맛이 강한것을 먼저 넣는다.

과일을 자르면서 곧바로 흑설탕을 묻힌다.

석양이 들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여름엔 설탕을 약간 많게하고 너무 젓지 말아야 하며 겨울엔 충분히 저어 주어야한다.

 

 

③ 월별 효소 담그기 표

 

효 소  재 료

비고

1

 

 

2

돌미나리, 칡뿌리

 

3

고소나물, 돈나물, 쑥부쟁이, 찔레새순,

 

4

녹차순, 다래순, 동백꽃, 둥굴래순, 벚꽃, 으름꽃, 으름새순, 인동줄기, 진달래꽃, 차전자 전초, 참취, 토끼풀꽃, 자운영

 

5

감잎순, 구지뽕잎, 금은화꽃, 달래, 달맞이순, 당귀잎, 도꼬마리순, 두릎, 망초순, 물앵두, 민들레순, 머위, 부추, 불도화, 뽕잎, 소루쟁이잎, 쑥, 아카시아꽃, 애기똥풀, 으름꽃, 참나물, 참빗살나무, 칡넝쿨 새순,

 

6

감꽃, 강활, 꿀풀, 당귀, 뱀딸기, 산딸기, 솔잎, 송화, 쇠비름, 쑥갓, 시금치, 싸리꽃, 싸리순, 오디, 죽순, 찔레꽃, 참앵두, 창포, 청매실, 큰보리똥, 하늘수박넝쿨마줄기, 황매실

 

7

고삼, 골풀, 달맞이꽃, 돌복숭아, 메뿌리, 박하, 방아, 산수국, 솔방울, 인진쑥, 잣송화, 차조기, 푸른은행잎,

 

8

가지, 고마리풀, 금마타리, 깻잎대까지,꽃향유, 돌사이에 크는 냄새 진한 풀, 두벌포도, 머루, 메조 푸른 것, 무화과, 물봉선화, 부추꽃, 소루쟁이, 수박, 수세미, 애기사과, 애호박, 연잎, 오동열매, 오이, 장미, 왕꼬들빼기, 잣 차조기, 칡꽃, 푸른머루, 하늘수박푸른 것, 후박열매, 힌꼬리풀,

 

9

감자, 개다래, 개비자열매, 고구마, 다래, 담쟁이열매, 더덕순, 도라지, 망개, 박, 석류, 오배자, 야관문, 양파 으름, 작은 보리똥, 제비꽃 전초, 천문동, 청고욤

 

10

고구마 줄기, 구절초, 구지뽕 열매, 국화, 늙은 호박, 기바방때, 당귀뿌리, 대추, 도꼬마리 열매, 둥굴레뿌리, 더덕, 마가목 열매, 모과, 민들레뿌리, 산국, 석류, 아그배, 작약뿌리, 탱자, 하늘수박 노란 것,

 

11

가을무우, 배추 ,생강, 쑥뿌리, 야생갓, 우슬뿌리, 케일

 

12

생지황, 유자, 겨우살이, 고욤, 돼지감자

 

 
출처 : 예도향이 머무는 공간입니다.
글쓴이 : 예서기 원글보기
메모 :

'야생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주름조개풀  (0) 2013.12.06
[스크랩] 울릉미역취  (0) 2013.10.30
갈대의 바이오 매스 사용에 대한 개념  (0) 2013.10.20
산야초 효소용 약초 122가지의 효능  (0) 2013.10.18
동양란의 분류  (0) 2013.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