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개 강의 |
◆가야사 특강 |1994. 5월. 홍대신문 기고문(2회로 나누어 연재) ◆광개토왕릉비문에 나오는 왜 관계 기사의 성격 |1995년 4월. 홍대신문 기고문(교수 논단) ◆한국문화의 특성과 과제 |1996년 8월. 국립중앙박물관 초중등교사 연수 강연 요지 ◆식민사관 비판 -남한경영론과 당파성론을 중심으로 |1997년 10월. 국립중앙박물관 토요 강좌 강연 요지 ◆임나문제에 대한 제 학설과 안라왜신관 |"역사비평" 36호(1997)의 본인 글에서 일부 발췌 수정 ◆J. Diamond 교수의 글에 대한 논평과 고대 한국인의 일본 이주 |"문학사상" 310호(1998년 8월호) 게재 ◆일본 역사교과서에 기록된 고대 한일관계사 서술의 문제점 |2001년 4월 10일자 중앙일보 역사논설 기고문 ◆가야역사문화 |김해시 사이버가야 홈페이지 수록(2001년 8월: 국문, 일문, 영문) |가야사 전개 ◆6가야설의 문제점_일문_영문 ◆김해 가락국의 위상_일문_영문 ◆가야의 발전기반_일문_영문 ◆전기가야 해체와 영향_일문_영문 ◆후기가야사 개관_일문_영문 ◆가야의 멸망원인_일문_영문 |금관가야사 ◆국명_일문_영문 ◆성립_일문_영문 ◆발전_일문_영문 ◆멸망_일문_영문 ◆후예_일문_영문 |연표 분포도 ◆가야사 연표_일문_영문 ◆금관가야사 연대표_일문_영문 ◆전기가야소국 분포도_일문_영문 |가야 사회 ◆가야의 정치_일문_영문 ◆가야의 사상_일문_영문 ◆가야의 사회구조_일문_영문 |가야 유적지 ◆수로왕릉과 왕비릉의 보존 일문_영문 ◆만화 금관가야사 ◆1쪽 ◆2쪽 ◆3쪽 ◆4쪽 ◆5쪽 ◆6쪽 ◆7쪽 ◆8쪽 ◆9쪽 ◆10쪽 ◆11쪽 |2001년 8월 김해시 사이버가야 홈페이지에 수록되었던 내용. 글: 김태식, 그림: 송우진 ◆아키히토 일왕 발언의 의미는 |2001년 12월 27일자 중앙일보 역사논설 기고문 ◆삼국시대인가 사국시대인가 |"한국생활사박물관" 제6권(2002, 사계절) 특강실의 본인 글 ◆전기가야 12국 지도 ◆범위 ◆후기가야 22국 지도 ◆최대판도 ◆가야국명,지명 분포도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2002, 푸른역사) 수록 ◆중등국사교과서의 가야사 서술방향 |2003년 6월 5일 부산일보 "가야가 살아온다" 시리즈 기고문 ◆가야에 대해서 |"문화와 나" 2003년 여름호 ◆김해에서 고령까지 땅 위에서 읽는 가야 |"문화와 나" 2003년 여름호 ◆4세기의 한일관계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합동연구발표회 보고요지" 2004년 6월, 서울 올림푸스호텔 ◆최인호,신경철,김태식의 가야사 대담 |2004년 9월, 부산일보 회의실에서 ◆GAYA Kingdom’s Rightful Place in Korean History |"KOREANA" SPRING 2006 Vol.20 No.1 ◆E_PDF ◆국문 ◆Japanese ◆J_PDF ◆Chinese ◆C_PDF ◆French ◆Germany ◆G_PDF ◆Spanish ◆S_PDF ◆Arab ◆A_PDF ◆Russia ◆R_PDF ◆한국고대사 분기(分期)의 현황 |'사국시대론'(2007년 2월, 제20회 한국고대사학회 합동토론회) 제2장 제1절 ◆한국 고대국가의 정치체제 |'사국시대론'(2007년 2월, 제20회 한국고대사학회 합동토론회), 제2장 제2절 ◆사국시대론 주장하는 김태식 교수 |2007년 4월, 인터넷 문화신문 고무신 [4월의 인물 탐방] |
|
|
저서 소개 |
|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1~3권 |2002년 4월 출간, 서울: 푸른역사 ◆제1권 수로왕부터 월광태자까지 | | | | ◆제2권 가야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나 | | | | ◆제3권 왕들의 나라
*서평 |경향신문(2002. 4. 13): 도재기 기자 ◆보라 찬란한 '가야' 이젠 '사국시대'다 ◆JPG |대한매일(2002. 4. 12): 임창용 기자 ◆한국고대사는 '사국시대' ◆JPG ◆PDF |동아일보(2002. 4. 13): 동국대 연민수 선생 ◆가야는 한국고대사의 큰 축이었다 ◆JPG ◆PDF |세계일보(2002. 4. 13): 박호근 기자 ◆매몰된 가야 복원 '사국시대' 규명 ◆JPG ◆PDF |연합뉴스(2002. 4. 11): 김태식 기자(동명이인) ◆김태식 교수, 가야사 3권 출간 |조선일보(2002. 4. 13): 건국대 김기흥 교수 ◆가야사를 알아야 한국 고대사가 보인다 ◆JPG ◆PDF |중앙일보(2002. 4. 13): 경희대 조인성 교수 ◆우리 고대는 가야를 포함 '사국시대'였다 ◆JPG ◆PDF |한겨레신문(2002. 4. 13): 노형석 기자 ◆삼국시대? 아니 '사국시대'! ◆JPG |한국일보(2002. 4. 13): 박광희 기자 ◆한국사람 3분의 1, 가야인의 후손이다 ◆JPG ◆PDF |국민일보(2002. 4. 16): 김현덕 기자 ◆'전문성의 흔적’과 아름다운 도판으로 복원된 미니 왕국들 |국제신문: 부산(2002. 4. 15): 서동오 기자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김태식 지음 |매일신문: 대구(2002. 4. 19): 조향래 기자 ◆남한 인구의 3분의 1은 가야의 후예 ◆JPG |KBS TV(2002. 4. 15. 오전 9시 뉴스): 나신하 기자 ◆가려졌던 강대국 가야의 역사를 복원 ◆동영상 |부꾸(www.bookoo.co.kr): 조성일 기자 ◆임나일본부설은 썩 물렀거라! 가야사가 나가신다 |예스24(www.yes24.com): 눈에 띄는 새 책 ◆생생한 컬러 이미지로 부활한 가야문화 |알라딘(www.aladin.co.kr): 2002년 4월 17일 홈페이지 1면 톱 ◆베일을 벗은 가야의 역사 |출판저널 제323호(2002. 5. 5): 차정신 기자 ◆이제는 사국시대를 이야기하자 ◆JPG p.8 ◆JPG p.9 |서평문화 46집(2002년 봄호): 영남대 김정숙 교수 ◆사라진 역사를 향한 집념의 질문 |부산일보(2005. 6. 27): 유상곤 영화감독 ◆가야인을 만나다 *수상 |나남출판 제2회 지훈상 시상식(2002년 6월 15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강당) 수상자 및 심사위원회, 운영위원회 명단: ◆지훈문학상 이승하, 지훈국학상 김태식 ... 지훈국학상 심사 보고: ◆2002년도 제2회 지훈국학상 심사위원 일동은 만장일치로 ... 지훈국학상 수상 소감: ◆가야사의 자기 위상 복귀를 위한 첫 발 |한국일보 제43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2002년 12월 21일) 수상자, 수상도서 및 심사위원 명단: ◆출판상 편집부문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출판상 심사 보고: ◆흥미로운 책 내용 못지 않게 정성스러운 편집이 눈길을 ... |대한민국학술원 2004 기초학문분야 우수학술도서 선정(2004년 10월 11일) 심사위원 명단: ◆2004년도 기초학문분야 우수학술도서 선정 공고
|
|
|
발표논문 요지 |
|
◆5세기 후반 大加耶의 발전에 대한 硏究|1985년 2월, "한국사론" 제12집 게재 ◆6세기 전반 加耶南部諸國의 소멸과정 고찰|1988년 7월, "한국고대사연구" 제1집 게재 ◆530년대 安羅의 '日本府' 經營에 대하여|1991년 9월, "울산사학" 제4집 게재 ◆가야연맹사 초록|1993년 12월 출간, 일조각 ◆새로운 역사 접근 "가야연맹사" 펴낸 김태식 홍대 교수 |1994년 1월 22일자 조선일보 이선민 기자의 위 책 소개 기사 ◆광개토왕릉비문의 임나가라와 '안라인수병' |1994년 5월. "한국고대사논총" 제6집 게재 ◆삼국사기 지리지 신라조의 사료적 특성 |1995년 9월. 정신문화연구원 편, "삼국사기의 원전 검토" 게재 ◆대가야 世系와 도설지 |1996년 6월. "진단학보" 제81호 게재 ◆백제의 가야지역 관계사: 교섭과 정복 |1997년 2월. "백제연구논총" 제5집 게재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조의 사료적 검토 |1997년 6월. "역사학보" 제154집 게재 ◆가락국기 소재 허왕후 설화의 성격 |1998년 9월. "한국사연구" 102호 게재 ◆일본서기에 나타난 한국고대사 상 |1998년 11월. "한국고대사연구" 제14집 게재 ◆고등학교 역사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연구 |1999년 12월. "진단학보" 제88호 게재 ◆김해 수로왕릉과 허왕후릉의 보수과정 검토 |1999년 12월. "한국사론" 41.42합집 게재 ◆수로왕릉 "쌍어문"의 비밀을 캐라 |2000년 2월 19일자 문화일보 최영창 기자의 윗 논문 소개 기사 ◆가야연맹체의 성격 재론 |2000년 6월. "한국고대사논총" 제10집 게재 ◆역사학에서 본 고령 가라국사 |2001년 12월. "가야각국사의 재구성"(민족문화 학술총서 21) 게재 ◆중등학교 교과서의 가야사 서술과 문제점 |2002년 8월.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서의 가야사"(민족문화 학술총서 26) 게재 ◆고대 한일관계 연구사 -임나문제를 중심으로- |2002년 9월. "한국고대사연구" 제27집 게재 ◆초기 고대국가론 |2003년 6월. "한국고대사강좌" 제2권 게재 ◆한국의 기마민족론(김태식, 송계현 공저) |2003년 11월 출간.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日 고대문명 개척자는 가야계 이주민 |2003년 11월 24일자 문화일보 최영창 기자의 윗책 서평 ◆4세기의 한일관계사 -광개토왕릉비문의 왜군문제를 중심으로- |2005년 7월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1권" 게재. 전문 PDF 파일: ◆한글 ◆일문 ◆5-6세기 고구려와 가야의 관계 |2006년 6월, "북방사논총" 11호 게재 ◆사국시대론 -한국 고대사 '삼국시대론'의 대안- |2007년 6월, "한국고대사연구" 제46집 게재 ◆고대 왕권의 성장과 한일관계 -임나문제를 포함하여- |2010년 2월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1권" 게재. 전문 PDF 파일: ◆한글 ◆일문 ◆신라와 전기 가야의 관계사 |2010년 3월, "한국고대사연구" 57호 게재
|
|
|
참고자료 |
|
◆한국고대사 참고도서 목록 ◆고려시대사 참고도서 목록 ◆가야사 관련 논문 및 저서 목록 |
출처: http://www.hongik.ac.kr/~kayakim/mydoc.ht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