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p |
종 류 |
화학식 |
특 성 |
사문석
Serpentine |
크리소타일(백석면)
Chrysotile |
3MgO2SiO22H2O |
가늘고 부드러운 섬유
휨 및 인장강도 큼
가장 많이 사용 |
각섬석
Amphibole |
아모사이트(갈석면)
Amosite |
(FeMg)SiO3 |
취성 및 고내열성 섬유 |
크로시도라이트(청석면)
Crocidolite |
Na2Fe(SiO3)2FeSiO3H2O |
석면광물 중 가장 강함, 취성 |
안소필라이트
Anthophylite |
(MgFe)7Si8O22(OH)2 |
취성 흰색섬유
거의 사용치 않음 |
트레모라이트
Tremolite |
Ca2Mg5Si8O22(HO)2 |
거의 사용치 않음 |
악티노라이트
Actinolite |
CaO3(MgFe)O4SiO2 |
거의 사용치 않음 |
※ 석면은 크게 청석면, 갈석면 및 백석면으로 구분되며 청석면 및 갈석면은 ’81년부터 제조등의 금지
물질(제조·수입·양도·제공 및 사용 금지)로 규정되었으며 백석면은 허가대상물질로 지방노동관서에
허가를 받고 사용하여야 함
※ 석면의 특성 : 내화성(Fire proofing), 방부성(Corrosion resistance),단열성(Heat resistance),
절연성(Insulation), 방적성(Spinability), 고인장성, 유연성 등
※ 밑줄은 석면 종류에 대한 그림(JPG)로 연결토록 구성 |
1. 한국공업규격에 수록되어 있는 석면함유물질
규격번호 |
제 품 명 |
석면함유량(무게비) |
KSL 5114
5115
5116
5123
5202
5203
5209
5212
5213
5215
5301
5302
5304
5311
5314
5406 |
골석면슬레이트
석면시멘트판
석면시멘트관
미장석면 규회판
석면포
석면편조패킹
석면규회판
산업기계용 석면 브레이크라이닝
물전해용 석면격막
석면단열시멘트
석면사
석면시멘트질 압력판
석면패킹끈
석면판
석면시멘트질 하수관(무압력)
압축석면판 |
20%
15 ~ 35%
14%
-
80 ~ 99%이상
80 ~ 99%이상
20%
-
-
-
80 ~ 99%이상
-
80 ~ 99%이상
50%이상
-
65%이상 |
2. 건축자재 중 석면함유물질
구분 |
제품 |
석면함유량(%) |
조합물(Binder) |
비산여부 |
벽,
천장 |
스프레이외장 |
1-95 |
포틀랜드 시멘트
실리카 나트륨
고착제 |
비산가능 |
미장재 |
1-95 |
포틀랜드시멘트
실리카 나트륨 |
비산가능 |
석면-시멘트 시트 |
20-50 |
포틀랜드 시멘트 |
비산불가 |
Spackle |
3-5 |
석회풀, 카세인, 인공수지 |
비산가능 |
이음 접합재 |
3-5 |
아스팔트 |
비산가능 |
하드보드 판지 |
80-85 |
풀, 석회, 진흙 |
비산가능 |
비닐 벽지 |
6-8 |
|
비산불가 |
단열, 절연판 |
30 |
규산 |
비산가능 |
바닥 |
비닐-석면 타일 |
21 |
폴리염화비닐 |
비산불가 |
아스팔트-석면 타일 |
26-33 |
아스팔트 |
비산불가 |
바닥용 탄성수지 |
30 |
드라이 오일 |
비산불가 |
매스틱 점착제 |
5-25 |
아스팔트 |
비산가능 |
지붕 및
외벽 |
지붕 펠트 |
10-15 |
아스팔트 |
비산불가 |
펠트 싱글 |
1 |
아스팔트 |
비산가능 |
지붕 싱글 |
20-32 |
포틀랜드 시멘트 |
비산가능 |
지붕 타일 |
20-30 |
포틀랜드 시멘트 |
비산가능 |
외벽 싱글 |
12-14 |
포틀랜드 시멘트 |
비산가능 |
물막이 판자 |
12-15 |
포틀랜드 시멘트 |
비산가능 |
파이프
및
보일러 |
시멘트 파이프 |
20-90 |
포틀랜드 시멘트 |
비산불가 |
블록 단열재 |
6-15 |
탄산 마그네슘
실리카 칼슘 |
비산가능 |
전성 파이프 덮게 |
50 |
탄산 마그네슘
실리카 칼슘 |
비산가능 |
슬레이트 |
90 |
실리카 칼슘 |
비산가능 |
종이 테이프 |
80 |
폴리머수지, 풀 |
비산가능 |
연마제 |
20-100 |
진흙 |
비산가능 |
|
석면이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병은 폐암, 중피종, 석면폐로 모두 치명적인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사용
되는 석면 중 독성의 정도는 크로시도라이트(Crocidolite, 청석면), 아모사이트(Amosite, 갈석면),
크리소타일(Chysolite, 백석면) 순이다.
석면에 노출되면 피부질환, 호흡기 질환은 물론 10~30년의 잠복기를 거쳐 폐암, 중피종, 석면폐 등
모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폐암은 석면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사람들
중에서 상당히 많이 발견되고 있다.
1. 석면과 관련된 질환
질 병 명 |
내 용 |
폐 암 |
석면분진이 폐에 들어가 폐장의 세포에 작용하여 세포가 이상 증식하는 악성 종양 |
악성중피종 |
흉막, 복막, 심막 등의 체강장막강을 덮고 있는 중피표면 조직에 발생하는 종양 |
석 면 폐 |
석면분진 흡입시 폐조직이 만성 섬유증식을 일으키는 진폐증의 일종 |
2. 석면의 노출기준
(단위:섬유개수/㎤)
석면의종류 |
한국 |
미국 |
영국 |
독일 |
일본 |
미국ACGIH
(권고치) |
크리시토라이트
(청석면) |
0.1 |
0.1 |
0.2 |
0.025 |
0.2 |
0.1 |
아모사이트
(갈석면) |
0.1 |
0.1 |
0.2 |
0.05 |
2 |
0.1 |
크리소타일
(백석면) |
0.1 |
0.1 |
0.3 |
0.05 |
2 |
0.1 |
기타석면 |
0.1 |
0.1 |
0.3 |
0.05 |
2 |
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