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 이야기

[스크랩] 조선 시대의 은밀한 사랑 (월하정인)



/인적이 끊긴 밤길. 사랑하는 두 남녀가 사람들의 눈길을 피해
달빛아래 밀어를 나눈다. 남녀의 인연을 맺어준다는 신윤복의
'월하정인(月下情人)' 내용이다. 화제(畵題)는 "깊은 달밤 3경에
두 사람의 마음 그들만이 알리라(月沈沈夜三更 兩人心事 兩人知)"
이다. 그림에 등장하는 여인은 쓰개치마로 반쯤 얼굴을 가리고
있다. 엄숙한 유교사회였던 조선시대에서도 여성들의 밤길은
보장됐다./




조선 시대 풍속화의 대가 신윤복의(월하정인)에는
넓은 갓에 중치막을 입고 있는 사내와 쓰개치마를 쓴
여인이 초승달 아래에서 밀회를 즐기고 있다.

'달은 기울어 밤 깊은 삼경인데, 두 사람 마음은 두 사람이
안다(月沈沈夜三更 兩 人心事 兩人知)'는 글귀가 은밀한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킨다.

가만, 삼경이라고 하면 밤 11시에서 새벽 1시까지를 가리키는데
통금 시간이 있던 조선 시대에 이와 같은 일이 가능할한 걸까?
[경국대전]에는 '궁궐문은 초저녁에 닫고 해뜰 때 열며 도성 문은
인정에 닫고 파루에 연다'고 기록되어 있다.

'인정'은 통행금지가 시작되는 오후 10시에 종각의 대종을 28번
치는 것이고, '파루'는 통행금지가 해제되는 오전 4시에 북이나
종을 33번 치는 것을 말한다.
불과 20여 년 전, 자정 통금 사이렌에 맞춰 줄행랑 치던 우리네와
마찬가지로 조선 시대 사람들도 종이 28번 울리면 일단 집으로
들어가야 했던 것이다.

이를 어길 땐 다음 날 곤장을 맞았는데, 시간대별로 곤장 수가 달랐다.
삼경은 곤장 30대를 맞는 가장 무거운 벌이
내려지는 시간이었으니[월하정인]의 두 주인공은 배짱이 꽤나 두둑
했나 보다.

물론 질병, 출산 등 부득이한 일이 잇는 경우에는 예외였다. 특히
성균관 유생들은 밤늦게 제사를 지내거나, 위급한 일이 있을 때
왕에게 상소할 일이 많았기 때문에 통금 특혜자였다.
효종은 '성균관에 하사한다'는 글귀가 새겨진 은잔은 유생들에게
나눠주었고, 그것은 일종의 통행증 역할을 했다.
그런데 영조 때 성균관의 한 유생이 통금을 어겼다는 이유로 곤장을
맞는 일이 벌어졌다. 이에 유생들이 동맹휴학을 결의하자 영조는 즉시
포도대장을 엄벌했다.

성균관 유생도 아니고 부득이한 일이 없더라도 통금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날이 있었으니 바로 '정월대보름'과 '부처님 오신 날'이었다.
그렇다면 [월하정인]의 두 남녀가 만난 날은 이 두 날 중에 하루였을까?

조선의 통금제도가 조금씩 느슨해지면서 언제부터인지 낮에 외출하기
힘든 양반댁 여인들이 밤에 외출하는 관습이 생겨났다.
나라는 이를 알면서도 묵인해ㅆ고 때론 밤나들이 하는 여인들을 적극
보호하기까지 했다.
남녀가 자유롭게 연애할 공간이 없던 조선 시대.
사랑 앞에서만은 법도 넓은 아량을 베푼 듯하다.



출처 : 하늘로 소풍을
글쓴이 : 하늘소풍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