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이야기

간경도감[刊經都監]

jaunyoung 2025. 2. 19. 16:4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간경도감

[  ]


유형   제도/관청
시대   조선

요약

간경도감()은 조선 전기 불서의 간행을 위해 설치한 관청이다. 1461년(세조 7) 음력 6월 왕명으로 설치했고, 1471년(성종 2) 음력 12월에 폐지하였다. 간경도감에는 도제조 이하 관리를 두었고, 승려들이 참여하였다. 불전의 언해와 간행뿐만 아니라 수륙재와 같은 불교 행사도 주관하였다.

정의

조선 초기, 세조 때 불경의 국역과 판각을 관장하던 관립 기관.

개설

간경도감은 고려 때 한역 정장()과 교장()을 간행하기 위하여 설치한 대장도감()과 교장도감()의 취지와 규모를 본떴으며, 그중에서도 의천()이 교장을 수집하여 판각한 사적을 본받은 바가 많다. 중앙의 간경도감을 본사()로 하고 지방의 여러 곳에 분사()를 두었는데, 현재까지 밝혀진 지방의 간경도감 분사로는 개성부 · 안동부 · 상주부 · 진주부 · 전주부 · 남원부 등이 있다.

직제는 처음에 도제조(調) · 제조 · 사(使) · 부사 · 판관으로 구성되었으나, 그 이듬해인 1462년에 간행한 『능엄경언해』에서부터는 제조 다음에 부제조가 더 표시되고 있다. 이는 직제를 다시 고쳤거나 또는 임용을 더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각 관직에는 한 사람만 임용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여러 사람이 임용되었다.

보직된 인원은 그 수가 일정하지 않았으나 대체로 20여 명을 넘었다. 간경에 종사한 역부()는 170여 명에 이르렀는데, 이는 한때 설치되었던 기관으로는 상당히 큰 규모였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당시 간역()에 30일 이상 종사한 이들에게는 도첩을 주어 승려가 됨을 허락하였는데, 그 수에 정원이 없어 인원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 따라서 그에 소요된 경비 또한 상당했던, 대규모의 사업이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변천과 현황

1461년(세조 7) 6월에 왕명으로 설치하여, 1471년(성종 2) 12월에 폐지하기까지 11년간 존속하였다. 세조는 대군 때부터 불교를 좋아하여 부왕인 세종의 불서 편찬 및 간인()을 적극적으로 도왔으며, 왕위에 오른 뒤에는 찬탈을 속죄하고 불교에 심취하였다.

1457년(세조 3) 왕세자가 병으로 죽자 왕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친히 불경을 사성()하였다. 또한 대장경 한 질을 비롯한 많은 불경을 경판으로 찍었으며, 『법화경』 등 여러 종류의 불경을 활자로 인출하기도 하였다.

1458년에는 신미() · 수미() · 학열() 등을 시켜 해인사 대장경 50부를 인출하여 각 도의 명산대찰에 분장()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세조의 숭불 정책 구현을 위한 첫 사업이었다.

또한, 1459년 유신()들의 반대를 물리치고 국역 증보판 『월인석보』를 간행하였다. 이와 같은 간경 사업의 경험을 살려, 불경 간행을 국가 사업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왕권으로 간경도감을 신설하고 제도화하였다.

간경도감에서 불경의 국역 및 간행이 세조의 강력한 왕권에 의하여 한시적으로 추진되었기 때문에, 그의 숭불 정책과 이념이 당시의 지배층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다만 왕실과 일부 계층 그리고 서민층에 의해 받아들여지다가 성종의 등극 이후 폐지되었다.

내용

주요 사업은 명승과 거유를 초빙하여 불경을 국역하고 교감하여 간행하는 일을 위주로 하였지만, 그밖에도 불서를 구입 또는 수집하고 왕실에서 실시하는 불사와 법회를 관장하였으며, 때로는 고승을 접대하는 일까지 맡아보았다. 간경도감의 주된 사업인 간경의 내용은 2종으로 대별된다.

하나는 한자본 불경의 간행 및 반포이다. 고려의 의천이 송나라 · 요나라 · 일본 및 국내에서 교장을 수집하여 『신편제종교장총록()』을 엮고 판각하였으나, 그때 간행된 고승들의 장소()인 교장이 별로 전래되지 않아 주로 그 교장의 판각에 치중하였다. 이는 간경도감 개판본들이 고려의 교장을 번각()하거나 복각()한 것과 새로 판서본()을 써서 새겨낸 것이 섞여 있음을 보아 알 수 있다.

다른 또 하나는 국역본 불경의 간행 및 반포이다. 숭유억불책을 써 왔던 조선시대에 침체되어 가는 불교 신앙을 부활시키기 위하여, 가장 기본이 되는 주요 경전을 알기 쉽게 한글로 번역 · 간행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이 국역본은 당대의 명필가를 총동원하여 모두 일정한 체재와 형식으로 독특하게 판서본을 써서 정각한 판본인 것이 그 특징이다.

특히, 1462년(세조 8) 『능엄경언해』 발간을 시작으로 1463년에 『법화경언해』, 1464년에 『금강경』, 『심경』, 『미타경』, 『영가집』, 1465년에 『원각경』, 1467년에 『수심결』, 『법어』, 『몽산법어약록』 등의 경전을 국역 · 간행하였다.

이때 간경도감에서 간인()된 불경은 거의 대부분이 세조가 직접 중심이 되어 구결하고 번역한 것이며, 당시의 고승 신미 · 수미 · 홍준() 등과 대신 윤사로() · 황수신() · 김수온() · 한계희() 등 간경도감 도제조 및 제조들의 도움과 힘이 컸다. 간행된 불서 가운데 현재까지 밝혀진 것을 한자본 불경과 국역본 불경으로 나누어 열거하면 다음 [표 1] · [표 2]와 같다.

[표 1] 한자본 불경

간경도감

간경도감연번서명                                                                                    권수     저자                  간행 연도    비고
1 금강반야경소개현초() 6 공철() 1461 본사
2 대반열반경의기원지() 14 공공() 1461 본사
3 대승아비달마집집논소() 16 현범() 1461∼1462 낙질본
4 묘법연화경찬술() 2 혜정() (?) 낙질본
5 정명경집해관중소() 4 도액() 1461∼1462 낙질본
6 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 1 사효() 1461∼1462 낙질본
7 대반열경경소() 20 법보() 1461∼1462 낙질본
8 개사분율종기의경초() 20 행만(滿) (?) 낙질본
9 수능엄경의소주경() 20 자선() (?) 낙질본
10 화엄경론() 100 영변() (?) 낙질본
11 원각예참약본() 4 종밀() 1461∼1462 낙질본
12 사분율상집기() 14 징연() 1461 상주 · 안동분사
13 능엄경계환해산보기() 1 (?) 1461 본사
14 대승기신론필삭기() 6 자선() 1462 전주분사
15 대방광불화엄경합론() 120 이통현() 1462 전주분사
16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의석연밀초() 10 각원() 1462 본사
17 유가론소() 40 지주() 1462 안동분사
18 능엄경의소() 30 함휘() 1462 본사
19 오삼련약신학비용() 3 응지() 1462 본사
20 진실주집() 3 묘행() 1462 본사
21 지장보살본원경() 2 실차난타() 1462 본사
22 구사론송소초() 8 상진() 1463 진주 · 상주분사
23 노산집() 10 혜원() 1463 본사
24 보리달마사행론() 1 달마() 1464 남원분사
25 선문삼가염송집() 6 구암() 1464 본사
26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3 종밀주해() 1464 본사
27 자애화상광록() 2 (?) 1466 본사
28 무주묘법연화경() 7 구마라습() 1467 본사
29 원종문류집해() 22 의천() 1468 개성분사
30 석문홍각범림한록() 2 각범() 1468 상주분사
31 금강명경문구소록() 3 지의() (?) 낙질본

[표 2] 국역본 불경

간경도감

간경도감연번서명                                                        권수         역자 및 주해자                                            간행연도 비고
1 대불정수능엄경언해() 10 반자밀제역(), 계환해() 1462 본사
2 묘법연화경언해() 7 구마라습역(), 계환해(), 일여집주() 1463 본사
3 선종영가집언해() 2 현각찬(), 연정정원수정(), 세조구결() 1464 본사
4 금강반야바라밀경언해() 2 구마라습역(), 혜능주해() 1464 본사
5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1 현장역(), 중희술() 1464 본사
6 불설아미타경언해() 1 구마라습역(), 지의주석(), 세조역해() 1464 본사
7 대방광원각수다라료료의경언해() 10 종밀소초(), 세조구결() 1465 본사
8 목우자수심결언해() 1 지눌찬(), 비현각결(), 신미역() 1467 본사
9 법어언해() 1 신미역() 1467 본사
10 몽산화상법어약록() 1 신미역() 1467 본사

의의와 평가

오늘날의 시각에서 이 사업이 지니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중한 국어학 자료를 많이 생산하여 국어학사의 체계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국역본 불전은 훈민정음 창제 직후의 일이므로 오늘날 학계의 연구에 귀중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은 물론, 한자본 불서를 국역한 세조의 문화사적 의의도 그 가치를 크게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둘째, 당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이루어진 주요 불전의 국역본이 오늘에 이르기까지 널리 보급되어 사람들이 불교의 근본 이념과 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얻어 보기 어려운 귀중한 장소 자료()를 많이 생산 · 전유시킴으로써 불학 연구에 크게 기여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 『세종실록(世祖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 천혜봉후기, 『조선전기국역불서전관목록』(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1964)
  • 천혜봉후기, 『조선전기국역불서전관목록』(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1965)
  • 이능화, 『조선불교통사』(경인서림, 1968)
  • 천혜봉, 『한국고인쇄사』(한국도서관학연구회, 1977)
  • 강신항, 「이조초불경언해경위에 대하여」(『 국어연구』 1, 1957)
  • 천혜봉, 「조선전기불서판본」(『서지학보』 5, 한국서지학회, 1991)
  • 江田俊雄, 「李朝刊經都監と其の刊行佛典」(『朝鮮之圖書館』 5-5, 1936)
  • 神尾式春, 『朝鮮國刊經都監の刊行佛典』(『東方文化雜考』, 滿洲新聞社, 1943)

출처

제공처 정보

출처; 간경도감

 

간경도감

조선 초기, 세조 때 불경의 국역과 판각을 관장하던 관립 기관. [요약] 간경도감(刊經都監)은 조선 전기 불서의 간행을 위해 설치한 관청이다. 1461년(세조 7) 음력 6월 왕명으로 설치했고, 1471년(성

term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