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락생태공원
부산의 도시생태지도
jaunyoung
2014. 10. 7. 01:00
- 난개발 막고 생물서식지 보호 뒷받침 조례 제정 필요
- 2010-10-26 [10:52:00] | 최종수정: 2010-10-26 [16:01:59]
부산의 생태지도인 비오톱(Biotope)이 완성됨에 따라 무분별한 개발로부터 생물서식지를 보호하고 친환경적인 개발을 유도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됐다.
특히 기존 시가화돼 있는 중부산권은 물론이고 서부산권과 동부산권을 중심으로 각종 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에 완성된 비오톱 지도는 난개발을 막고 최소한의 생태계 보전을 위한 지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 생태계 한눈에 조망할 수 있어
8개 자연환경보호지역도 선정
"네트워크 구축해 생태 보전해야"



그러나 아직 비오톱 지도를 구체적인 도시계획과 환경보전계획 등에서 활용하기 위한 조례 등 관련 규정들이 마련돼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제도적인 보완 등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산전역 생태계 등급 한 눈에=부산 비오톱 지도의 완성으로 부산 전역의 각종 생태계 현황과 도시화 정도, 생물서식 환경에 따른 등급화 등 자연생태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게 됐다.
강서지역을 중심으로 낙동강 하구를 끼고 있는 서부산권의 경우 토지이용도에서 가장 넓은 부분을 해양(32%)이 차지하고 있으며, 경작지(26%) 산림(14.7%) 하천 등(8.3%) 등의 순으로 해양과 하천 환경이 주를 이루고 있다.
동부산의 경우 산지가 많은 지역특성에 따라 토지이용도에서 산림이 65.9%로 가장 많은 이용도를 보였고 경작지가 12.4%에 달했고 주택지, 상업지 등 도시화지역은 16.4%였다.
중부산의 경우 금정산 등 일부 생태축을 제외하고 시가화가 가장 많이 진행된 지역으로 산림이 43%에 달했으나 주택지 18.7%, 교통시설지 11.5% 등으로 시가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비오톱 지도의 보전가치를 등급별로 평가하면 서부산의 경우 보전가치가 높은 1등급지와 2등급지가 각각 15.9%와 11.2%로 주로 하구 사주와 낙동강 둔치, 가덕도 산림 등에 집중돼 있었다.
동부산의 경우 산림지역을 중심으로 1등급지가 17.6%였고 2등급지가 33%에 달해 생태보전 가치가 높은 1,2등급지가 절반 이상이었다.
중부산의 경우 금정산 산림축을 기준으로 1등급지가 16.8%였고 상대적인 시가화 진전으로 보전가치가 매우 낮은 5등급지가 50.3%로 절반 이상이었다.
△자연환경 보전지역 선정=부산발전연구원은 이번 비오톱 조사를 기반으로 부산지역의 8개 자연환경 보전지역을 선정했다. 서부산의 경우 낙동강하구가 자연환경 보전지역으로 선정됐다.
낙동강하구의 경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철새도래지로 낙동강하구 핵심 생태축을 중심으로 낙동강 하천축과 서낙동강 하천축 등 2개의 중심하천축, 봉화산 산림축과 가덕도 산림축 등 2개 산림축을 보전하고 평강천 하천축과 맥도강 하천축을 보조 하천축으로 보전해야 한다는 전략이 제시됐다.
동부산의 경우 달음산, 삼각산, 철마산, 장산보전지구가 선정됐다.
삼각산의 경우 장안천 상류에 장안사 앞의 계곡을 중심으로 하여 분포하고 있는 '개서어나무'림은 한반도 전체에서 희귀한 식생 군락이 형성돼 있어 학술적, 식생자원학적, 경관적, 교육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철마산 보전지역은 정상부의 신갈나무 군락 등이 잘 발달해 있고 달음산도 굴찰나무 등으로 식생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부산은 금정산, 이기대, 태종대가 선정됐다.
금정산은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의 우수식생 군락이 분포하고 있으며 태종대의 경우 부산지역에서 남아있는 거의 유일한 대규모 상록활엽수림 분포지역으로 보존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기대지역의 경우 천성과나무, 팽나무, 돈나무 등 해안성 난대수종이 분포하고 있다.
부산발전연구원 여운상 부연구위원은 "8개 자연환경 보전지역은 부산지역의 생물자원을 지속가능하게 공급할 수 있는 생태의 핵심근거지다"며 "이들 생태축을 중심으로 부산전역을 보조지역 등으로 연결하는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자연생태를 보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례 제정 등 제도적 뒷받침 필요=이번에 완성된 부산 비오톱은 친환경적 도시계획과 생태, 녹지네트워크 작성, 자연환경 보전지역 선정, 환경영향평가 기초자료, 각종 계획의 기초자료 등으로 활용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 비오톱과 관련한 조례 제정 등 제도적인 뒷받침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오톱을 친환경적인 개발을 위한 기준으로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조례 제정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강윤경 기자 kyk93@busan.com